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프레임 속도 - kamela peuleim sogdo

캠코더의 프레임 속도가 비디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캠코더 사양을 검토 할 때 종종 프레임 속도라는 용어가 표시됩니다. 이것은 초당 캡처 된 프레임 수 또는 "초당 프레임 수"에 대한 "fps"로 표시됩니다.

프레임이란 무엇입니까?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스틸 사진입니다. 충분한 연속적으로 그들을 가지고 가십시오 당신은 가득 차있는 동의 영상이있다.

프레임 속도 란 무엇입니까?

프레임 속도는 캠코더가 초당 캡처 할 프레임 수를 나타냅니다. 동영상의 매끄러운 정도를 결정합니다.

캠코더에는 어떤 프레임 속도가 있어야합니까?

일반적으로 캠코더 는 초당 30 프레임 (fps)으로 녹화하여 끊김없는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동영상은 24fps로 녹화되고 일부 캠코더 모델은 장편 영화를 모방하기 위해 "24p 모드"를 제공합니다. 24fps보다 느린 프레임 속도로 녹화하면 비디오가 엉망이되고 엉성 해집니다.

많은 캠코더는 30fps, 보통 60fps보다 빠른 프레임 속도로 촬영할 수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스포츠 또는 빠른 움직임과 관련된 모든 것을 캡처하는 데 유용합니다.

프레임 속도 & amp; 슬로우 모션 녹화

프레임 속도를 120fps 이상으로 높이면 슬로우 모션으로 비디오를 녹화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반 직관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왜 더 빠른 프레임 속도로 느린 동작을 제공합니까? 이는 더 높은 프레임 속도에서 매 초마다 더 많은 움직임 세부 정보를 캡처하기 때문입니다. 120fps에서는 30fps보다 4 배의 비디오 정보가 있습니다. 따라서 캠코더는이 비디오의 재생 속도를 늦추어 슬로우 모션 영상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속도

레코딩 프레임 속도

레코딩 프레임 속도(캡처 프레임 속도라고도 함)를 선택합니다. 레코딩 프레임 속도는 레코딩되는 초당 프레임 수입니다. 레코딩 프레임 속도는 장면이 재생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와 다릅니다.

기본 레코딩 프레임 속도는 23.98 fps입니다.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를 변경하면 레코딩 프레임 속도가 해당 값을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에 맞게 자동으로 변경합니다.

각 형식의 최대 프레임 속도는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 REDCODE, Look Around와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 레코딩 프레임 속도 각각의 최대 REDCODE 설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DSMC 미디어 작동 안내서)를 참조하십시오.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를 선택합니다.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는 장면이 재생되는 속도입니다.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는 디스플레이의 왼쪽 하단 모서리에 표시됩니다.

사용 가능한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23.98 fps(기본값)
  • 24.00 fps
  • 25.00 fps
  • 29.97 fps
  • 47.95 fps
  • 48.00 fps
  • 50.00 fps
  • 59.94 fps

Varispeed

현재 프로젝트 타임 베이스 이외의 레코딩 프레임 속도를 선택하면 fps 텍스트는 노란색으로 바뀌고 디스플레이의 오른쪽 하단 모서리에 있는 오디오 미터는 Varispeed로 바뀝니다.

Varispeed 모드에서는 오디오가 레코딩되지 않습니다.

Copyright © 2017 RED.COM, LLC. All rights reserved.
955-0156_V6.3, REV-K

프레임 레이트

프레임 레이트(fps)는 1초에 몇 컷의 정지 화상이 기록되어 있는가 하는 수치입니다. 프레임 레이트가 높을수록 피사체의 움직임이 매끄러운 동영상이 기록됩니다.
프레임 레이트에는 60 fps, 50 fps, 30 fps, 25 fps, 24 fps등이 있으며, 60 fps는 1초에 60컷(60프레임)으로 기록된 것을 나타냅니다.
※ 기종에 따라 셋업 메뉴에 있는 「비디오 출력」방식을 동아시아 지역의 동영상 출력방식인 「NTSC」로 하면, 동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는 60 fps, 30 fps 또는 24 fps를 선택할 수 있고, 「비디오 출력」방식을 서구 유렵 측에서 사용하는 「PAL」로 하면, 50 fps, 25 fps 또는 24 fps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화에서는 24fps의 프레임 레이트가 채용되어 있습니다. 영화 같은 동영상을 찍고 싶은 경우에는, 한번 24fps를 골라 보는 것도 좋습니다.

60fps와 30fps의 비교

카메라 프레임 속도 - kamela peuleim sogdo
노아 바움백(Noah Baumbach) 감독

유튜브 시장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면서, '대국민 영상 제작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영상제작을 하기 위해선 많은 시간과 노력, 금전적인 투자가 필요했던 옛날과는 달리 누구나 작은 투자로 영상제작을 쉽게 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 또한 음악을 하며, 영상 제작업을 병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영상제작에 있어서 제일 중요하고 기본적인 카메라 설정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 FPS(Frames Per Second)

영상이란 '연속된 사진들의 모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정지된 사진 하나를 '프레임(Frame)'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연속된 프레임들이 1초에 몇장이 찍혀있느냐를 'Frame Rate'라고 하고요, 단위로서는 'FPS(Frames Per Second)'라고 사용합니다.

카메라마다 설정은 조금씩 다르지만 카메라 메뉴에 들어가게 되면 '프레임(Frame)' 수 설정이 가능합니다. 보통 24fps, 30fps, 60fps...이런식으로 설정 하실수있습니다. 각각의 프레임 수 별로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카메라 프레임 속도 - kamela peuleim sogdo

24fps = 1초에 24장이 찍힌 영상물

30fps = 1초에 30장이 찍힌 영상물

60fps = 1초에 60장이 찍힌 영상물

어떤 카메라든지 매뉴얼에 들어가서 프레임 설정을 보면 보통 24 프레임, 30 프레임 이 둘 중 하나로 설정되어있고, 이 둘을 표준 프레임, 정상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4 프레임 이냐 30 프레임이냐"

30 프레임은 보통 TV방송에 나오는 영상물에 주로 쓰입니다. 예능, 다큐멘터리 등에 적합하고 영상이 끊기는 느낌이 없고 부드럽고 자연스럽습니다. 24프레임은 30프레임에 비해 약간의 끊기는 느낌은 있으나, 인물의 움직임에 모션블러효과 가 보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사람의 눈에는 굉장히 감각적이고 섬세한, 이색적인 영상미를 느낄수 있습니다. 주로 영화, 뮤직비디오, 광고영상에서 많이 선호하고, 우리가 주로 '시네마틱영상'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24프레임으로 찍은 영상들입니다. 소위 '이쁜 영상', '영상미'를 추구하시는 분들에게는 24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촬영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30프레임 이상부터는 표준 프레임을 넘어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움직임이 많고, 역동적인 스포츠 영상을 촬영할 때, 슬로우 모션용 영상을 촬영할때 적합합니다.

2. 해상도

해상도(녹화 크기)도 마찬가지로 카메라 매뉴얼에서 촬영 전에 설정하실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요즘 사용되는 카메라에는 Full HD가 탑재되어있을 것이고, 그리고 특정한 카메라들은 4k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요즘 나오는 신형들은 거의 대부분 4k를 지원하는데요, 그렇다면 둘 중 무엇으로 촬영하는 것이 좋을까요?

카메라 프레임 속도 - kamela peuleim sogdo

Full HD : 1920x1080

4K : 3840x2160

"Full HD or 4K?"

눈치채셨겠지만, 4K로 촬영한 영상이 Full HD로 촬영한 영상보다 4배가량 해상도가 뛰어납니다.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편집 시 화면을 확대하더라도 일정 부분까지는 화질이 깨지지 않아, 한 번의 촬영으로 다양한 앵글을 가져갈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4K로 촬영하는 것만이 능사만은 아닙니다. 해상도가 높아진 만큼 차지하는 용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백업을 하거나, 영상 편집을 할 때 컴퓨터 사양에 따라 버벅거림을 느끼 실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컴퓨터의 사양, 메모리 용량을 인지하고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긴 영상을 찍을 것인지, 짧은 영상을 찍을 것인지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다음편에서 계속 됩니다. ▼

영상제작을 위한 기본기 : 카메라 설정 2 <조리개, 셔터스피드>

https://wgoiym.tistory.com/16

영상제작을 위한 기본기 : 카메라 설정 2 <조리개, 셔터스피드>

영상제작을 위한 기본기, 카메라 설정에 관한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이번 글을 보시기전에 반드시 밑에 링크를 걸어둔 첫 번째 글을 보시고 오시기 바랍니다. 이번에도 카메라 설정에 관한 딱 두 가지만 설명드..

wgoiym.tistory.com

카메라 프레임 속도 - kamela peuleim sog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