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도체 시장 전망 - gugnae bandoche sijang jeonmang

올 하반기부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팹리스를 비롯한 국내 반도체 시장의 매출 감소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거시경제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등으로 생활가전, 모바일 등의 수요가 하락세에 들어서면서 반도체의 판매량 또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메모리는 수요가 줄자, 가격이 하락세에 들어섰다. 업계에서는 반도체의 혹한기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반도체 시장 전망 - gugnae bandoche sijang jeonmang
사진=이미지투데이

■ 올해 반도체 성장률 16.3→13.9%...8월 반도체 수출 7.8% 감소

시장조사업체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올해 반도체 시장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6월 16.3%로 전망했다가 지난달 말 13.9%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해 성장률(26.2%)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내년 반도체 시장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5.1%에서 4.6%로 수정했다.

반도체 중에서도 메모리의 낙폭이 가장 클 전망이다. WSTS는 올해 메모리 시장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8.7%에서 8.2%로 하향 조정했으며, 내년에는 0.6%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세계 메모리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에 빨강불이 켜진 것이다.

반도체 수요 감소는 곧장 국내 반도체 수출 감소로 나타났다. 메모리 뿐 아니라 시스템반도체를 공급하는 팹리스 업계도 영향을 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8월 반도체 수출은 107억8천만달러로 지난해 동월보다 7.8% 줄었다. 반도체 수출이 26개월만에 감소한 것이다. 반도체는 국내 수출에서 20%를 차지하는 주요 수출 품목이다.

반도체 수요가 줄어든 요인은 스마트폰, 가전, TV 등의 소비 시장 위축에 따른 결과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의 지난 7월 발표에 따르면 올해 TV 출하량은 2억200만대로 전년 보다 3.8% 감소될 전망이다. 이는 2010년(2억1천만대) 이후 12년만에 최저치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올해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3.5% 감소한 13억1천만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의 생산량이 줄어들자 반도체는 과잉 재고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전자제품 제조업체가 다수 위치한 중국에서 부품 재고 증가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팹리스 업계 관계자는 "올 2분기부터 중국 고객사에 칩 공급이 줄어들고 있다"며 "코로나로 인해 작년에 중국 고객사들이 칩을 미리 대량 구매했는데, 올해 세트제품 생산이 줄어들면서 고객사의 칩 재고가 많이 쌓인 상태"라고 설명했다.

■ 재고 증가로 메모리 가격 줄줄이 하락세

메모리 수요처의 재고가 쌓이자 엎친데 덮친 격으로 메모리 가격은 하락세에 들어섰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3분기 낸드플래시 가격이 당초 8~13% 하락한다고 전망했지만, 지난달 말 이를 13~18%로 확대했다. 이어 이달 1일에는 낸드플래시 웨이퍼 고정거래가가 30~35%로 더 떨어질 것으로 조정했다.

트렌드포스는 "낸드플래시 웨이퍼는 4분기에 20% 추가로 하락할 수 있다"며 "업계가 4분기와 1분기 사이에 가격을 협상하는데, 재고 증가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가격 하락이 지속될 전망이다"로 말했다.

D램 가격도 하락세다. 지난해 7월 D램 고정거래가격을 4.1달러로 정점을 찍고, 지난 8월 2.85달러로, 전월(2.88달러) 대비 1.04% 내렸다. 트렌드포스는 오는 4분기 D램 가격이 10~15% 가량 추가 하락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 반도체 전문가 60% "반도체 산업 내후년에도 위기"2022.09.05
  • 美, 中 반도체 고립작전 가속화…AI칩도 통제2022.09.01
  • 내년 산업부 예산 10.7조…"반도체 등 미래산업 육성"2022.08.30
  • 산업부, 이달 말 반도체 등 업종별 수출 전략 발표2022.08.24

산업통상자원부는 "신규 중앙처리장치(CPU) 출시 지연과 그간 축적된 재고 등으로 인해 당분간 가격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반도체 수출 감소세는 지속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지속되는 높은 에너지 가격, 주요국의 긴축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둔화와 중국의 성장세 회복 지연, 수요 약화에 따른 반도체 가격 하락이 우리 수출 증가세 둔화와 수지 악화를 유발하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반도체 시장 전망 - gugnae bandoche sijang jeonmang

클립아트코리아

내년 세계 반도체 시장이 역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주력 상품인 메모리 반도체가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돼, 삼성전자와 에스케이(SK)하이닉스의 실적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는 29일(현지시각) 내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가 올해보다 4.1% 줄어든 5565억달러(약 734조7400억원)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26.2%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지만, 올해 성장은 4.4%로 둔화하고 내년엔 오히려 쪼그라들 것이란 얘기다. 지역별로는 미주, 유럽, 일본, 아시아·태평양 지역 등 세계 여러 지역 가운데 여전히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허덕이는 중국이 포함된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역성장(7.5%)해 시장 부진을 이끌 것으로 예상됐다.

이 기구는 올해 8월만 해도 올해 13.9%, 내년 4.6% 성장을 예상했지만, 3개월 만에 전망을 대폭 하향 조정했다. 기구는 이런 결론을 내린 이유에 대해 “인플레이션 상승과 최종 시장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성장 전망치를 낮췄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라 2018년 반도체 호황 이듬해였던 2019년 이후 4년 만에 반도체 시장 규모가 줄어들게 됐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amp;amp;gt;도 전문가들을 인용해 2019년 반도체 불황 때보다 재고가 더 많이 불어나고 있다며, 4년 전보다 부진의 폭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다른 기관들도 비슷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미국의 아이티(IT) 조사업체인 가트너는 28일 반도체 시장이 올해 4.0% 성장한 뒤 내년에 3.6% 역성장할 것으로 봤다. 대만 국책 연구기관인 공업기술연구원도 내년 반도체 시장이 3.6%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가트너는 “현재 반도체 시장은 스마트폰·피시(PC) 등으로 구성된 소비자 주도 시장과 기업 주도 시장 사이에서 양극화돼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 주도 시장은 40년 만의 최악의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 같은 요인으로 인해 가처분 소득이 줄고, 사람들이 여행·레저 등을 스마트폰·피시 같은 기술 제품보다 우선시하며 침체가 예상된다. 기업 주도 시장은 경제 둔화와 지정학적 긴장에도 기업의 인프라 강화나 사업 확장 계획, 디지털화 전략 등에 힘입어 상대적으로는 나은 모습이라고 가트너는 분석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반도체 업계 업황 부진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이 점유율 1·2위를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와 가트너는 내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각각 17.0%, 16.2% 역성장할 것으로 봤다. 메모리 반도체는 이미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3분기 디램과 낸드플래시 평균 가격은 전 분기에 견줘 각각 15%와 28% 하락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amp;lt;블룸버그&amp;amp;gt; 통신은 지난달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반도체 수요에 대한 경고가 나오면서 애널리스트들은 2008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수밖에 없게 됐다”며 “주기적인 침체를 넘어 (첨단 기술 산업을 둘러싼) 미-중 사이 긴장 관계도 반도체 업계의 고민을 추가하고 있다”고 전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조해영 기자 &amp;lt;a href="mailto:"&amp;gt;&amp;lt;/a&amp;gt;&amp;lt;/div&amp;gt; &amp;lt;div title="관련기사" class="relation-tyA"&amp;gt; &amp;lt;h5&amp;gt;관련기사&amp;lt;/h5&amp;gt; &amp;lt;ul class="list"&amp;gt; &amp;lt;li&amp;gt; &amp;lt;a href="/arti/economy/economy_general/1069525.html"&amp;gt; &amp;lt;span class="photo"&amp;gt;&amp;lt;img src="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12/127/imgdb/child/2022/1130/53_16697678005514_20221130500544.jpg" alt="생산·소비 일제히 뒷걸음…경기 ‘겨울’ 온다" title="생산·소비 일제히 뒷걸음…경기 ‘겨울’ 온다" /&amp;gt;&amp;lt;/span&amp;gt; &amp;lt;span class="tit"&amp;gt;생산·소비 일제히 뒷걸음…경기 ‘겨울’ 온다&amp;lt;/span&amp;gt; &amp;lt;/a&amp;gt; &amp;lt;/li&amp;gt; &amp;lt;li&amp;gt; &amp;lt;a href="/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69139.html"&amp;gt; &amp;lt;span class="photo"&amp;gt;&amp;lt;img src="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12/127/imgdb/child/2022/1128/53_16695929700117_20221127502389.jpg" alt="내년 세계경제 둔화-회복 갈림길…중 ‘방역 연착륙’에 달렸다" title="내년 세계경제 둔화-회복 갈림길…중 ‘방역 연착륙’에 달렸다" /&amp;gt;&amp;lt;/span&amp;gt; &amp;lt;span class="tit"&amp;gt;내년 세계경제 둔화-회복 갈림길…중 ‘방역 연착륙’에 달렸다&amp;lt;/span&amp;gt; &amp;lt;/a&amp;gt; &amp;lt;/li&amp;gt; &amp;lt;li&amp;gt; &amp;lt;a href="/arti/economy/economy_general/1068166.html"&amp;gt; &amp;lt;span class="photo"&amp;gt;&amp;lt;img src="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12/127/imgdb/child/2022/1121/16690109171285_20221121502250.jpg" alt="주력 산업 수출 전망…반도체 9.9%감소, 2차 전지 17.3% 증가" title="주력 산업 수출 전망…반도체 9.9%감소, 2차 전지 17.3% 증가" /&amp;gt;&amp;lt;/span&amp;gt; &amp;lt;span class="tit"&amp;gt;주력 산업 수출 전망…반도체 9.9%감소, 2차 전지 17.3% 증가&amp;lt;/span&amp;gt; &amp;lt;/a&amp;gt; &amp;lt;/li&amp;gt; &amp;lt;/ul&amp;gt; &amp;lt;/div&amp;gt; &amp;lt;div title="이슈기사" class="relation-tyB issue"&amp;gt; &amp;lt;h5&amp;gt;&amp;lt;em&amp;gt;이슈&amp;lt;/em&amp;gt;&amp;lt;span&amp;gt;&amp;lt;a href="/arti/ISSUE/367/"&amp;gt;세계경제 빨간불&amp;lt;/a&amp;gt;&amp;lt;/span&amp;gt;&amp;lt;/h5&amp;gt; &amp;lt;ul class="list"&amp;gt; &amp;lt;li&amp;gt; &amp;lt;a href="/arti/economy/economy_general/1073023.html"&amp;gt; &amp;lt;span class="photo"&amp;gt;&amp;lt;img src="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12/127/imgdb/child/2022/1225/53_16719337298612_20221225500584.jpg" alt="내년 1분기 수출 ‘흐림’…수요부진·원가상승·자금난 ‘3중고’" title="내년 1분기 수출 ‘흐림’…수요부진·원가상승·자금난 ‘3중고’" /&amp;gt;&amp;lt;/span&amp;gt; &amp;lt;span class="tit"&amp;gt;내년 1분기 수출 ‘흐림’…수요부진·원가상승·자금난 ‘3중고’&amp;lt;/span&amp;gt; &amp;lt;/a&amp;gt; &amp;lt;/li&amp;gt; &amp;lt;li&amp;gt; &amp;lt;a href="/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72830.html"&amp;gt; &amp;lt;span class="tit"&amp;gt;미국 3분기 성장률 3.2%…잠정치보다 0.3%p 상승&amp;lt;/span&amp;gt; &amp;lt;/a&amp;gt; &amp;lt;/li&amp;gt; &amp;lt;li&amp;gt; &amp;lt;a href="/arti/economy/marketing/1072817.html"&amp;gt; &amp;lt;span class="tit"&amp;gt;마이크론, 적자에 감원까지…삼성·SK도 ‘비상경영’ 나서&amp;lt;/span&amp;gt; &amp;lt;/a&amp;gt; &amp;lt;/li&amp;gt; &amp;lt;/ul&amp;gt; &amp;lt;/div&amp;gt; &amp;lt;div class="gudokArea"&amp;gt; &amp;lt;a href="https://subs.hani.co.kr/" title="구독신청" target="_blank"&amp;gt;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amp;lt;span&amp;gt;한겨레 구독신청 하기&amp;lt;/span&amp;gt;&amp;lt;/a&amp;gt; &amp;lt;/div&amp;gt; &amp;lt;link rel="stylesheet" href="//img.hani.co.kr/section-image/22/bn_support/bn2022_event_blanket.css" type="text/css" /&amp;gt; &amp;lt;div class="bn-promotion-support-5st"&amp;gt; &amp;lt;div class="support-con item1" style="display:block"&amp;gt; &amp;lt;div class="support-btn"&amp;gt; &amp;lt;div class="btnnavy"&amp;gt;&amp;lt;a href="https://support.hani.co.kr/introduce/event_kyeoriblanket.html" target="_blank"&amp;gt;이벤트 참여하기&amp;lt;/a&amp;gt;&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 id="ad_box01" class="ad_box01_area"&amp;gt; &amp;lt;h3 class="blind"&amp;gt;광고&amp;lt;/h3&amp;gt; &amp;lt;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adservice.hani.co.kr/RealMedia/ads/adstream_jx.ads/hani_desktop/@x13?section=international&amp;amp;amp;kisano=1069605"&amp;gt;&lt;/div&gt; &lt;div id="taboola-3x3-article-thumbnails"&gt;&lt;/div&gt;&lt;script type="text/javascript"&gt;window._taboola = window._taboola || [];_taboola.push({mode: 'thumbnails-desktop-a',container: 'taboola-3x3-article-thumbnails',placement: 'Below Article Thumbnails 1',target_type: 'mix'}); <div id="laAdArea" style="padding:10px 0 25px"> <h3 class="blind">광고</h3>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adservice.hani.co.kr/RealMedia/ads/adstream_jx.ads/hani_desktop/@x14?section=international&kisano=1069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