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법대 폐지 - yeonsedae beobdae pyeji

연세대 법대 폐지 - yeonsedae beobdae pyeji
▲ 사법시험 폐지를 4년간 유예한다는 법무부 발표에 존치 찬성측과 반대측이 격돌하고 있다.

[U's Line 왕진화 기자]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들이 11일 사법시험 폐지 유예를 철회할 것을 법무부에 요구했다.

연세대 로스쿨 교수들은 이날 성명서를 발표하고 "법무부의 일방적 발표는 다음날 법무부 스스로 확정된 안이 아니라고 수습한 데서 보듯 졸속 행정의 극치"라고 말했다.

이어 "사법시험 폐지를 몇 년이고 유예하면 고시 낭인 양산 등 사법시험의 폐해가 재현될 것"이라며 "로스쿨과 사법시험은 병행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교수들은 "학생들이 느끼는 분노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관계기관은 학생들이 강의실로 돌아오도록 신속히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학생들의 진의가 충분히 전달되고 범정부 차원의 해결에 실마리가 열린 만큼 학생들은 돌아와 학업에 전념하기를 호소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법무부는 지난 3일 기자회견을 열고 현행 변호사시험법에 따라 2017년 폐지 예정이었던 사법시험을 2021년까지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연세대 법대 폐지 - yeonsedae beobdae pyeji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인지 충분히 검토하고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설립 형태전문대학원
국가
연세대 법대 폐지 - yeonsedae beobdae pyeji
대한민국
학년 정원120
교수 수50
웹사이트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延世大學校 法學專門大學院 Yonsei Law School)은 연세대학교내 법조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대학원이다. 2008년 1월 30일 로스쿨 예비인가 발표에서 인가학교에 포함되었으며 120명의 정원을 확보하였다. 로스쿨 설치로 학부과정인 연세대 법과대학은 2008학번 이후 학부 신규 입학과 복수전공 폐지. 부전공은 2013년 2월 졸업자까지만 인정한다.

한편 2012년 5월 10일,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설치인가를 받은 대학의 종래 학부의 법과대학의 폐지시한은 2017년으로 정하여, 그 전까지는 명칭과 조직, 수업과정이 존치된다. 교과부는 2008년 로스쿨을 인가하면서 2008학년도까지만 법대 신입생을 받도록 하였다.[1]

목차

  • 1 교과과정
  • 2 장학제도 및 비용
  • 3 특이사항
  • 4 입시 및 외부평가
  • 5 같이보기
  • 6 바깥고리
  • 7 참고문헌
  • 8 주석

  교과과정

  • 타 로스쿨과 차별화된 다중 특성화 전략을 수립해서 오랜 전통인 '실사구시(實事求是)' 학풍을 가지고 있다. 현대 사회의 특성에 따라 민주적 법치사회에 대응하는 '공공거버넌스와 법',글로벌 경제사회와 연계된 '글로벌 비즈니스와 법',지식기반사회와 결합한 '의료ㆍ과학기술과 법'가 집중육성 분야이다.
  • 외국어 강좌가 총 29개 개설돼 있는 점이 특징이며 전체 선택과목의 19.5%이다. 대한민국의 법학전문대학원 중 외국어 강좌 수가 가장 많다.

  장학제도 및 비용

2009년 연세로스쿨 1기생의 경우, 전액장학금을 받은 학생이 41명, 75% 장학금을 받은 학생이 11명, 반액장학금을 받은 학생이 47명, 33% 장학금을 받은 학생이 4명, 25% 장학금이 7명이다. 등록금은 한해 1,950만원으로 책정되었다.[2]

  특이사항

  • 2008년 일리노이주립대 어바나 샴페인과 등 해외 대학 졸업자가 2명 합격했다.[3]

  입시 및 외부평가

  • 모 사설입시학원의 조사에 따르면 연세로스쿨 1기 합격자 평균 법학적성시험 점수는 두 영역 합계 131점, 학점 3.97 로 나타났다.[4]
  • 연세로스쿨 1기생의 출신대학(학부)은 자대인 연세대가 절반이 넘는 66명, 서울대 39명, 카이스트 7명, 미국대학인 일리노이주립대 어바나 샴페인과 SUNY 알바니, 그리고 한국 경찰대학교 각각 한 명으로, 총 120명이다.[5]
  •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2명 많다.
  • 2008년 2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평가 순위에 따르면,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총점 902.9점을 받아 서울대에 이어 전체 2위, 사립대 1위를 차지했다.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총점 893.5점을 얻어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에 이어 4위로 밀리는 수모를 맛보았다.
  • 매일경제에 보도된 바 있는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로스쿨 1기 합격자 평균 스펙은 서울대 로스쿨이 (학점 4.08 / 리트 133점), 연세대 로스쿨이 (학점 3.97 / 리트 131점), 고려대 로스쿨이 (학점 3.86 / 리트 130점)으로 분석되었다.
  • 연세대 로스쿨 재학생은 대법원이 주관하는 가인 법정 변론대회에서 우승(민사)을 차지함과 동시에 법률사무소 김앤장이 주최한 국제중재대회에서도 연세로스쿨은 우승을 차지하여 그 위상을 드높였다.
  • 연세대 로스쿨팀은 홍콩 '중재경연대회'에서 하버드 로스쿨팀을 제치고 4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 연세로스쿨은 현재 미국 UC버클리 로스쿨과 복수학위 협정을 체결하여 교류를 지속하고 있다.

  같이보기

  • 대한민국의 법학전문대학원

  바깥고리

  •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홈페이지
  •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홈페이지
  • 연세대학교 법학도서관

  참고문헌

  • 연세대 "로스쿨 졸업후 통상ㆍ의료ㆍ공공기관 진출"

  주석

  1. http://news.donga.com/3/all/20120510/46127056/1 [단독]로스쿨 있는 대학‘법대’명칭 2017년까지 유지 2012-05-10
  2. `돈스쿨` 합격할까 되레 겁나요, 매일경제, 2008년 11월 08일.
  3. 변호사 시험 합격률 높이려 SKY 출신 많이 뽑아, 중앙일보, 2008년 12월 09일.
  4. 서울대ㆍ연대ㆍ고대 로스쿨 합격자 평균 `스펙`은? , 매일경제
  5. 그대는 20대-SKY- 강남출신, 한겨레

v  d  e  h

대한민국의 법학전문대학원

강원대 · 건국대 · 경북대 · 경희대 · 고려대 · 동아대 · 부산대 · 서강대 · 성균관대 · 서울대 · 서울시립대 · 아주대 · 연세대 · 영남대 · 원광대 · 이화여대 · 인하대 · 전남대 · 전북대 · 제주대 · 중앙대 · 충남대 · 충북대 · 한국외대 · 한양대

v  d  e  h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학교

연세대학교 | 신촌캠퍼스(언더우드관 · 스팀슨관 · 아펜젤러관 · 백양로) | 원주캠퍼스 | 국제캠퍼스 | 삼애캠퍼스

기관

의료원 | 법학전문대학원 | 한국어학당 | 학술정보원 | 박물관

총장

광혜원(제중원)1 호러스 뉴턴 앨런 - 2 존 헤론 - 3 찰스 캐드월러더 빈튼 - 4 올리버 알 에비슨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세브란스의과대학
1 올리버 알 에비슨 - 2 오긍선 - 3 이영준 - 4 최동(의과대학 인가) - 5 이용설 - 6 김명선
연희전문학교
연희대학교
1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2 올리버 알 에비슨 - 3 호러스 호톤 언더우드 - 4 윤치호 - 5 유억겸 - 6 백낙준(연희대학교 1대 총장)
연세대학교1 백낙준 - 2 고병간 - 3 윤인구 - 4·5·6 박대선 - 7·8 이우주 - 9·10 안세희 - 11 박영식 - 12 송자 - 13 김병수 - 14 김우식 - 15 정창영 - 16 김한중 - 17 정갑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