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얼마나 높이 얼마나 멀리

가장 멀리, 높이 나는 도요새들

‘너희들은 모르지

우리가 얼마나 멀리 날으는지

너희들은 모르지

우리가 얼마나 높이 날으는지

너희들은 모르지

우리가 얼마나 빨리 날으는지

너희들은 모르지

우리가 어떤 꿈을 꾸는지’

우리가 얼마나 높이 얼마나 멀리
지난가을, 남행 여행길에 오른 도요새

춘분과 청명을 지나 곡우가 가까운 어느 봄날, 노랫소리를 들으면서 새벽안개가 자욱한 서해대교를 지나 금강하구에 위치한 도요새들의 중간기착지인 유부도로 향했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청정지역인 유부도에는 새들의 출입은 허용하나 육지인들의 출입을 제한한다는 안내가 있었다. 코로나-19 감염병의 창궐이 유부도 뱃길마저 끊어 놓았다.

본인은 지난 가을 유부도에서 남행 여행길의 여러 도요새들을 만났다. 그들 중에서 부리가 길고 아래로 굽은 마도요(영명 : Eurasian Curlew / 학명 : Numeniusarguata)와 알락꼬리마도요(영명 : Far Eastern Curlew / 학명 : Numeniusmadagascariensis) 등이 인상적이었다.

본인은 발길을 인근 지역의 장항읍 다사항 갯벌 및 솔리천 하구로 돌려 지난 가을에 만났던 도요새들을 기다리기로 했다.

도요새는 도요과에 딸린 새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도요새과에 속하는 새들의 종류가 다양한데, 한반도에 날아오는 것만 40여 종이 된다. 이들은 봄이 되면 남쪽 나라(뉴질랜드 및 호주 동남지방 등)에서 날아와 한반도(서해 및 남해 갯벌)에서 휴식을 취한 뒤 북쪽 나라(유라시아 대륙의 툰드라 초지 및 알래스카 서부지역)로 날아간다. 가을이 되면 이와 반대로 북쪽 나라에서 날아와 한반도에서 쉬고, 남쪽나라로 날아가는 철새들이다. 몸길이 12~60cm 정도의 작은 새이지만 멀리 그리고 높이 날기로는 손에 손꼽히는 독보적 종이다.

도요새의 한 종인 큰뒷부리도요(영명 :bar-tailed Godwit / 학명 : Limosalapponica / 몸길이 : 41cm)는 멀리 그리고 높이 날기의 명수다. 큰뒷부리도요들은 4월, 5월에 북행-봄 여행길에 오르는데. 뉴질랜드에서 쉬지 않고 10,300km를 날아 한반도 서해안(금강하구 등)의 중간기착지에 도달한다. 한반도에서 약 45일 동안 머물면서 영양분을 보충하고 또 다시 유라시아대륙의 동쪽 툰드라초지 및 알래스카의 서쪽지역까지 밤낮으로 6,500km를 날아간다.

봄여행길의 비행거리는 총 16,800km나 된다. 한반도의 금강하구에서 약 45일간의 중간기착지는 개체의 생존을 위한 영양분의 보충이고, 유라시아 대륙의 북쪽 툰드라 초원에서의 하절기(6~7월)는 자손 번식의 자양분이 된다. 그들은 9월이면 곧 닥쳐올 북극의 겨울 추위를 피해 남쪽 지역으로 쉬지 않고 8~9일 동안 밤낮으로 태평양을 가로질러 논스톱 비행(11,680km)으로 뉴질랜드 또는 호주의 동남쪽 지방에 도착한다.

그들은 가을 남행 시에는 최장의 논스톱 비행(11,680km)을 선택하나, 봄 북행시에는 한반도의 서해를 중간기착지로 약 45일의 영양보충 기간을 갖는 비행 노선을 선택하는 지혜를 보인다. 그 이유로 남행길과 달리 북행길에는 기류를 이용할 수 없고, 중간에 두둑하게 지방을 축적하고 번식지에 도착하는 것이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가 얼마나 높이 얼마나 멀리
봄철, 북행 여행길에 오른 도요새

도요새들의 중간기착지인 한반도 서해갯벌은 이들의 생과 사를 좌우하는 곳이다. 서해갯벌이 줄어들면서 우리나라를 찾는 도요새들의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를 찾는 도요새들의 개체 수가 줄어드는 것은 지구상의 도요새의 개체 수가 줄어드는 것이다.

내 친구, 도요새들의 중간 서식지인 한반도의 서해갯벌을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생태환경을 잘 관리하여 더 많은 도요새들이 찾아올 수 있는 낙원을 만드는데 모두 동참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해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깨알 상식

[깨알 상식]수평선까지의 거리 및 해발고도 기준점

해변에서 수평선까지의 실제거리 및 해발고도 기준점

해변에서 수평선까지는 얼마나 떨어져있을까?

우리가 바닷가에 나가면 저 멀리 아련하게 보이는 수평선을 보면서 가슴이 탁 트이는 느낌을 받는다.

그러면 과연 바닷가 백사장에 서서 멀리 보이는 수평선이 실제로 얼마나 떨어져 있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평선이 멀리 아스라히 보이기 때문에 몇 십km, 최소한 10km이상 떨어져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멀리 보이는 수평선은 실제로는 완만하게 둥글지만 우리가 보는 직선거리는 거의 평평해 보이기 때문에 엄청 멀어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일반인의 눈높이를 170cm정도라고 할 때 지구의 둘레를 감안해서 계산해보면 우리가 실제로 볼 수 있는 가시거리는 4km에 불과하다. 이 같은 거리에 대한 착각은 수평선을 육안으로 보는 가시거리는 직선이지만 실제로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신장 170cm의 눈높이에서 둥근 지구 모양을 고려하여 계산해 보면 4km 이상 떨어진 곳은 우리의 시선이 닿지 않는 지구 반대편에 해당한다.

즉, 4km 이후로는 지구는 둥글게 넘어가고 있는 지점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눈으로 볼 수 없는 위치이다. 그러기 때문에 4km보다 가까운 지점이 경계선으로 수평선이 되는 것이다.

물론 이는 사람이 서 있는 위치나 지형에 따라서 수평선의 위치는 달라진다. 바닷가 해안에 서서 바라보지 않고 해안에 높이 100m인 전망대를 설치해서 올라가 보면 수평선은 얼마나 멀어질까. 계산으로 하면 수평선은 36km나 멀어지게 된다.

우리나라 해발기준점 - 수준원점은 어디인가?

바닷가 이야기가 나온 김에 산의 높이를 이야기하는 해발에 대해서 알아보자

산의 높이를 재는 것은 해면을 기준으로 한다.  지면은 고저가 심해서 기준을 잡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전에 포스팅으로 소개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해발 기준은 인천 앞바다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바다라 하더라도 조수 간만의 차가 심하기 때문에 기준을 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수년간 조사해서 평균치를 계산해서 해발 0m정해서 적용하고 있다. 그 지점 즉 해발 0m를 육지에 옮겨 표시를 하는데 그것을 '수준원점'이라고한다. 이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모든 산의 높이를 정해 해발 몇m라고 표시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준원점 표시석은 인천광역시의 인하대학교 교내에 있다.

우리가 얼마나 높이 얼마나 멀리

http://blog.naver.com/eybs/220374659404

Well, this is our reception, so go away.

Go far with little or no environmental impact.

저희와 우리의 제품에 관하여 더 많은 것을 알기 위하여 더 멀리 가십시오.

Please go further to know more about us and our products.

Thanks. Go away for a few weeks and everything's different.

Go away for a few weeks and everything's different.- Thanks.

You have gone far enough.

You have gone too far.

Let's go far together.

Travelin' far' sir?

Press Play At 11:56PM& Walk Away!

You took it too far.

이렇게 높이 또는 멀리 갈 수 없는 경우 가능한 높이 또는 멀리 가십시오.

If you can't get this high or far, go as high as you can.

이렇게 높이 또는 멀리 갈 수 없는 경우 가능한 높이 또는 멀리 가십시오.

If this is not possible, go as high or far as you can.

이렇게 높이 또는 멀리 갈 수 없는 경우 가능한 높이 또는 멀리 가십시오.

If you can not get this high or far, go as high and far as you can.

이렇게 높이 또는 멀리 갈 수 없는 경우 가능한 높이 또는 멀리 가십시오.

If you cannot get this high or far, go as high or far as you can.

이렇게 높이 또는 멀리 갈 수 없는 경우 가능한 높이 또는 멀리 가십시오.

If you cannot get this high or

far,

go

as

high or as far

as

you can.

이렇게 높이 또는 멀리 갈 수 없는 경우 가능한 높이 또는 멀리 가십시오.

If you cannot get that high or far, go as high or far as you can.

이렇게 높이 또는 멀리 갈 수 없는 경우 가능한 높이 또는 멀리 가십시오.

If you aren't able to get that

far

or that high up,

get as far or

as

high

as

possible.

이 제품을 사용한 후에 안전에 따르면, 소켓에서 그것을 멀리 가지고 가십시오.

According to the safety, after using this product, please take it away from the socket.

Results: 5145, Time: 0.0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