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질환

주제 참고 자료

아기는 수정된 난자를 시작으로 여러 발달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난자는 포배기 배아, 배아로 발달한 다음, 태아로 성장합니다.

배란 시, 정자가 자궁 속으로 빠르게 들어갈 수 있도록 자궁경부 내 점액이 더 부드러워지고 탄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5분 내에 정자가 질에서 자궁경부를 통해 자궁 내로 이동한 다음, 보통 수정이 이루어지는 장소인 나팔관의 깔때기 모양 끝으로 이동합니다. 나팔관 내벽 세포가 수정을 촉진합니다.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난자가 나팔관을 통해 자궁으로 내려가 자궁에서 퇴화되고, 다음 월경 기간에 자궁을 통해 빠져 나갑니다.

정자가 난자를 침투하면 수정이 이루어집니다. 얇은 머리카락과 같은 나팔관 내벽의 섬모가 수정된 난자(접합체)가 자궁을 향해 관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밀어냅니다. 접합체가 나팔관을 통해 자궁으로 이동하면서 접합체 세포가 빠르게 분열합니다. 접합체는 3~5일 내에 자궁으로 들어갑니다.

자궁에서 세포가 계속 분열하여 포배기 배아라고 하는 빈 세포 덩이가 됩니다. 포배기 배아가 수정 후 약 6일째에 자궁 벽에 착상합니다.

둘 이상의 난자가 배출되고 수정되면 둘 이상의 태아를 임신하게 되며 보통 쌍둥이를 갖게 됩니다. 각 난자와 각 정자 내 유전 물질이 약간 다르기에, 각 수정란이 다릅니다. 그 결과로 생기는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입니다. 수정된 하나의 난자가 세포 분열 후 두 개의 배아로 분리되면 일란성 쌍둥이가 됩니다. 하나의 난자가 하나의 정자에 의해 수정되었기에, 두 배아 내 유전 물질이 동일합니다.

난자에서 배아까지

한 달에 한 번 난소에서 나팔관으로 난자가 배출됩니다. 성교 후 정자가 자궁경부와 자궁을 통해 질에서 나팔관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정자 하나와 난자가 수정됩니다. 수정된 난자(접합체)는 나팔관에서 자궁으로 이동하면서 반복해서 분열을 일으킵니다. 처음에 접합체는 단단한 세포 덩이입니다. 그런 다음 포배기 배아라고 하는 빈 세포 덩이가 됩니다.

자궁 내부에서 포배기 배아가 자궁 벽에 착상하고, 여기서 배아가 태반에 붙어 발달이 진행되고 체액으로 채워진 막으로 둘러싸이게 됩니다.

수정 후 약 6일째에 포배기 배아가 자궁 내벽, 보통 상부 근처에 부착됩니다. 착상이라고 하는 이 과정은 9일차나 10일차에 완료됩니다.

포배기 태아 벽은 3~4개의 세포 두께로 되어 있는 한 부분을 제외하고 하나의 세포 두께로 되어 있습니다. 두꺼운 부분의 내부 세포가 배아로 발달하고, 외부 세포는 자궁 벽으로 파고들어 태반으로 발달합니다. 태반은 임신을 유지하는 여러 가지 호르몬을 생산합니다. 예를 들어, 태반은 난자의 난소 배출을 차단하고 난소가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인간 융모막 생식선 자극 호르몬을 생산합니다. 또한 모체로부터 태아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태아에서 배출되는 물질이 모체로 빠져나가게 합니다.

태반의 세포 중 일부는 발생 중인 포배기 배아를 둘러싸는 외막층(융모막)으로 발달합니다. 다른 세포들은 내막층(양막)으로 발달하여 양막을 형성합니다. 양막이 형성될 때(약 제10일~12일경), 포배기 배아가 배아로 간주됩니다. 양막에는 투명한 액체(양수)가 채워져 있고 태아가 그 안에서 떠다닐 수 있게 태아 발달에 따라 커집니다.

다음 발달 단계는 배아로, 한쪽의 자궁 내막 아래의 양막 내에서 발생합니다. 이 단계는 대부분의 내장 기관과 외부 신체 구조 형성이 특징적입니다. 대부분의 기관은 수정 후 약 3주에 형성되기 시작하며, 이는 임신 5주차에 해당됩니다(의사들은 수정 전 보통 2주에 해당되는 여성의 마지막 월경의 첫날부터 임신일을 계산하기 때문). 이 때, 배아가 길게 늘어져 처음으로 사람의 형태를 띠게 됩니다. 이후 곧, 해당 부위가 뇌가 되고 척수(신경관) 발달이 진행됩니다. 심장과 주요 혈관은 이보다 이른 약 16일차에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심장은 20일차에 혈관을 통해 체액을 펌프질하기 시작하고 다음 날에 첫 번째 적혈구가 나타납니다. 혈관은 태아와 태반에서 계속해서 발달합니다.

약 8주차의 태반과 태아

임신 8주차에 태반과 태아가 6주 동안 계속해서 발달하게 됩니다. 태반은 얇은 머리카락과 같은 돌기(융모)를 형성하여 자궁 벽면으로 확장합니다. 탯줄을 통해 태반으로 이동하는 배아로부터의 혈관은 융모에서 발달합니다.

얇은 막이 융모 둘레의 공간(융모간공)을 통해 흐르는 모체의 혈액으로부터 융모 내 배아의 혈액을 분리합니다. 이와 같이 배열되어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모체의 혈액과 배아의 혈액 간에 물질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 산모의 항체가 너무 커 막을 통과할 수 없기에 산모의 면역체계가 배아를 공격하지 못하도록 예방합니다(항체는 이물질로부터 신체를 방어하기 위해 면역체계가 생성하는 단백질입니다).

배아는 주머니(양막)에 들어 있는 유체 속에서(양수) 떠 다닙니다.

양수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배아가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 배아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해 줍니다

양막은 튼튼하고 탄력적입니다.

수정 후 8주차가 끝나면(임신 10주차) 배아는 태아로 여겨집니다. 이 단계 동안에는 이미 형성된 구조가 계속해서 성장하고 발달합니다. 임신 중 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임신 12주차까지: 태아가 전체 자궁을 차지합니다.

  • 약 14주차까지: 성별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약 16주~20주차까지: 일반적으로 임신부가 태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전에 임신한 적이 있는 임신부는 보통 초산인 여성보다 약 2주 정도 태동을 빨리 느낍니다.

  • 약 24주차까지: 태아가 자궁 밖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분만 시기까지 폐가 계속해서 성숙합니다. 임신 기간 전체와 출생 후 1년 동안 뇌에 새로운 세포가 축적됩니다.

태반이 발달함에 따라 얇은 머리카락 같은 돌기(융모)가 자궁 벽으로 확장합니다. 돌기에서 가지가 계속해서 뻗어 나와 복잡한 나무와 같은 배열을 형성합니다. 이 배열은 영양소와 폐기물 교환이 보다 원활할 수 있도록 자궁 벽과 태반 사이의 접촉 영역을 크게 넓혀줍니다. 태반은 18주차에서 20주차까지 완전히 형성되나 임신 기간 전체에 걸쳐 계속 성장합니다. 분만 시 무게가 약 1파운드(약 450g) 정도 나갑니다.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Copyright © 2022 Merck & Co., Inc.(Rahway, NJ, USA) 및 소속 계열사. All rights reserved.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분만

다른 이름해산, 출산
Labour and delivery, labor and delivery, partus, giving birth, parturition, birth, confinement[1][2]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신생아와 어머니
진료과산과, 조산학
합병증난산, 분만 후 출혈, 자간, 산욕열, 출산 질식, 캥거루 케어[3][4][5]
유형자연 분만, 제왕 절개[6][7]
병인임신
예방피임, 낙태
빈도135,000,000 (2015)[8]
사망연간 500,000건의 임산부 사망률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분만(分娩) 또는 해산(解産)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가 임신 후에 자궁 밖으로 새끼를 내보내어 어미의 몸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말한다.

인간의 자연 분만 과정은 자궁경부가 짧아지고 벌어지는 1단계, 태아가 내려와 태어나는 2단계, 그리고 태반의 분리가 이뤄지는 3단계로 나뉜다. 분만의 과정은 고통스러우며 산모가 사망할 위험이 있다.

분만과 같은 뜻으로 쓰이는 출산(出産)이라는 말은 일본어투 생활 용어로, 국립국어원은 출산을 '해산'으로 순화해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시기[편집]

사람의 분만은 임신 후 37주 ~ 42주 사이에 이루어지는 게 대부분이며, 이를 '정상 분만'이라고 한다. 산모의 약 80%는 임신 후 38주 ~ 41주 사이에 분만[9]하는데, 이는 포유류 중에서는 소의 임신기간과 거의 같다.

산모가 임신 37주가 되기 전에 아이를 낳는 것을 조산(早産)이라고 하고, 42주가 지나서 아이를 낳는 것은 과숙 분만(過熟分娩)이라고 한다.

현황[편집]

대한민국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2013년 한 해 동안 태어난 신생아 중 93.32%가 임신 37주 ~ 41주 6일 사이에 태어났다.[9]

  • 임신 37주 미만 : 6.47%
  • 임신 37주 ~ 37주 6일 : 9.27%
  • 임신 38주 ~ 38주 6일 : 25.68%
  • 임신 39주 ~ 39주 6일 : 28.61%
  • 임신 40주 ~ 40주 6일 : 24.22%
  • 임신 41주 ~ 41주 6일 : 5.54%
  • 임신 42주 이상 : 0.21%

과정[편집]

진통[편집]

분만일이 되면 임산부는 자궁의 수축을 느끼게 된다. 자궁의 수축은 점차 빨라지고 강도가 세져 진통을 수반하게 된다. 분만이 임박하게 되면 시간당 6회 이상의 진통이 찾아오고 자궁경부가 열린다.

분만[편집]

자궁경부가 열리고 진통이 더욱 커지면 열린 자궁경부를 통해 양수가 나오고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기 시작한다. 강한 자궁 수축에 의해 태아는 산모의 몸 밖으로 나온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태반과 함께 탯줄이 스스로 떨어지지만, 인간은 탯줄을 잘라줘야 한다.

분만 직전[편집]

진통이 일어나기 전부터 자궁부가 열리기 시작한다.

최종 월경으로부터 대략 40주경, 분만한다. 분만이 이루어지면 자궁이 주기적으로 수축을 반복하기 시작한다. 자궁의 수축은 처음에는 약하고 느리게 진행되다가 점점 강도와 빈도를 더해간다. 자궁의 정기적인 수축이 10분간격, 또는 1시간에 6회가 된 시점에서는 진통이라고 한다. 자궁의 수축으로 태아의 머리가 자궁경부를 점점 밀려서 들러가려고 한다. 수축을 반복할 때에, 태포의 난막이 깨지고 양수가 나온다. 산도가 직경 10 cm로 열리고 진통 이후에 태아는 질을 통해서 모체로부터 나온다.

정상분만[편집]

경산부는 약 6시간에서 1시간 10분, 초산부는 12시간에서 2시간 20분정도 걸린다.

분만 제1기

분만 제1기는 분만이 시작될 때부터, 태아가 자궁경부를 열 때까지다. 개구기라고 한다.

분만 제2기

분만 제2기는 질에서 태아가 나올 때까지다. 만출기라고 한다.

분만 제3기

분만 제3기는 태아가 완전히 나오면서부터 태반이 나올 때까지다. 제3기에 의해 불필요해진 태반은 몇분 뒤에 자궁에서 떨어져 나온다. 후산기, 후산이라고 한다.

종류[편집]

인간의 분만은 생물학적인 현상임과 동시에 사회 현상으로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예로부터 문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분만이 있어 왔다.

자연 분만[편집]

아기 탄생 과정 - agi tansaeng gwajeong

산파나 의사의 도움을 받아 별다른 조치 없이 아이를 낳는 방법이다. 많은 문화권에서 자연 분만은 산모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아이를 낳으나, 앉아서 낳는 문화도 있다.

제왕 절개[편집]

산부인과의 수술을 통해 분만하는 방법이다.

수중 분만[편집]

최근 산모의 고통을 덜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여러 가지 분만 방식 중 하나로, 물 속에서 아이를 낳는 방식이다.

자연주의출산[편집]

집에서 의사나 산파의 도움을 받지 않거나 아무 의료적인 조치를 가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방식이다. 예전부터 대한민국에서 산파는 있었으나 산모가 산파를 집에 들이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경우가 있었다.

같이 보기[편집]

  • 임신
  • 분만겸자
  • 분만 의자
  • 조산
  • 과숙 분만
  • 산욕
  • 산후조리
  • 산후우울증

각주[편집]

  1. “confinement - Definition of confinement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Oxford Dictionaries - English》. 2018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7일에 확인함.
  2. “CONFINEMENT -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dictionary.cambridge.org》.
  3. Lunze K, Bloom DE, Jamison DT, Hamer DH (January 2013). “The global burden of neonatal hypothermia: systematic review of a major challenge for newborn survival”. 《BMC Medicine》 11 (1): 24. doi:10.1186/1741-7015-11-24. PMC 3606398. PMID 23369256.
  4. Martin RJ, Fanaroff AA, Walsh MC (2014년 8월 20일). 《Fanaroff and Martin's Neonatal-Perinatal Medicine: Diseases of the Fetus and Infant》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116쪽. ISBN 978-0-323-29537-6. 2017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 《Education material for teachers of midwifery : midwifery education modules》 (PDF) 2판.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sation. 2008. 3쪽. ISBN 978-92-4-154666-9. 2015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6. Memon HU, Handa VL (May 2013). “Vaginal childbirth and pelvic floor disorders”. 《Women's Health》 9 (3): 265–77; quiz 276–77. doi:10.2217/whe.13.17. PMC 3877300. PMID 23638782.
  7. Martin E (2015). 《Concise Colour Medical l.p.Dictiona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375쪽. ISBN 978-0-19-968799-2. 2017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The World Factbook”. 《www.cia.gov》. 2016년 7월 11일. 2016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9. ↑ 가 나 시도/임신기간별 출생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014.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