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 용어에서 hazard를 지칭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 anjeongwanli yong-eoeseo hazardleul jichinghaneun yong-eoneun mueos-inga

풀어쓰는 생활경제 / 도덕적 해이와 도덕불감증

글쓴이: 강준규 동의대 교수 경제학

내용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는 요즈음 언론매체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 중의 하나이다. 최근에 의사들이 실제로 치료하지도 않은 환자들에 대한 보험급여 신청을 두고 도덕적 해이 현상이라고 언론에서 보도한 것을 본 기억이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도덕적 해이의 본연의 의미를 모르는 사람이 도덕불감증 내지는 비도덕적이라는 의도로 `도덕적 해이'를 사용한 듯하다. 좀 괜찮은 표현이 있다고 하면 어디에서나 한번쯤 사용 해 보고싶은 현학적 허세로 인해, 괜한 전문용어인 도덕적 해이가 불티나게 인구에 회자되고 있지 않나 하는 추측도 해본다. 그러면 정확한 도덕적 해이의 정의는 무엇인가? 교과서에는 정보가 비대칭적(asymmetric information)으로 분포되어 있을 때 정보를 갖지 못한 측에서 보면 정보를 가진 측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경향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일일이 근로자의 근무 행태를 감시하지 못하는 상황하에서 근로자가 근무시간에 업무와 관련이 없는 개인적인 일을 한다든지, 완벽한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노력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바로 도덕적 해이이다.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자가 사고를 방지하려는 노력을 일일이 확인할 수 없는 정보의 편재현상 때문에 발생하는 일련의 최선을 다하지 않는 행위들을 도덕적 해이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예금주가 은행의 경영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금융기관들이 투자나 대출을 할 때 부도 위험이 있으나 고리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기업에게 대출을 해주는 경우도 도덕적 해이의 한 사례이다. 하지만 도덕적 해이라는 표현 때문에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만한 행동을 도덕적 해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말이다. 도덕적으로 지탄받을 행위에 대해서는 비도덕적이라든지 도덕불감증에 빠졌다고 표현해야 옳은 것이다. 공중도덕을 해치는 일이라든지, 정치권의 뇌물수수, 미성년자와의 원조교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문제 등은 도덕적 해이와는 거리가 멀다. KBS에서 방송중인 `논어'를 강의하는 김용옥 선생이 강좌를 시작하기 전에 어느 인터뷰에서 논어 강의는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도덕적 해이 현상을 바로 잡는데 기여할 것이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김용옥 선생도 도덕불감증을 도덕적 해이와 동의어로 이해하고 있지 않나 하는 기우도 해 본다.

작성자부산이야기작성일자2003-07-19자료출처다이내믹부산

다이내믹부산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안전관리 용어에서 hazard를 지칭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 anjeongwanli yong-eoeseo hazardleul jichinghaneun yong-eoneun mueos-inga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위험성평가관련 영어 약어/원어와 한글 용어  

안전관리 용어에서 hazard를 지칭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 anjeongwanli yong-eoeseo hazardleul jichinghaneun yong-eoneun mueos-inga

DANGER 위험한 상태
RISK 위험의 정도 (빈도x치명도=위험성, 위험수준, 위험도 라고 표현)
HAZARD 위험 요인 (기계적요인, 전기적요인, 작업방법의 요인, 물질의 요인, 질병...등)
ALARP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합리적으로 실행가능한 수준까지 감소되어 있는
HSW health and safety at work (영국) 산업안전보건법
KRAS Korea risk assessment system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
CHARM chemical hazard risk management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기법

TLV threshold limit value 허용기준
TWA time weighted average 시간가중평균치
CMR carcinogenicity, mutagenicity, reproductive toxicity 발암성, 생식세포 변이특성, 생식독성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물질안전보건자료
STEL short term exposure limit 단시간노출기준
EL exposure level 노출수준
FL frequency level 작업시간.작업빈도 수준
HL hazard level 유해성(중대성)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
CLP classification, labelling and packaging of substances and mixtures 분류, 표지 및 포장
EU European union 유럽연합

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공정안전관리
(K)ORA 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장외영향평가
RBI risk based inspection 위험기반검사
HAZOP 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위험과 운전분석
JSA job safety analysis 작업안전분석
HEA human error analysis 작업자실수분석

K-PSR KOSHA-process safety review 공정안전성분석
PHA preliminary hazard analysis 예비위험분석
CCA cause consequence analysis 원인결과분석
FMECA failure modes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이상위험도분석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고장형태 영향분석
FTA fault tree analysis 결함수분석
ETA event tree analysis 사건수분석
DMI Dow and Mond indices 상대위험순위결정
LOPA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방호계층분석
PHR process hazard review 공정위험분석
CA consequence analysis 사고결과분석
ALOHA areal locations of hazardous atmospheres 유해한 대기의 지역적 위치

RCA root cause analysis 근본원인분석
RA risk assessment 위험성평가
FA fishbone analysis 특성요인도분석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안전보건공단

EC European community 유럽공동체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전기기술위원회
OHSA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국제안전인증규격
LoF likelihood of failure 고장발생가능성
CoF consequence of failure 고장파급효과
NDE non-destructive examination 비파괴검사
PDCA plan do check action 계획 실시 평가 개선
RPN risk priority number 설비의 중요도
ASM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미국기계공학협회
API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미국석유협회
RBM risk-based maintenance 위험기반정비
CBM condition-based maintenance 상태기반보전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적 계층화과정
HSE health and safety executive (영국) 보건안전청
ACGIH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미국산업위생사협회
LD50 lethal dose for 50% 반수치사량(mg/kg)-고.액체 투여
LC50 lethal concentration for 50% 반수치사농도(mg/m3)-기체 흡입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국제암연구소
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미국산업안전보건청
NTP national toxicology program 미국국가독성프로그램
CAS chemical abstract service 화학물질 고유번호

ISA instrument society of America 미국계측학회
NEC national electric code 국가전기규격
NFP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미국화재예방협회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
IM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통합경영시스템

P&ID
piping & instrumentation diagram 배관계장도
PFD process flow diagram 공정흐름도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제어기
SIS safety instrumented system 안전계장시스템
ESTOP elimination, substitution, technical measure, operational measur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제거, 대체, 공학적 대책, 관리적 대책, 개인보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