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예전에 공유기 간이나스를 사용할 때는,, 뭐 smb랑 ftp 밖에 지원을 안했지만

특별한 프로그램 없이 윈도우 탐색기에서 드라이브처럼 마운트 해서 쓸 수 있는 smb를 사용했습니다.

smb가 몇년전에 보안문제가 터지면서 윈도우에서 기본설정이 smb2&3 사용 설정으로 바뀌면서부터

이상하게 부팅 후 로그인이 잘 안된다던가 드라이브를 못 읽는다던가 하는 경우가 종종 나타나더라구요.

그러다가 잠시 후 다시 드라이브 선택하면 그때는 로그인 창이 또 뜨고..

이번에 헤놀 설치하고도 smb는 비슷하더라구요.

그래서 raidrive를 설치하고 webdav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ssl이 사용된 보안포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안정적이고 속도도 잘 나왔습니다.

(왜그런지는 모르겠지만 smb로 파일을 copy할 때는 속도가 약간 들쭉날쭉한 감이 있었는데 webdav는 꾸준한 평행선을 나타내며 복사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SFTP도 테스트 해봤습니다.

예전에는 보안포트를 이용하면 속도가 느려진다는 기분이 있었는데 지금은 뭐 그렇지도 않은거 같더라구요.

이번에 이렇게 3가지 종류를 개인적으로 이용해보면서 느낀건데..

일반적으로 내부 시스템에서는 smb > ftp > webdav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webdav는 뭔가 외부접속이라던가 스트리밍 쪽으로 더 인식되어 있었습니다)

이제는 꼭 그렇지도 않나보다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smb는 위에 썼던 불안정한 모습때문에 일찌감치 제외시켰고

sftp랑 webdav(ssl) 를 이용하고 동일 파일을 동일 볼륨에 업로드, 다운로드를 해봤는데

내컴 -> nas는 둘다 기가비트 최대급을 다 뽑아줘서 비교가 의미가 없었구요.

nas -> 내컴에서는 webdav가 80~90MB/s 정도에 sftp가 70~80MB/s 정도 나오더라구요.

모르겠습니다. 많이 테스트 해본 것도 아니고 1G짜리 동영상 파일 하나로 테스트 해본거라,,

다른 컴퓨터 다른 헤놀에서는 또 다를 수도 있을거 같고..

개인적으로는 webdav 사용 쪽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그리고 raidrive 이거 좋네요.

구글 드라이브나 네이버 마이박스도 드라이브 추가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고..

다만 광고가 좀 거슬리네요.. 유료 구독을 해야하나.. 평생 라이센스를 팔면 좋으련만..

매우 헝그리한 NAS인 포고플러그 모바일에 OPTWARE를 띄워서

외장 HDD는 NTFS 이고 USB 2.0 이고 기바비트 공유기가 아닌 구형 공유기 사용 조건이므로

최적화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환경 입니다.

(보다 최적화된 환경은 HDD는 Ext3 포맷에 기가비트 공유기 사용)

FTP와 SAMBA를 주로 사용하는데 

속도의 차이 때문에 활용 용도가 달라집니다.

(속도는 FTP가 SAMBA보다 훨씬 빠르며 특히 실외가 아닌 원격지에서 사용하면 더욱 차이가 납니다.)

실내에서는 FTP나 SAMBA나 모두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는 수준의 속도가 나오기 때문에

별 신경은 쓰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대용량 화일을 전송할때는 FTP가  낫습니다.

실내 무선 공유기 망 외부의 실외에서는 

samba는 너무 느려서 화일 전송이나 스트리밍 용도로 주로 FTP를 사용 합니다.

(원격지 samba로 동영상 재생은 가까스로 가능 합니다.)

그러나 실외 원격지에서도 samba가 유용한 경우가 있습니다.

samba는 특성상 윈도우 PC에 부착한 외장형 하드와 같은 동작을 합니다.

같은 디스크내에서 화일을 이동하는 경우는 순식간에 가능 합니다. 

(외장형 하드와 같은 동작을 하므로,  윈도우뿐만 아니라 안드로이드에서도 가능)

반면 FTP로 화일을 동일 하드에서 순식간에 이동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samba접속시에는 하드에 들어있는 실행 화일의 경우 직접 실행이 가능하며

모든 윈도우 프로그랩에서 윈도우 PC자체의 내부 하드디스크처럼 화일을 억세스 할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의 퍼펙트 뷰어 같은 앱은 Samba 접속이 가능한 앱인데..

압축화일로 된 만화를 볼때 FTP 스트리밍을지원하는 FTP코믹 뷰어보다는

Samba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퍼펙트 뷰어가 나을 때가많습니다.

(압축된 만화 화일을 FTP스트리밍으로 보면 꼴랑 몇페이지만 로딩 되어 있고

 그이상은 페이지는 다시 읽어야 하므로 심하게 버벅이지만 SAMBA스트리밍으로

 보면 그렇지 않기 때문)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비교한 이유

시노롤지 DS218J는 파일 전송을 위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데 워낙 지원하는 수가 많다보니 어떤 프로토콜을 써야 파일 전송속도가 가장 좋을 지가 궁금하여 테스트해보았다. 비교한 프로토콜은 FTP와 FTPS, SFTP, HTTP, HTTPS, SMB이다. 단순히 생각해보면 암호화-복호화 과정을 거치지 않는 ftp와 http, smb(평문통신)가 가장 성능이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

파일 전송 프로토콜 비교를 위한 환경

FTP와 FTPS는 파일질라(FileZilla)를 활용하였고 SFTP와 HTTP, HTTPS는 레이드라이브(RAIDRIVE) 1.8.0(2019.11.29), SMB는 윈도우 파일 탐색기를 사용하였다. 통신환경은 NAS와 PC는 같은 망에 있고 1Gbps로 연결되어 있었다. 전송한 파일은 오피스 2019 설치파일이며 크기는 3.38GB이다.

파일 전송 속도 실험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FTP 파일 전송 속도

FTP는 89.1 MiB/s로 93.43 MB/s가 나왔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FTPS 파일 전송 속도

FTPS는 23.7 MiB/s로 24.85 MB/s가 나왔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SFTP 파일 전송 속도

SFTP는 22.2 MB/s가 나왔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HTTP 파일 전송 속도

HTTP는 87.1 MB/s가 나왔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HTTPS 파일 전송 속도

HTTPS는 27.3 MB/s가 나왔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윈도우10 SMB 통신 설정

SMB 파일 전송 속도 실험 전에 테스트할 PC의 윈도우 10 보안설정을 확인하였다. 보안 통신(디지털 서명 통신)은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게 설정되어 있었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시놀로지 SMB 선택적 암호화 전송 설정

시놀로지에서 SMB2와 SMB3가 지원되게 설정하고 암호화 전송 모드는 자동으로 변경하였다. 처음에는 비활성화로 설정했었는데 그렇게 하니까 윈도우10 탐색기에서 탐색이 되다가 안 되다가 하는 오류가 있었고 자동으로 하니 암호화 통신이 되지 않고 잘 연결되었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SMB(평문 통신) 파일 전송 속도

평문 통신한 SMB는 89.0 MB/s가 나왔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시놀로지 SMB 암호화 전송 설정

암호화 전송 모드를 강제로 시놀로지에서 설정하여서 파일 전송 속도를 실험하였다.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SMB(암호화 통신) 파일 전송 속도

암호화 통신한 SMB는 14.2MB/s가 나왔다.

파일 전송 프로토콜별 전송 속도 결과

Smb ftp 속도차이 - smb ftp sogdochai
프로토콜별 파일 전송 속도 차트

역시 예상대로 암호화 통신을 하지 않은 FTP와 SMB, HTTP가 통신 속도가 가장 빨랐다. 시놀로지 DS218J의 연산성능 때문에 암호화 통신을 하는 프로토콜의 경우 극단적으로 통신 속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격지에서 평문 통신을 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계정 탈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NAS의 주사용지가 원격지이면서 초당 20 MB/s이상의 통신속도가 필요한 경우 연산성능이 높은 상위 모델을 사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