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정산 월세 환급 방법

월세 세액공제 조건과 방법 알아보기

12월, 연말정산의 계절입니다. 월세를 살고 있는 직장인이라면 이맘때 꼭 기억해야 할 것이 있는데요. 바로 ‘월세 세액공제’ 입니다.

세액공제는 쉽게 말하면 ‘세금을 깎아주는 것’인데요. 월세로 1년간 낸 돈에 대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게 바로 월세 세액공제죠. 특히 올해는 월세 세액공제 기준이 완화되고 공제율도 더 높아졌는데요. 월세 세액공제 조건과 방법, 함께 살펴볼까요?

월세 세액공제,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월세 세액공제 조건
  • 1년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 월세의 12% 공제
  • 1년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 7,000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 월세의 10% 공제
  • 전용면적 85㎡(25.7평) 이하 or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인 주택 거주
  • 계약서와 주민등록등본의 주소지 일치 (전입신고 필수!)

위 조건을 충족한다면, 2018년 1월 1일부터 낸 월세를 공제받을 수 있어요. 단독주택, 아파트뿐만 아니라 오피스텔과 고시원 등도 포함됩니다. 한가지 알아두셔야 할 것은 공제 최대한도는 연간 750만 원 입니다. 월세를 아무리 많이 냈어도 월세 세액공제 대상 금액 한도는 750만 원 까지라는 점, 참고해주세요.

👩‍🏫 예시로 알아보는 월세 세액공제

1년 총급여가 3,800만 원인 김토스 씨. 7평 크기의 오피스텔에 거주하고 있는 김토스씨는 1년간 매달 월세를 40만 원씩 냈어요. 김토스씨의 월세 세액공제액은 얼마 일까요?
👉🏻 40만 원 x 12개 월 x 12% = 57만 6천원

월세 세액공제 신청 준비물

  • 신청자의 주민등록 등본
  • 임대차계약서 사본
  • 월세납입증명서류

월세납입증명서류는 계좌이체 영수증, 무통장입금증 등 집주인에게 지급한 월세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말합니다. 월세를 이체한 은행 홈페이지 등에서 계좌이체 영수증을 받을 수 있어요. 알아두셔야 할 것은 월세납입증명서류가 연말정산 신청인의 명의로 된 경우에만 공제가 가능하다는 점인데요. 즉, 내 이름으로 전입신고 했어도 부모님 등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월세를 냈다면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만약, 토스로 매달 월세를 이체했다면? 토스앱에서 간단히 송금확인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토스에서 송금확인증 발급 받는 방법을 자세히 소개드립니다.

① [전체] 탭을 눌러 ‘고객센터’로 들어가주세요

연말 정산 월세 환급 방법

‘송금확인증 요청’을 눌러주세요

연말 정산 월세 환급 방법

최대 1년 동안 내가 입금한 모든 내역을 볼 수 있는데요. 특정 입금내역을 빠르고 쉽게 찾기 위해 조회 기간을 설정하거나 받는분, 계좌번호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매달 월세를 보냈던 집주인 이름이나, 계좌번호를 검색해보세요. 월세 세액공제

연말 정산 월세 환급 방법

원하는 입금내역을 선택 후, 하단의 ‘확인증 요청하기’를 눌러주세요

연말 정산 월세 환급 방법

송금확인증을 발급받는데는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습니다. 발급하기를 누르면 곧바로 PDF형식의 파일을 휴대폰에 저장하거나 메신저, 이메일 등으로 보낼 수 있어요. 정말 간단하죠?

💡 Editor’s tip

매달 월세를 직접 이체하기 귀찮다면? 토스 자동이체를 이용해보세요. 월세가 빠져나갈 계좌를 토스에 등록만 해두면 수수료 없이 자동이체가 가능합니다.

👌 주말과 공휴일에도 자동이체 OK
💰 자동이체 횟수제한, 수수료 없이 이용 가능해요
🔔 자동이체 하루전 미리 알림을 보내드려요. 출금계좌에 돈이 충분한지 확인할 수 있겠죠?
[토스 자동이체 설정 방법 알아보기]

월세 세액공제 신청방법

월세 세액공제를 받기위한 세 가지 서류를 잘 준비하신 후, 근무하는 회사의 연말정산 담당자에게 제출하면 끝! 간단하죠? 월세 세액공제는 집 주인의 동의 없이 신청 할 수 있으니 망설이지 마시고 꼭 세액공제 받으세요.

출처 : 국세청 블로그 ‘누리우리’

10초 만에
송금확인증 발급받기

연말 정산 월세 환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