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외국 - sachon-i ttang-eul samyeon baega apeuda oegug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외국 - sachon-i ttang-eul samyeon baega apeuda oegug
김동성 본지 대표이사

우리나라 속담에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이 있다. 남이 잘되는 것을 기뻐해주기 보다는 시기하고 질투한다는 말이다. '표준 국어대사전'에는 '남이 잘되는 것을 기뻐해 주지는 않고 오히려 질투하고 시기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 적고 있으나 유래나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근래에 와서는 배 아픈 범위가 '사촌'에서 이웃·사돈·형제까지 범위가 확대되기도 한다. 왜 이런 속담이 생겨났을까? 단순히 '우리 민족성 문제'라고 말하기에는 좋은 행태의 어감은 아니다. 그렇다고 선조들 때부터 유래된 속담인데 근거 없는 말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좋은 방향으로 해석하자면 '자신이 잘되는 것에 다른 사람이 질투할 수도 있으니 언행을 조심하라'는 교훈으로 볼 수 있다.

조선시대 한글소설 '흥부전'에서 놀부가 심술을 부리는 것을 보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속담이 백 번 이해가 간다. 성경 창세기편에 등장하는 '카인'이 시기와 질투심으로 동생 '아벨'을 죽인 범죄 또한 인간의 본성을 나타낸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런데 요즘 이 속담의 해석을 달리하자는 바람이 불고 있다. 말과 글의 유래는 객관적인 고증과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우리 민족성을 좋게 보고자 하는 마음에서 재해석 하고 있어 애교로 읽어 볼만하다는 평이다. 또한 주위와 경쟁하며 살아야 하는 현대인들에게는 한번쯤 삶을 되돌아보고 성찰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재미있다고들 한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의 원래 속담은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파야 한다'로 좋은 의미에서 사용됐다고 한다. 사촌이 땅을 샀으니 축하는 해야겠는데 가진 것은 없고, 땅에 거름이라도 보태주기 위해서 배가 아파 똥(거름)을 보태주기 위한 배려의 마음에서 유래됐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이 우리 민족정신 말살정책으로 상대방이 잘되면 시기하고 질투하는 민족인양 의도적으로 말을 바꾼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니 이를 바로 잡아 '본디 우리 민족은 상대방이 잘되면 진심으로 축하할 줄 아는 민족'이라는 것을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SNS로 세상과 소통한다. 하지만 SNS 공간에 시기와 질투가 나쁜 뉴스와 가짜뉴스 형태로 나타나면서 문제가 심각해졌다. 일부 관종(관심받은 싶어하는 종자)들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제로 국가적인 재난 위험방송을 하고 있는데도 흥미위주의 가짜뉴스를 생산하고 있다. 이들은 진실에는 관심이 없고 미디어 소비자들의 비이성과 혐오·증오를 부추켜 감염시킨다. 이들의 숙주 노릇을 일부 언론들이 하고 있으니 문제가 심각하다. 눈꼴이 시려 남이 잘되는 꼴을 못 보는 인간들로 인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있을까? 특히 '언론'이라는 무기로 잔인한 학살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예전 라면업계의 1위였던 '삼양라면'은 '공업용 소기름 파동'이라는 과장된 뉴스로 도산 위기까지 갔고, '음식물 쓰레기로 만두소를 만든다'는 보도로 이 회사 사장은 자살을 했다. 하지만 '만두소'는 무해하다는 판결을 받았다.

또 황토팩으로 성공했던 한 여배우는 '황토팩에 중금속이 함유됐다'는 근거 없는 의혹보도로 사업실패 후 이혼에 암까지 얻어 결국 사망했다. 황토팩에 중금속이 있다는 보도내용은 허위였다. 기자는 그럴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었다는 상황근거로 무죄를 받았다.

우리 사회는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고, 남이 잘되는 꼴을 보면 눈꼴이 시려 못보는 인간들로 인해 얼마나 더 아파야 할까? 특혜의혹이라는 제목 아래 기사내용은 별다른 사실과 특혜의 근거가 추측성 뿐인 기사가 합리적 의심이라는 언론의 무기를 만나면서 진실을 왜곡하는 것이다. 근거 없는 의혹 보도는 남의 생명도 앗아갈 수 있다. 가짜언론, 나쁜 언론을 생산하는 자들은 자신들이 무슨 잘못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가 아니라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파야 할 텐데'로 변화되는 세상을 기대 해본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외국 - sachon-i ttang-eul samyeon baega apeuda oegug
김창년 윤앤김내과 원장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는 속담을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

우리 인체는 참으로 신비스럽다. 시키지않아도 일을 척척 해낸다. 밥을 먹고 소화를 시키고 영양분을 흡수해 에너지를 만들고 또 대변으로 만들어 배설을 시킨다. 컴퓨터처럼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알아서 처리한다. 이런 일을 담당하는 것이 '자율신경계'다. 자율적으로 일을 한다는 뜻이다. 자율신경은 우리 몸 구석구석에 퍼져서 모든 신체 활동을 관장한다. 이런 자율 신경의 기능 이상을 사람이 가장 흔하게 느낄 수 있는 장기가 위와 장이다.

누구나 급하게 먹으면 얹히기 마련이다. '얹힌다'라는 말은 사실 의학용어는 아니다. 외국인에게 이 단어를 설명하기란 매우 곤혹스럽다. 어떤 의학 서적에서도 이와 비슷한 뜻의 단어를 찾을 수 없다. 누구나 한번 쯤은 느껴본 증상인데도 말이다.

위란 장기는 무척이나 예민해서 자기가 일을 할 수 있는 범주를 넘어서면 탈이 난다. 하루에 10개밖에 소화를 못시키는 위장에 20개를 밀어넣으면 불편해지는 것은 당연하다.

자율신경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적당한 양의 음식, 적당한 간격의 식사시간, 술을 비롯한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의 섭취 그리고 위장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천천히 먹는 것, 이것이 늘 소화 불량이나 위통으로 시달리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치료법이다.

그러면 장은 어떨까? 환자들중 많은 사람들이 호소하는 것이 장과 관련된 증상이다. '술만 먹으면 다음날 배 아프고 설사해요' '배 아프다가 화장실 다녀오면 배가 안아파요' '변이 늘 묽어요' 모두 과민성 장증후군의 주증상이다.

과민성 장증후군은 말 그대로 장 기능이 비정상적이라는 뜻이다. 장기능이 너무 예민하면 설사가 주증상이 되고 너무 둔하면 변비가 주증상이 된다. 이런 과정에는 여지없이 자율신경이 관여한다.

큰 발표를 앞두면 꼭 화장실에 가서 설사를 하는 직장인들이 있다. 시험기간만 되면 배 아프다고 하는 학생들도 있다. 이들이 모두 꾀병일까? 꾀병이 아니다. 갑작스런 스트레스에 의해 장으로 가는 자율신경이 마구 요동을 치는 탓이다. 이런 경우는 스트레스가 해소되면 통증은 바로 없어진다.

그럼 이걸 완전히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애석하게도 없다. 외부의 위기에 대응하는 신체의 방어 기전중 하나로 앞서 말했듯이 자율 신경은 내맘대로 어떻게 해볼수 있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약을 먹으면 어떨까? 불편감을 일시적으로 해결할 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아니다.

요즘에는 과거와 달리 대장 내시경 검사를 많이 시행한다. 그래서 과거에 비해 대장암 사망률이 많이 줄었고 암 전단계인 용종을 발견해서 제거하는 환자들이 많아졌다.

그러면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들의 대장 내시경 소견은 어떨까? 정상이다. 정상이라고 해도 너무 정상이다. 환자는 허탈해한다. 난 이렇게 불편한데 내시경이 정상이라니. 그건 앞서 말했듯이 장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불편감 들은 장 기능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늘 불편감을 달고 사는 사람들은 어떻게 해결을 할 것인가?

어떤 약을 처방할 것인가는 의사가 해결해야 할 부분이지만 환자가 스스로 해결해야 될 부분도 있다. 술을 늘 마시는 남자들이 다음날 대변을 무르게 여러차례 보는 것은 술을 먹는 이상은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술과 기름진 음식이 주된 악화 요인이기 때문이다. 규칙적인 운동과 채식 위주의 식사 역시 큰 도움이 된다.

이런 해결책이 너무 고리타분 하다고 생각한다면 또 다른 방법이 있다.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사는 것이다. 그대로 둬서 몸에 큰 탈이 날 경우는 별로 없다. 사촌이 땅을 사면 진짜 배가 아플까?  아플 수도 있겠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외국 - sachon-i ttang-eul samyeon baega apeuda oegug

어제 평소에 관심이 있던 분야의 세미나에 참석해 강의를 듣던 도중 그 교수님의 강의에서 인용했던 속담 바로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이 우리나라에만 존재 한다는 말을 듣고 집에 오다 궁금증이 생겼다.

과연 우리나라에만 있는 속담일까? 신나게 검색을 통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았다.

영어에 Turning green with envy 라는 속담도 있고 일본에도 隣の芝生は青く見える(옆집 잔디는 파랗게 보인다) 라는 속담이 있다.

우리는 왜 이 말을 한국인의 고유한 습성이라고 알고 있었을까?

더 자세히 찾아보니 배가 아프다가 아닌 사촌이 땅을 사면 배라도 아파야 합니다'라는 원래 아주 좋은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사촌이 땅을 샀으니 축하는 해야겠는데 가진 것이 없으니 배라도 아파 그 땅에 설사라도 해서 거름을 하게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갸륵한 뜻이다.

사촌이 땅을 산 것을 진심으로 축하 하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일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의미를 지닌 말을 일제시대 일본은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정 반대의 시기와 질시가 섞인 아주 나쁜 말로 바꾸어 놓아 버렸다.

조선 민족은 상대방이 잘 되면 시기하고 질투하는 민족인 냥 의식적으로 말을 바꾼 것이다. 그런데 그 잘 못 된 말을 일본에서 해방 된지 반세기가 지났는데도 바로잡음 없이 그대로 쓰고 있으면서 한편으로는 이해가 갔던 것은 무엇일까?

“우리나라에만 있는 아주 나쁜 국민성의 한국 속담입니다”라는 말을 듣고 이 말에 교수님 그건 잘못된 표현입니다 하고 외치지 못하고 고개를 끄덕인 이유가 나도 티비를 보며 제가 요즘 왜 뜨는 거야? 저게 웃겨? 라고 말하며 누군가를 깍아 내리기 위한 깍아 내림을 한게 아니였는지를 생각 하며 내 자신이 부끄러워 졌다, 이렇게 내 인생을 불행하게 만드는 시기 질투 열등감은 접어두고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의 예전의 뜻대로 누군가에게 도움의 거름이 되기위한 배아픔이 되어지길 노력해야 겠다.

황현희 개그맨

<스포츠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