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5학년 들어서면서 부터, 첫째는 과학공부를 혼자서 하기 시작했습니다. 혼자서 공부하면서 잘 모르겠는 부분을 질문하는 식으로 하고 있고, 단원평가 전에는 제가 따로 중요한 내용만 다시 한 번 확인해 주고 있습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과학 목차

5학년 1학기 과학은

1. 과학자는 어떻게 탐구할까요?

2. 온도와 열(물리, 화학)

3. 태양계와 별(지구과학)

4. 용해와 용액(화학)

5.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생물)

의 목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2단원 온도와 열, 4단원 용해와 용액을 제대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3단원과 5단원은 단순 암기에 가까운 내용이라, 5학년 때 공부가 조금 부족하더라도 학년이 올라가서 다시 해당 내용이 나올 때에만 집중하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지만, 2단원의 열전도나 4단원의 용액 쪽은 초반에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두 잘 아시겠지만, 특히 4단원의 경우, 용매, 용질, 용액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없으면 고등학교에서도 고생길이 열리게 됩니다.(농도 다들 별로 안좋아하시죠?)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2단원. 온도와 열

2단원. 온도와 열에서는 물질의 상태(고체, 액체, 기체)에 따른 열의 이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5학년 과정에서는 전도(고체)와 대류(액체, 기체)에 대한 내용만 나오지만, 전 복사(전자기파)까지 설명 해 주었어요.

 

전도(Heat Conduction) : 정지상태에 있는 고체 물체가 위치의 변화 없이 단순히 온도차에 의해서만 열이 전달되는 현상

대류(Heat Converction) : 공기나 물과 같이 기체 및 유체를 통해 열이 전달되는 현상

복사(Heat Radiation) : 전자기파 형식으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 예를 들어 겨울철 햇빛이 뜨겁게 내리쬐는 곳에 있으면 따뜻한 현상이 나타나는 방식. 또 다른 예로 태양에서 방출되는 열이 지구로 전달되는 현상

 

위와 같이 정의를 정확하게 암기하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정의를 정확하게 말로 설명할 수 있으면, 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금방 가능합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3단원. 태양계와 별

대부분의 학생들이 좋아하는 우주 이야기네요. 크게 걱정하실 필요가 없는 내용입니다. 먼 미래에 지구과학II를 공부하게 되어 "천체의 위치 변화와 좌표계"나 "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공부하게 되기 전까지는 그냥 수업 열심히 듣고 문제집을 한 번 정도 풀어보면 100점 받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4단원. 용해와 용액

가장 중요한 단원. 용해와 용액입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우리를 괴롭혔던 내용이네요. 심지어 수학에서도 나오죠.

앞서 말씀드린 용어의 정의의 암기부터, 관련 내용을 하나하나 꼼꼼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가르칠 예정입니다.

 

소금, 설탕, 베이킹소다 실험도 같이 진행하고, 특히 온도에 따라서 물질이 더 많이 녹을 수 있다는 것도 실험을 통해서 확인 시켜 줄 예정입니다.

 

나중에 퍼센트 농도, 몰 농도, 노르말 농도 등으로 우리를 아주 많이 괴롭혀 줄 내용이라, 미리미리 관련 내용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농도문제에 아이가 친숙하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 같이 보면 좋은 글

📄 교과서 목차

📄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과학 목차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 1. 식물의 생활

1단원은 식물의 생활로, 식물의 잎을 채집하고 잎의 생김새에 따라 분류합니다. 이때 잎의 전체적인 모양, 잎의 끝 모양, 잎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손 모양, 깃털 모양과 같이 잎의 모양을 설명할 수 있고, 잎자루에 연결된 잎의 개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식물은 사는 곳에 따라 모습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강이나 연못에 사는 식물은 물 속에 잠겨서 살거나, 물에 떠서 살거나, 잎만 물에 떠있거나, 물위로 높게 자랍니다.
1단원에서는 들이나 산, 강이나 연못, 사막에 사는 식물의 특징을 알아보게 됩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 2. 물의 상태변화 

2단원은 물의 상태변화로, 물의 세 가지 상태와 상태변화를 학습합니다. 얼음과 물의 모양과 온도를 관찰해보고, 얼거나 녹을 때 부피와 무게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실험해봅니다. 다음으로 몇 가지 물의 상태변화를 공부합니다. 증발과 끓음 현상은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상태변화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증발은 물 표면에서만 일어나지만, 끓음은 섭씨 100도에서 물 표면과 내부 모두에서 수증기로 변한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증발과 끓음 현상을 탐구하고 나면 응결 현상을 공부합니다. 응결은 기온이 낮아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이때 구름, 이슬, 안개 등 생활 속에 여러 기상현상과 관련이 있음을 배웁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 3. 그림자와 거울

3단원은 그림자와 거울로, 그림자가 지는 현상과 빛의 반사 현상을 공부합니다. 어떤 조건에서 그림자가 생기는지 알아보고, 물체 모양과 그림자의 모양을 비교합니다. 다음으로 거울과 관련된 탐구를 하고 거울로 장난감을 만드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 4. 화산과 지진

4단원은 화산과 지진으로, 지구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과 지진을 공부합니다. 화산활동으로 용암뿐만 아니라 화산가스, 화산재 등 여러 물질이 나옴을 알고, 현무암과 화강암을 비교해봅니다. 화산활동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부정적인 영향 외에도 긍정적인 영향도 있음을 알게 됩니다. 지진을 학습할 때에는 지진 대처 요령을 함께 공부합니다. 지진이 일어났을 때 어떤 행동을 해야하는지 알고, 직접 지진에 안전한 건물을 설계해보는 활동도 하게 됩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목차 - 5hagnyeon 2haggi gwahag mogcha

* 5. 물의 여행

5단원은 물의 여행으로, 지구에서 물이 증발하고 응결되어 다시 물이 되는 과정을 여행에 빗대어 배웁니다. 물의 순환과정을 배운 후, 세계에서 일어나는 물 부족 현상을 탐구하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 지 고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