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세운 사람 - sinla se-un salam

안녕하세요, 제이노엘입니다.

드디어 나왔습니다. 삼국시대. 삼국지. 중국의 위촉오 삼국지가 있었다면, 한국에는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시대가 있습니다.

시기상으로 보면 중국 위촉오 보다 고구려 백제 신라가 좀 더 앞서 있으며, 더 오랜 기간 동안 나라가 멸망하지 않고 성장했습니다.

주몽온조는 각각 고구려백제를 세운 위인들인데, 뭐 두분이 알고보면 한핏줄이라 합니다.

하나 하나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고구려의 고주몽 설화로, 먼저 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주몽이 부여 일부 세력을 이끌고 압록강쪽에 세운 나라입니다. 주몽의 아버지는 하늘의 자손인 해모수고, 어머니는 하백의 딸 유화라고 전해지지요.

부여의 왕 금와왕이 우연히 유화를 발견하고 궁으로 데려오고 부인을 삼지요. 그런데 그 유화가 알을 낳았고 이 알을 좀 꺼림직하게 여기는 금와는 갖다 버렸습니다. 그런데. 그런데 이상하게 이 알을 동물들이 쉴드를 쳐줘서 안전하게 보살핌을 받게 되었지요. 그렇습니다. 사람이 알에서 나왔다는 말도 안되는 소리이지만, 어쨌던 신화는 신화고 설화는 설화입니다.

단군할아버지 이야기처럼 그냥 말로 듣고 "아하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세요.

아무튼 이 알에서 주몽이 태어났고, 주몽은 어려서부터 활을 잘쏘아서 주몽이라 불렀답니다.

주몽은 부여말로 활을 잘쏘는 사람이라 한답니다.

아무튼 주몽의 능력치가 뛰어나 금와는 주몽이를 졸본으로 쫓아냈는데, 졸본에서 주몽이가 세운 나라가 바로 고구려입니다. 고구려니까 자기도 고주몽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이름은 동명성왕이지요. 고구려 세운 동명왕.

사람이 정말 주몽 이분을 본받아야 할 것이, 남자중의 남자 아니겠습니까? 자기를 쫓아낸 왕이며 나라며 얼마나 미웠겠습니까? 그래서 그 클라스 보십시오. 바로 자기 나라 하나 딱 세우는 저 하이레벨을 누가 어찌 따라가겠습니까? 정말 상남자 입니다. 이분은.

백제의 온조 설화로, 먼저 고구려를 세운 주몽은 이미 유리라는 아들이 있었습니다. 유리왕은 고구려 2대 왕으로, 황조가로도 유명한 왕입니다. 그러나 주몽의 손에서 자라지 못한 유리왕은 나중에 커서 졸본으로 주몽을 찾아 왔지요. 유리와 주몽은 같이 살지 못했습니다. 나중에 주몽이가 그러죠. "유리가 커서 나 주몽이를 찾아 오려거든 (검을 하나 부러뜨리며)이 검의 조각을 찾아 오도록 하라 하시오." 하며 검을 두동강 내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아무튼 유리는 주몽을 만나도 고구려의 왕자로, 또 왕으로 렙업하게 됩니다. 그리고 또 한편으로 주몽이의 다른 자식인 비류와 온조가 있는데 어쨌던 첫부인이 낳은 아들이 유리고, 둘째부인이 낳은 아이가 온조와 비류니 아쉽게도 첩의 자식이 된 셈이겠지요. 

이렇게 온조와 비류는 유리를 피해 남쪽으로 이사갑니다. 그리고는 형인 비류는 미추홀(인천)에서, 동생인 온조는 위례성(서울)에서 자리를 잡았고, 이때 온조가 세운 나라가 위례성의 백제 입니다.

형의 세력은 훗날 동생인 온조에게 흡수가 되었지요. 그래서 백제 온조왕이라고 우리는 늘 외웠습니다.

신라 세운 사람 - sinla se-un salam

부여가 할아버지라고 하면, 고구려는 그 아들, 그리고 백제는 고구려의 아들이며 부여의 손자가 되는 셈인가요?

신라의 박혁거세 설화는, 진한의 12국 중에 하나인 사로국이라는 곳이 있는데 뭐 지금의 경주 일대라고 합니다. 아무튼 사로국의 촌장이 흰 말을 발견했는데 이 말이 우물가에서 울고 있었다 합니다. 말이 우는것도 보고 이사람도 참 신통하기 그지없습니다. 아무튼 이 말이 한 알을 갖고 있었는데 이 알에서 사람이 태어났지요. 사로국 사람들은 이 알이 박처럼 둥글어서 성은 "박"씨가 되었고, 세상을 밝게 한다는 뜻으로 이름을 "혁거세" 라고 지어서 박혁거세가 되었다고 합니다. 성은 박이요 이름은 혁거세

그리고 박혁거세는 13살이 될 때, 우리는 초딩 6학년의 정점에서 PC방을 오가는 그 나이에 한 나라의 왕이 되었다고 합니다 . 이나라의 이름은 신.라. 입니다.

근데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와는 왕을 부르는 호칭이 좀 특별했습니다.

그냥 고구려는 '폐하' 하고 했었고, 백제는 '어라하' 라고 했다면, 신라는 그때 그때 왕마다 달랐습니다.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등의 고유 이름을 사용했었는데 이는 순우리말이고 내용도 재미있습니다.

거서간 : 밝은태양 

차차웅 : 무당

이사금 : 이가 많이 난 나이 많은 사람

마립간 : 최고 우두머리

왜 옛날 시조들은 알에서 태어났을까 고민을 좀 해보자면 알의 둥근 모양이 태양과 비슷해서 태양을 상징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늘과 함께 태양을 숭배한 것이지요. 뭐 사람이 보기도 힘들고 만질수도 다가갈수도 없는 그런게 태양이고 하늘이니 어찌보면 당연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신라의 건국과 시조 이야기

시조는 성(姓)이 박씨(朴氏)이고 이름은 혁거세(赫居世)이다. 전한(前漢) 효선제(孝宣帝) 오봉(五鳳) 원년 갑자(甲子, 기원전 57년) 4월 병진 【혹은 정월 15일이라고도 한다】 에 즉위하여 거서간(居西干)이라 일컬었는데, 이때 나이 13세였고 나라 이름을 서나벌(徐那伐)이라고 하였다. ……(중략) …… 고허촌장(高墟村長) 소벌공(蘇伐公)이 양산 기슭을 바라보다가 나정(蘿井) 근처의 숲 속에서 말이 울고 있어서 가서 보니 문득 말은 보이지 않고 단지 큰 알만 있었다. 이를 쪼개니 어린아이가 나와서 거둬 길렀다. 나이가 10여 세에 이르자 영리하고 지혜로우며 어른스러웠다. 6부 사람들은 출생이 신비하고 기이하여 그를 받들어 존경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그를 임금으로 세웠다. 진한(辰韓) 사람들은 박(瓠)을 일러 박(朴)이라고 하는데, 처음에 큰 알이 박과 같았기 때문에 박(朴)을 성으로 삼았다.

가락국의 바다에 어떤 배가 와서 정박하였다. 그 나라 수로왕(首露王)이 신하 및 백성들과 함께 북을 치며 맞이하여 머물도록 했지만, 배는 그만 쏜살같이 달아나 계림(雞林)의 동쪽 하서지촌(下西知村) 아진포(阿珍浦)에 이르렀다. 【지금도 상서지(上西知)와 하서지(下西知)란 촌의 이름이 남아 있다】 그때 포구 주변에 한 할머니가 있어 이름을 아진의선(阿珍義先)이라 하였는데, 곧 혁거세왕해척(海尺)

바다에서 고기잡이를 주업으로 하는 어부

어멈이다. 아진의선이 배를 바라보며 이르기를, “이 바닷속에는 바위가 없는데 무슨 까닭으로 까치가 모여서 울고 있는가?”라고 하며 배를 끌어당겨 살펴보았다. 까치가 배 위로 모여들고 배 안에 상자 하나가 있었는데 길이는 20자이고 너비는 13자였다. 배를 끌어다 나무 숲 아래에 두고는 이것이 흉한 것인지, 길한 것인지 몰라 하늘을 향해 고하였다. 잠시 후 상자를 열어 보니 단정히 생긴 사내아이가 있고, 또 7가지 보물과 노비가 그 속에 가득히 실려 있었다. …… (중략) ……노례왕(弩禮王)

유리왕(儒理王)

이 세상을 떠나자 광호제(光虎帝)

한(漢)나라 광무제(光武帝)

중원(中元) 2년(서기 2년) 정사(丁巳) 6월에 탈해(脫解)가 왕위에 올랐다.

호공(瓠公)이 밤에 월성(月城) 서쪽 마을을 가다가 시림(始林) 【혹은 구림(鳩林)이라고도 한다】 속에서 크고 밝은 빛이 나는 것을 보았는데, 자주색 구름이 하늘에서 땅으로 뻗쳐 있었다. 구름 속에는 황금 상자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었고 빛은 상자로부터 나왔으며 또한 흰 닭이 나무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이러한 정황을 왕에게 아뢰니, 왕이 친히 그 숲에 가서 상자를 열어 보니 사내아이가 있었으며, 아이가 누워 있다가 바로 일어났다. 이는 혁거세(赫居世)의 고사와 같으므로 그 말로 인해 알지(閼智)라고 이름 지었다.

삼국유사』권1, 「기이」1 김알지 탈해왕대

始祖姓朴氏, 諱赫居世. 前漢孝宣帝五鳳元年甲子四月丙辰 【一曰正月十五日】 卽位, 號居西干, 時年十三, 囯號徐那伐. ……(中略)…… 高墟村長蘇伐公, 望楊山麓, 蘿井傍林間, 有馬跪而嘶, 則徃觀之, 忽不見馬, 只有大卵. 剖之, 有嬰兒出焉, 則收而養之. 及年十餘歲, 岐嶷然夙成. 六部人以其生神異, 推尊之, 至是立爲君焉. 辰人謂瓠爲朴, 以初大卵如瓠, 故以朴爲姓.

駕洛國海中有舩來泊. 其國首露王, 與臣民鼓譟而迎, 将欲留之, 而舡乃飛走, 至於雞林東下西知村阿珎浦 【仐有上西知下西知村名.】 . 時浦邉有一嫗, 名阿珎義先, 乃赫居王之海尺之母. 望之謂曰, 此海中元無石嵓, 何因鵲集而鳴, 拏舡尋之. 鵲集一舡上, 舡中有一樻1)

1)

삼국사기》권1, 신라본기(新羅本紀)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조에는 櫝으로 되어 있다.

子, 長二十尺, 廣十三尺. 曳其舩置於一樹林下, 而未知凶乎吉乎, 向天而誓爾. 俄而乃開見, 有端正男子, 并七寳奴婢滿載其中. ……(中略)…… 及弩礼王崩, 以光虎帝中元二年丁巳六月, 乃登王位.

瓠公夜行月城西里, 見大光明於始林中 【一作鳩林】 , 有紫雲從天垂地. 雲中有黃金樻2)

2)

삼국사기》권1, 신라본기(新羅本紀)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조에는 櫝으로 되어 있다.

掛於樹枝, 光自樻岀, 亦有白雞鳴於樹下. 以状聞於王, 駕幸其林, 開樻有童男, 卧而即起. 如赫居世之故事, 故因其言, 以閼智名之.

  1. 삼국사기》권1, 신라본기(新羅本紀)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조에는 櫝으로 되어 있다.
  2. 삼국사기》권1, 신라본기(新羅本紀)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조에는 櫝으로 되어 있다.

이 사료는 신라의 건국 신화인 동시에 시조 신화인 혁거세(赫居世) 신화, 시조 신화에 해당하는 석탈해(昔脫解)와 김알지(金閼智) 신화를 보여 준다. 신라는 다른 고대 국가와 달리 박(朴)⋅석(昔)⋅김(金) 등 세 성씨가 번갈아 가면서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이렇듯 다양한 시조 신화가 전승되어 왔다. 신화에는 어느 정도의 역사적 사실과 저마다의 특징이 담겨 있는데 신라의 신화 역시 마찬가지이다. 신라의 시조 신화가 3개나 되는 것은 당시 신라사의 특수한 사정이 반영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혁거세는 말이 울던 자리에 놓여 있던 큰 알에서 깨어났다고 한다. 여기서 등장하는 말은 혁거세의 탄생을 예고하는 동시에 천상(天上)과 지상(地上)을 연결하는 매개자로 볼 수 있다. 알에서 태어났다는 혁거세 신화는 기본적으로 난생(卵生)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사료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말은 하늘에서 내려온 것으로 여겨지므로 천강(天降)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이는 혁거세가 신성한 인물임을 뒷받침해 주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6부 사람들이 혁거세의 출생이 신비하고 기이하여 그를 존경하다가 임금으로 세웠다고 한 부분에서 잘 드러난다. 또한 혁거세가 하늘에서 내려온 말이 낳은 알에서 태어났다는 점은 그가 경주 일대에서 살고 있던 고허촌장(高墟村長) 소벌공(蘇伐公)을 비롯한 6촌장과는 다른 유이민 세력임을 말해 준다. 다만 혁거세가 즉위하는 과정에서 6촌장을 비롯한 토착 세력과 충돌한 흔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토착 세력과 유이민 세력의 연합으로 즉위하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석탈해나 김알지 역시 토착 세력이 아니긴 마찬가지였다. 사료에 따르면 외국에서 건너온 배가 가락국을 거쳐 아진포(阿珍浦)에 도착하자, 한 할머니가 배 안에 있는 상자를 열어서는 어린아이(석탈해)가 있는 것을 발견했고, 김알지의 경우도 하늘에서 드리운 구름 속에서 나뭇가지에 걸려 있는 상자를 열어 보니 사내아이(김알지)가 있었다고 한다. 이렇듯 신라의 왕을 배출한 세 집단 모두 토착 세력이 아니라 유이민 집단이라는 점은 다른 나라의 건국 신화와도 상통하는 부분으로, 신라가 외부에서 들어온 유이민 세력에 의해 한층 성장하고 발전하였음을 시사한다.

세 시조 신화 사이의 공통점은 다른 부분에서도 확인되는데, 석탈해 신화에서는 까치가 배 위에 모여듦으로써 포구에 있던 할머니의 관심을 유도한 반면에 김알지 신화에서는 흰 닭이 등장한다. 이는 혁거세 신화에서 말의 울음소리를 통해 소벌공의 관심을 끈 것과 비슷한 양상을 띠는데, 말과 까치, 흰 닭은 모두 주인공의 등장을 암시하는 매개체였다. 이를 통해 주인공은 예사롭지 않은 분위기에서 등장하여 신성성을 한층 더 강조하고 있다.

주인공을 신성하게 만든 것은 이뿐이 아니다. 혁거세가 알에서 태어났다는 점을 이용해 일반인과 차별화 한 것이다. 또한 석탈해는 길이 20자, 너비 13자라는 굉장히 큰 상자에, 김알지는 황금 상자 안에 들어 있었다. 둘이 예사롭지 않은 상자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다른 인물들과 달리 귀하고 신성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처럼 신라의 시조 신화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통해 모두 신성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세 시조 신화는 동일한 내용은 아니지만 전체적인 구조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한 국가에서 여러 계통의 신화가 나타나는 것은 고구려나 백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신라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여러 계통의 신화가 남아 있다는 것은 신라 문화가 그만큼 복합적이고 중층적이라는 점을 보여 준다. 특히 고구려나 백제의 시조가 능동적이고 영웅적 측면이 강하였던 것과 달리 혁거세와 석탈해, 김알지는 그러한 면이 없다. 아마도 신라는 고구려나 백제처럼 한 세력이 다른 세력을 정복하면서 건국된 것이 아니라 여러 세력이 모여 합의로 세운 나라였기 때문에 시조의 영웅적인 모습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혁거세와 석탈해, 김알지는 서로 기반이 달랐던 듯하다. 석탈해는 사료에 나와 있는 것처럼 바다를 거쳐 신라에 도착하였다는 점에서 해양 세력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김알지는 황금 상자에 담겨 있었다고 하는데, 황금 상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철기와 제련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므로, 김알지는 발전된 야금(冶金) 기술을 확보하고 있던 북방 세력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신라의 세 시조 신화에는 주인공이 모두 신성하게 그려져 있을 뿐 아니라 유이민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개개의 세력 기반이 다르고 신성성을 강조하는 모티프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 아울러 혁거세가 난생인 반면 김알지는 태생(胎生)이라는 점에서 한층 사실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세 시조 신화가 일시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신라가 국가의 모습을 갖추어 나가는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되어 갔음을 말해 준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논문

「신라 건국 설화의 연구」,『민족문화논총』6,김화경,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1984.「신라의 건국신화와 의례」,『한국고대사연구』39,나희라,한국고대사학회,2005.「신라건국설화의 연구」,『대구사학』4,문경현,대구사학회,1972.「건국신화에 대한 일고찰-고구려⋅신라를 중심으로-」,『부산사학』19,장지훈,부산사학회,1990.

저서

『한국고대의 건국신화와 제의』, 김두진, 일조각, 1999.『신라의 역사』1⋅2, 이종욱, 김영사, 2002.

편저

『신라와 가야의 건국신화』, 박상란, 한국학술정보(주), 2005.『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1(고조선⋅삼국), 서의식⋅강봉룡, 솔출판사, 2002.「건국신화와 시조 신화」, 최광식, 국사편찬위원회, 2003.

관련사이트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통일신라 몇년?

통일신라(統一新羅)는 676년부터 935년까지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정복하고, 나당전쟁에서 승리하여 한반도를 통합한 이후의 신라를 지칭하는 말이다.

통일신라 몇세기?

7세기 중엽 신라 통일부터 10세기 초반 멸망 때까지 부산의 역사. 삼국을 통일한 676년 이후부터 멸망할 때까지 부산의 행정 조직과 통치 구조, 사상과 신앙 활동, 대외 교류, 문화 및 명소 등에 살펴본다.

삼국시대 몇 년?

고구려·백제·신라의 세 나라가 정립하였던 한국사의 한 시기. 『삼국사기』에 나타나는 삼국의 건국 연대(신라 : 서기전 57, 고구려 : 서기전 37, 백제 : 서기전 18)로부터 660 백제 멸망, 668 고구려 멸망까지의 700여 년간을 말한다.

백제 몆년?

678년 동안 존속한 백제 역사의 전개과정을 수도 변천을 중심으로 보면 한성도읍기(漢城都邑期: 기원전 18∼기원후 475), 웅진도읍기(熊津都邑期: 475∼538), 사비도읍기(泗沘都邑期: 538∼660)로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