차변 대변 나누는 이유 - chabyeon daebyeon nanuneun iyu

차변 대변 나누는 이유 - chabyeon daebyeon nanuneun iyu

회계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들은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이라는 이야기를 먼저 듣곤 합니다. 그런데 왜 그런지, 왜 회계처리 또는 분개가 왼쪽에 자산의 증가가 있고 오른쪽에 부채와 자본의 증가가 있어야 되는지는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에대한 의문을 풀어가고자 합니다.

위의 항등식의 오른쪽쪽(대변)은 경제적 자원이 어디에서 어떻게 조달되었는가하는 원천을 나타내고 왼쪽(차변)은 그렇게 조달된 자원이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가라는 현황 내지 운용을 나타냅니다. 이는 재무상태표의 기본 원리로 이어집니다.

회계등식을 고쳐쓰면 자본=자산-부채가 됩니다. 곧 회계에서 자본이라는 말은 주인 내지 주주의 몫, 다시 말해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부채를 뺀 나머지 순자산을 뜻합니다.

회계등식은 항등식으로 수학적으로 항상 성립하는 명제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자산이나 부채의 변동은 다른 자산, 부채 또는 자본의 변동을 일으킬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이해하셔야 합니다...ㅠ) 회계에서 이야기 하는 복식부기는 바로 이처럼 개개의 거래별로 서로 관련된 자산 부채의 증감 변동을 동시에 기록한 뒤 각 자산과 부채의 변동을 자산/부채의 항목별로 역사적으로 집계하여 기말 현재 자산/부채의 현황을 알아내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때, 자산, 부채, 자본의 변동을 적는 단위를 '계정과목'이라고 부릅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린 가운데 1억원을 갚을 경우 이는 현금 1억원의 감소와 은행 차입금 1억원의 감소 두가지로 나타나게 됩니다. 각 자산, 부채의 변동을 기록함에 있어 이러한 감소액이 나오면 이를 음수로 적는 대신 각 계정을 차변과 대변 두 칸으로 나누어 증가를 한 쪽에 모으고 감소를 반대쪽에 모아적습니다. 다시 말해 회계처리시 음수로 금액을 기재하지 않고 차변 또는 대변에 해당되는 증감액을 기재하는 것입니다. 회계등식에 맞추어 정리하면 차변(왼쪽)에 자산의 증가액을 적고 부채와 자본의 감소액을 적습니다. 반대로 대변(오른쪽)에 자산의 감소액을 적고 부채와 자본의 증가액을 적습니다.

한편, 자산, 부채, 자본의 변동이라는 틀에 맞추어 넣기 어려운 거래가 있습니다. 가령 임직원에 대한 급여를 지급할 경우 대변에 급여에 해당하는 현금의 감소가 있으나 동시에 차변에 기록할 자산의 증가, 부채의 감소, 자본의 감소가 없는 것 처럼 보입니다. 과연 그러할 까요? 생각해보면 급여에 해당하는 현금이 유출될 경우 이만큼 소유자의 몫, 즉 주주의 몫이 그만큼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는 자본의 감소가 차변에 나타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비용 (또는 수익)이 사업활동 과정에서 소유주 내지 주주의 순자산이 감소(하거나 증가)한 내역 내지 이유를 차변(과 대변)에 적는 것이라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익과 비용의 개념까지 들여오면 경영활동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는 차변요소 4가지와 대변요소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이를 '거래의 8요소'라고 합니다.

차변

대변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부채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감소

자본의 증가

비용의 발생

수익의 발생

위 구조에 따라 일정 기간의 거래를 차변, 대변에 쭉 적은 뒤 이를 정리해 보면 차변에 적은 금액의 합계와 대변에 적은 금액의 합계는 당연히 같아 질 것입니다. (그렇지요???) 따라서 거래 전체를 묶어 정리하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합니다.(단순 덧셈입니다..ㅠ.ㅠ)

"자산증가액+부채감소액+자본감소액+비용=자산감소액+부채증가액+자본증가액+수익"

주주의 거래가 없다면, 즉 자본의 증감이 없다면 이는 다시 아래와 같이 정리되며,

"자산증가액+부채감소액+비용=자산감소액+부채증가액+수익"

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자산증감액 - 부채증감액은 순자산 즉 부의 증감액을 나타내며 회계에서 '순이익'이라고 표현합니다. 사업기간 초기 재무상태표산 자산과 부채에 그 기간동안의 순자산 증감(수익-비용=이익)을 더하면 기말 현재의 자산, 부채가 나타납니다. 이 기말 현재의 순자산과 기초 순자산의 차액이 바로 '당기순이익'입니다. 일정기간 동안 수익과 비용은 당기순이익이 어떠한 이유로 생겨났는가를 보여주며 이를 모아 순자산이 증감한 이유를 밝혀주는 표를 '손익계산서'라고 합니다.

경영활동이 회계라는 도구를 통하여 어떻게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달되는지 그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였습니다. 이해가 잘 안되시면 영상과 글을 수차례 반복해보시길 권합니다.

그러나 깊게 시간을 보낼 부분은 아닙니다... 그저 지금 한 번 보고 나중에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고 다시 보시면 그새 느끼는 바가 다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ŷ��� ���ΰ� ����� �� �� �ִ� �а�

�α���� ����� ������ ��� �ŷ�

�ŷ��� ��������ǥ�� �ڻ� ��ä �ں��� ������Ű�ų� ���ҽ�Ű�� �������� ���Ѵ�. ����̳� ������ �߻��� �� �ڻ� ��ä �ں��� ��ȭ��Ű�� ������ �̰͵��� �߻� ���� �ŷ���� �Ѵ�. �� �α���� ��꿡 ������ �Ͼ ��� �̷��� ��� ���� �ŷ���� �ϴ� ���̴�.
���� ��� ������ �������� �λ��� �Ծ��� ���, ���� ȸ�翡�� �λ��� ���� ���������� ���α��� �־��ٸ� �̰��� �����Ļ���� ó���Ǿ� �ڻ��� ���Ұ� ����Ƿ� �ŷ��� �ȴ�.

�ŷ��� ��鼺

Ŀ�Ǹ� ��� ������ ������ ��� ������ �����Ļ���, �뺯�� �������� �а��Ѵ�. �� �а��� �ܼ��� �ŷ��� ������ �뺯���� ������ �ͻӸ� �ƴ϶� ������ ������ ���ΰ� ����� ��Ÿ����.
���⼭ ������ ������ ������ Ŀ�Ǹ� ��� �����̴�. �ٽ� ���ؼ� Ŀ�Ƕ�� ����� �߻��߱� ������ �� ����μ� �����̶�� �ڻ��� ������ ���̴�.
�׸��� ��ǰ�� �Ȱ� ���������� ȸ���� ��쿡�� ����, �� ��ǰ�� �� ���� ������ �ǰ� ���������� �� ����� �ȴ�. �����̶�� ������ �߻��߱� ������ �� ����μ� ���������̶�� �ڻ��� �տ� �ְ� �� ���̴�.
��ó�� �а��� �ϳ��� �ŷ��� ���ΰ� ����� ������� ������ �ľ��ϴ� ���� �����ϰ� �Ѵ�.

Ȯ���ϰ� �ո����� ���ĺα�

������ �α�� ���ĺα��� �Ҹ��� �ִ�. �̰��� �ϳ��� �ŷ��� ������ �뺯���� ������ �а��ϱ� �����̸�, �� �� �ݾ��� �ݵ�� ��ġ�ϱ� �����̴�.
���ĺα� �������� �ܽĺα��� ���� �־���. �ܽĺα�� ������ ���� ��Ģ ���� �濵Ȱ���� �Ϻθ��� ����ϴ� �ҿ����� �α⸦ ���Ѵ�. �� �ܽĺα⿡���� �ŷ��� �߻��ص� �а��� ���� �ʴ´�. ���� ��� Ŀ�Ǹ� �� ��쿡�� ���� �����ⳳ�忡 ������ ���ǰ� ����ݾ׸��� ������ ���̴�.
���� �ܽĺα⸦ �̿��� ��� ������ �󸶿�����, �ܾ��� �󸶳� ���� �ִ����� �� �� �ִ�.
��ó�� �ܽĺα⿡���� ���ĺα⿡�� �����ζ�� �Ҹ��� ��α��Կ��� ������ ������ ���Ͱ���� �߻��ϸ� ������ �����.
�ܽĺα��� ���Ͱ���� ���ݱ����� ������ ���� ���ؼ� ����� ���� ����� ����Ѵ�. �� ������ε� ���Ͱ���� �� �� ������, ���� ���Ͱ���� Ʋ�� ��� ���ĺα⿡���� ���� ������ Ȯ���� �� �� ���� ������ ������ ����� �¾Ҵ����� ���ΰ� �и����� ���ϴ�.
���� �ܽĺα�󿡼��� ������ ������ ��� �� ����� �߰��ϴ� �� ���� �ð��� ������ ���, ã�Ƴ����� �ʵ� ���� ����� ���ڰ� Ȯ���ϰ� �´ٰ� ���� �� �ִ� �ٰŰ� ����.
�̷��� �ܽĺα� ����� ��Ȯ�Ǽ�, ���ո��� ���� ������ �غ��� ���� �ٷ� ���ĺ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