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그래프 30년 - hwan-yul geulaepeu 30nyeon

  • [지표 해석]

    ■ 환율 추이 분석

      ° 외환위기 영향으로 ‘97년에 환율이 급등하였으나 ’98년부터는 다시 하락

         (‘96 : 844.9 → ’97 : 1,695.0 → ‘98 : 1,204.0)

      ° ‘99~’01년 보합권 유지 후 ‘02년부터 점진적으로 하락

          (‘02 : 1,186.2 → ’03 : 1,192.6 → ‘04 : 1,035.1 → ’05 : 1,011.6 → ’06 : 929.8)

       -   ‘99~’01년에는 원/달러 환율이 등락을 거듭하다가 ‘02년부터 글로벌 달러약세가 전개되고, 외환위기를 완전히 극복하는 과정에서 수출호조, 외국인자금유입 등으로 달러공급이 많아지면서 추세적으로 하락

      ° ‘07년 소폭 상승

          ('07 : 936.1) : 전년말대비 6.3원 상승

       -  그동안 과도한 원화절상에 대한 반작용, 미국 서브프라임 위험에 따른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현상 등으로 상승 반전

      ° ‘08년 큰폭 상승

          ('08 : 1259.5) : 전년말대비 323.4원 상승

       -  경상수지 적자 전환, 외국인 주식 순매도 및 글로벌 신용경색에 따른 세계경제 침체 등으로 전년 대비 상승

      ° ‘09년 하락

          ('09 : 1164.5) : 전년말대비 95.0원 하락

       -  09년3월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가 해소 국면을 보이면서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주식순매수 등으로 전년 대비 하락

      ° '10년 소폭 하락

          ('10 : 1134.8) : 전년말대비 29.7원 하락

       -  천안함, 연평도 사태 등으로 일시적으로 급등세를 보였으나, 양호한 경제 펀더멘탈 등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하락

      ° '11년 소폭 상승

          ('11 : 1151.8) : 전년말대비 17원 상승

      ° '12년 하락

          ('12 : 1070.6) : 전년말대비 81.2원 하락

      °  '13년 하락

          ('13 : 1055.4) : 전년말대비 15.2원 하락

      °  '14.6월말 하락

          ('14.6월말 : 1011.8) : 전년말대비 43.6원 하락

      °  '14.12월말 소폭 상승

          ('14.12월말 : 1099.3): 전년말대비 43.9원 상승

      °  '15.12월말 상승

          ('15.12월말 : 1172.5): 전년말대비 73.2원 상승

      °  '16.12월말 소폭 상승

          ('16.12월말 : 1207.7): 전년말대비 35.2원 상승

      °  '17.12월말 하락

          ('17.12월말 : 1070.5): 전년말대비 137.2원 하락

      °  '18.12월말 소폭 상승

          ('18.12월말 : 1115.7): 전년말대비 45.2원 상승

      °  '19.12월말 소폭 상승

          ('19.12월말 : 1156.4): 전년말대비 40.7원 상승

      °  '20.12월말 하락 

          ('20.12월말 : 1086.3): 전년말대비 70.1원 하락

      °  '21.12월말 상승 

          ('21.12월말 : 1188.8): 전년말대비 102.5원 상승

      ※ 원/달러환율은 여러 대내외 요인의 영향을 받는데, 이는 국제수지, 외국인 증권매수자금 등 외환수급동향, 미 달러화 등의 주요국 환율동향 등에 의해 결정됨

      ※ 최근 10년간의 환율 및 향후 환율 역시 이러한 대내외 요인들을 반영하여 결정되고 앞으로도 결정될 것이므로, 일방적인 환율 전망 및 정책방향에 대한 예측은 다소 어려움

  • 1970-2020년 원달러 환율, 원엔 환율, 엔달러 환율 그래프

    환율은 각 나라 화폐의 상대적 교환가치

    환율은 각 나라 화폐의 상대적 교환가치를 나타냅니다. 원/달러 환율이 1,000원이라면 1달러 당 1,000원이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나라는 특이하게도 자국 화폐 기준으로 환율을 표시하는 게 아니라 상대 화폐를 기준으로 환율을 표시하는데 가령 미국의 경우 1달러 기준으로 상대 통화가 얼마인지를 표시하는데 우리도 미국처럼 1달러 당 원화가 얼마인지 표시하거나 엔화의 경우 100엔을 기준으로 원화가 얼마인지 표시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타국 화폐 기준으로 환율 표시

    이렇게 상대국 기준으로 표시하는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개인적으로 추정하기에는 우리가 달러나 엔과 같이 기축통화가 아니라서 기축통화를 기준으로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이다 보니 수출기업에 유리한 방식으로 환율을 표시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환율 계산의 어려움

    우리나라의 환율 표시 기준으로 하여 환율이 높으면 원화의 상대적 가치가 낮은 것이고, 환율이 낮으면 원화의 상대적 가치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반대로 사고해야 하기 때문에 환율을 계산하는 게 조금 더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환율이 낮을수록 일반 국민에게 유리

    환율은 두 화폐간의 상대적 교환가치를 표시하기 때문에 무조건 높거나 무조건 낮다고 해서 좋거나 나쁘다고 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환율 계산 기준으로 환율이 높으면(자국의 통화 가치가 낮으면) 수출기업에게 유리하고 환율이 낮으면(자국의 통화 가치가 높으면) 수입기업과 일반 국민에게 유리합니다. 국민의 입장에서는 환율이 낮을수록 수입하는 제품의 가격이 낮아지고 해외여행을 할 때도 더 유리하게 되는 것입니다. 

    1970년부터 2020년까지의 원/달러 환율 그래프

    환율 그래프 30년 - hwan-yul geulaepeu 30nyeon
    1970년부터 2020년까지의 원/달러 환율 그래프

    1970년 316.7원, 1971년 373.3원, 1972년 398.9원, 1973년 397.5원, 1974년 484.0원, 1975년 484.0원, 1976년 484.0원, 1977년 484.0원, 1978년 484.0원, 1979년 484.0원, 1980년 659.9원, 1981년 700.5원, 1982년 748.8원, 1983년 795.5원, 1984년 827.4원, 1985년 890.2원, 1986년 861.4원, 1987년 792.3원, 1988년 684.1원, 1989년 679.6원, 1990년 716.7원, 1991년 759.5원, 1992년 786.5원, 1993년 807.2원, 1994년 788.5원, 1995년 775.7원, 1996년 844.2원, 1997년 1,695.0원, 1998년 1,204.0원, 1999년 1,138.0원, 2000년 1,264.5원, 2001년 1,313.5원, 2002년 1,186.2원, 2003년 1,192.6원, 2004년 1,035.1원, 2005년 1,011.6원, 2006년 929.8원, 2007년 936.1원, 2008년 1,259.5원, 2009년 1,164.5원, 2010년 1,134.8원, 2011년 1,151.8원, 2012년 1,070.6원, 2013년 1,055.4원, 2014년 1,099.3원, 2015년 1,172.5원, 2016년 1,207.7원, 2017년 1,070.5원, 2018년 1,115.7원, 2019년 1,156.4원, 2020년 1,086.3원

    1970년부터 2020년까지의 원/100엔 환율 그래프

    환율 그래프 30년 - hwan-yul geulaepeu 30nyeon
    1970년부터 2020년까지의 원/100엔 환율 그래프

    1970년 88.5원, 1971년 118.6원, 1972년 132.1원, 1973년 142.0원, 1974년 160.8원, 1975년 158.6원, 1976년 165.3원, 1977년 201.7원, 1978년 248.7원, 1979년 201.9원, 1980년 325.3원, 1981년 318.9원, 1982년 320.2원, 1983년 343.6원, 1984년 330.6원, 1985년 443.7원, 1986년 538.4원, 1987년 642.3원, 1988년 547.7원, 1989년 472.1원, 1990년 532.4원, 1991년 607.2원, 1992년 633.0원, 1993년 722.5원, 1994년 790.7원, 1995년 749.2원, 1996년 726.5원, 1997년 1,302.8원, 1998년 1,050.2원, 1999년 1,114.6원, 2000년 1,101.5원, 2001년 1,009.4원, 2002년 999.9원, 2003년 1,115.4원, 2004년 1,009.7원, 2005년 858.5원, 2006년 783.4원, 2007년 828.6원, 2008년 1,396.8원, 2009년 1,264.5원, 2010년 1,393.6원, 2011년 1,481.2원, 2012년 1,238.3원, 2013년 1,002.3원, 2014년 913.0원, 2015년 974.1원, 2016년 1,035.4원, 2017년 949.3원, 2018년 1,008.9원, 2019년 1,059.8원, 2020년 1,051.2원

    1970년부터 2020년까지의 엔/달러 환율 그래프

    환율 그래프 30년 - hwan-yul geulaepeu 30nyeon
    1970년부터 2020년까지의 엔/달러 환율 그래프

    1970년 357.7엔, 1971년 314.8엔, 1972년 302.0엔, 1973년 280.0엔, 1974년 301.0엔, 1975년 305.2엔, 1976년 292.8엔, 1977년 240.0엔, 1978년 194.6엔, 1979년 239.7엔, 1980년 202.9엔, 1981년 219.6엔, 1982년 233.9엔, 1983년 231.5엔, 1984년 250.3엔, 1985년 200.1엔, 1986년 160.0엔, 1987년 123.4엔, 1988년 124.9엔, 1989년 144.0엔, 1990년 134.6엔, 1991년 125.3엔, 1992년 124.6엔, 1993년 111.9엔, 1994년 99.8엔, 1995년 103.4엔, 1996년 116.2엔, 1997년 130.1엔, 1998년 114.7엔, 1999년 102.1엔, 2000년 114.4엔, 2001년 131.4엔, 2002년 118.6엔, 2003년 106.9엔, 2004년 102.5엔, 2005년 117.8엔, 2006년 118.7엔, 2007년 113.0엔, 2008년 90.2엔, 2009년 92.1엔, 2010년 81.4엔, 2011년 77.8엔, 2012년 86.5엔, 2013년 105.3엔, 2014년 120.4엔, 2015년 120.4엔, 2016년 116.6엔, 2017년 112.8엔, 2018년 110.6엔, 2019년 109.1엔, 2020년 103.3엔

    1985년 플라자합의 이후 일본 엔화 절상

    일본은 1985년 플라자합의 이후 엔화 절상(자국 화폐가치 상승)되어 1980년대 중반 이후 일정한 엔/달러 환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플라자합의의 실상은 당시 미국이 대일본 무역적자를 만회하기 위한 견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일본은 미국의 부동산이나 기업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해외에 투자를 많이 하게 됩니다.  

    200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의 월별 원/달러 환율

    환율 그래프 30년 - hwan-yul geulaepeu 30nyeon
    200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의 월별 원/달러 환율

    2000년 들어 김대중, 노무현 정부기간 동안 원화의 가치가 꾸준히 상승하여 900원대까지 가다가 2007-2008년 금융위기로 크게 출렁이고 이어서 1,000원~1,200원 수준에서 변동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의 월별 원/100엔 환율

    환율 그래프 30년 - hwan-yul geulaepeu 30nyeon
    200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의 월별 원/100엔 환율

    2010년대 중후반 원화 가치 상승으로 인해 일본 여행 증가

    원/100엔 환율을 보면 1,000원당 100엔으로 생각하면 편한데 이명박 정부기간에는 1,200~1,400원대로 원화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그러다가 박근혜 정부 들어 원화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한국의 일본 여행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이러한 일본 여행 증가는 2019년 중순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일본 여행 급감 

    2019년 7월 1일 일본이 갑자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를 한국에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면서 한국 국민들의 반일감정을 자극하게되어 이후 일본 여행상품뿐만 아니라 일본 제품에 대한 자발적인 불매운동이 벌어지게 됩니다. 특히 한국과 가장 가까우면서 한국 관광에 절대적 의존도가 높은 대마도의 경제는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이상 통계의 늪이었습니다.

    *환율 통계 출처 :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 외화자금과, 044-215-4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