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축척 뜻 - jido chugcheog tteus

지도 축척 뜻 - jido chugcheog tteus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Scale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한 번역 안내를 보려면 [펼치기]를 클릭하십시오.

  • 신뢰성 있고 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내용이 포함된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지도 축척 뜻 - jido chugcheog tteus

축척(縮尺)은 실제의 거리를 지도 상에 축소하여 표시하였을 때의 축소 비율을 의미한다.

'5km의 거리는 5만분의 1 지형도상에서 몇 cm가 되는가'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계산식으로 간단히 구할 수 있다. 5km=5,000m=500,000cm 500,000(cm)*1/50,000(축척)=10cm. 즉 5km를 cm로 고치고 거기에 축척을 곱하면 되는 것이다.

반대로 지도상의 거리에서 실제 거리를 구할 수도 있다. 5만분의 1 지형도에서의 1cm는 실제 거리에서는 그 5만 배인 50,000cm=500m가 되며, 2만 5,000분의 1 지형도의 1cm의 실제 거리로는 2만 5,000배인 25,000cm=250m가 된다. 축척은 1/10,000 또는 1:10,000, 1만분의 1 등과 같이 분수나 비례식으로 나타낸다.

대축척(Large Scale) 소축척(Small Scale)

지도 축척 뜻 - jido chugcheog tteus

지도 축척 뜻 - jido chugcheog tteus

축척의 정의

 지도를 그릴 때에는 실제 모양을 그대로 다 그릴 수 없기 때문에 실제보다 줄여서 글리게 된다. 이처럼 실제의 땅모양을 지도위에 나타내기 위해 실제의 거리를 일정한 비율로 줄인 것을 축척이라 합니다. 또한 같은 지역을 나타낸 지도라 하더라도 축소한 비율, 즉, 축척에 따라서 지도의 자세한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축척의 계산법

 지도의 축척이 1:25,000이라는 것은 지도상의 1cm가 실제거의 25,000cm를 의미 한다는 것입니다. 즉 실제 거리 25,000cm (250cm)를 지도상에서 1cm로 줄여 표시 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축척이 1:50,000이라는 것은 실제 거리 50,000(500m)를 지도상에서 1cm로 줄여 표시 했다는 뜻입니다.

 

지도 축척 뜻 - jido chugcheog tteus

축척의 활용예

 축척이 1:50,000인 지도에서 면적이 1.제곱cm인 밭의 실제 면적은?

면적이 1제곱cm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cm입니다.

즉 지도상에서 가로, 세로 길이가 1cm인 정사각형이 실제 지표상에서 어느 만큼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지 묻는 문제입니다.

축척이 1:50,000이므로 지도상의 1cm는 실제 거리 50,000cm 다시 말해 500m(0.5km)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밭의 실제 면적은 0.5(km)X0.5(km)=0.2제곱km

축척에 따른 치수의 확대

소축척 지도는 비교적 넓은 지역을 간략하게 나타낸 지도로, 우리나라 전도나 세계전도 등이 포함됩니다.

대축척 지도는 비교적 좁은 지역을 상세하게 나타낸 지도로, 대표적인 것으로 1:50,000 또는 1:25,000등의 지도가 있습니다.

1:25,000 지도와 1: 50,000지도는 모두 대축척 지도에 포함됩니다.

그런데 두 가지를 비교한다면 500m를 1cm로 줄인 1:50,000 지도보다는 250m를 1cm로 줄여서 표현한 1:25,000지도가 더 자세합니다.(더 작은 부분까지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축척을 비교할 때에는 분수로 나타내는 편이 더 쉽습니다. 즉 1:25,000=1/25,000. 1:50,000=1/50,000로 나타내서 비교하면 1/25,000 > 1/50,000 분수로 나타냈을 때 더 큰 쪽 (분모가 작은 쪽)이 더 상세한 지도입니다.

[출처] 지도축척의 개념|작성자 다울이

지도에 쓰이는 기호 모음

교육부 공식 블로그

축척이 하는 거짓말 본문

학습자료/사회

축척이 하는 거짓말

대한민국 교육부 2015. 9. 30. 16:03

축척이 하는 거짓말

■ 지도는 왜 거짓말을 하나요?

지도에는 위치, 거리, 방위 등 다양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그런데 실제 모습을 축소해서 그리다 보니 실제 지표상의 모든 것을 담을 수가 없고 따라서 특정한 지형, 건물 등을 선택하여 그리게 됩니다. 또 공과 같이 입체적인 형태의 지구 표면을 평면인 종이에 옮기려고 할 때에도 어쩔 수 없이 실제의 모습과는 다르게 표현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로 인해 지도의 거짓말은 시작됩니다. 지도의 요소 중에서도 특히 축척, 투영법, 기호로 인해 왜곡이 일어납니다. 

축척이란 무엇일까?

축척은 실제 지표상의 거리를 지도 위에 일정한 비율로 줄인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축척이 1:5,000인 지도가 있다면, 이 지도 위의 1cm는 실제 지표에서의 5,000cm(50m)와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축척은 비율이나, 분수, 막대자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축척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출처: 에듀넷)

소축척지도와 대축척지도 

지도는 축척에 따라 소축척지도와 대축척지도로 나누어집니다. 소축척지도는 넓은 지역을 많이 축소한 지도를 말하고, 대축척지도는 좁은 지역을 조금 축소한 지도를 말합니다. 소축척지도와 대축척지도는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축척이 1:100,000보다 작으면 소축척지도, 1: 50,000보다 크면 대축척지도라고 이야기합니다. 

소축척지도는 보통 1:1,000,000이나 1:6,000,000의 축척으로 넓은 지역을 간단하게 줄여서 나타낸 지도입니다. 넓은 지역의 모습을 좁은 지도 위에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지도에 많은 내용을 나타낼 수는 없지만, 지역 전체의 대략적인 형태나 여러 지역의 위치, 배치 상태, 중요한 산과 강의 모습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도나 세계지도는 대표적인 소축척지도라고 할 수 있지요. 한편, 대축척지도는 1:1,000이나 1:5,000 정도의 축척을 가지고 나타낸 지도를 말합니다. 소축척지도보다 실제의 모습을 덜 줄였기 때문에 좁은 지역을 자세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가까운 곳으로 부모님의 심부름을 가거나 우리 동네의 지리에 대해 알고 싶을 때에는 이러한 대축척지도를 활용할 수 있답니다. 

■ 축척에 따라 지도에 담긴 정보의 내용과 양이 달라져요.

혹시 인터넷 지도를 이용해본 적이 있나요? 인터넷 지도는 언제 어디서든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마우스 조작만으로도 다양한 축척의 지도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도의 귀퉁이를 잘 살펴보면 화면을 확대하고 축소할 때마다 축척이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화면을 확대하면 그 지역에 대한 아주 세세한 내용을 알 수 있고, 화면을 축소하면 큰 도로와 주요 관공서 등의 중요한 정보가 선택적으로 담겨 있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 이와 같이 지도는 축척에 따라서 그 안에 표현할 수 있는 정보의 양과 내용이 달라집니다. 아래 지도를 통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지도 축척 뜻 - jido chugcheog tteus

▲ 서로 다른 축척으로 나타낸 제주도의 지도(출처: 에듀넷)

위에서 제시한 4개의 지도는 서로 다른 축척으로 나타낸 제주도의 지도입니다. 

첫 번째 지도는 1:5,120,000 축척의 지도입니다. 제주도의 위치와 전체적인 형태, 그리고 제주도가 제주시와 서귀포시로 나누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는 제주도에 대한 어떤 정보도 얻을 수가 없습니다. 

두 번째 지도는 1:320,000 축척의 지도입니다. 첫 번째 지도보다 제주도가 크게 그려져 있고, 공항, 항구, 주요 교통로와 관광지의 위치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지도 역시 제주도의 전체적인 모습을 알기에 편리합니다. 

세 번째 지도를 볼까요? 이 지도는 1:40,000 축척으로 그려진 지도입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지도보다 제주도의 크기가 훨씬 커졌습니다. 이제 제주도의 전체적인 모습은 한 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면적이 넓어진 만큼 지도에 표현되어 있는 지명이 많습니다. 제주도청뿐만 아니라 제주시청의 위치도 표시되어 있고 법원이나 큰 병원, 호텔 등의 위치를 알 수 있답니다. 

마지막 지도는 1:2,500 축척의 지도입니다. 이 지도에는 제주시청 주변의 도로와 아파트, 음식점, 작은 의원 등의 건물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도로의 모습뿐만 아니라 각각의 도로명 주소까지도 한 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이곳에 있는 건물을 찾아가려고 할 때 다른 지도들보다 유용해 보입니다. 

첫 번째 지도에서 마지막 지도로 갈수록 축척이 점점 커집니다. 굳이 구분을 하여 말하자면 앞의 2개 지도는 소축척지도, 뒤의 2개 지도는 대축척지도라고 할 수 있지요. 이 지도들을 비교해보면 축척이 작을수록 넓은 지역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축척이 커질수록 좁은 지역의 모습이 점점 더 자세히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어떤 축척의 지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지도가 담고 있는 정보의 양이 달라지고, 이와 같은 정보의 차이로 인해 우리는 같은 지역에 대해서도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을 이용해서 사람들은 자신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축척의 지도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지도가 말하는 진실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축척의 의미를 이해하고, 지도를 비판적으로 읽는 자세가 필요하답니다. 

[자료출처: 에듀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