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 의 집 은 어디 인가 22

내 친구 의 집 은 어디 인가 22

영화 100년의 역사를 새롭게 여는 차세대 영화의 시작이라고 평론가들의 입에 침이 마르지않았던 영화. 이란의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Where is My Friend's Home>(1987). 그러나 이 영화는 까닭도 없이 평론가들의 호들갑에서 시작하여 호들갑으로만 끝날 그런 영화는 아니다. 몇 가지 점에서 이 영화는 중요하다.

첫째, 이 영화가 헐리우드같은 상업적 풍토라면 꿈꿀 수 조차 없는 영화라는 점이다. 이란이라는 나라의 특이한 배경아래서 제작된 이러한 저예산 독립영화는 지나치게 상업적이 아니라는 점에서 ‘독립적’이다. 단 두 명의 친구 아마드와 네마자데간의 보이지 않는 우정을 그린 이 영화는 어린 꼬마 혼자 영화를 다 끌어나간다. 헐리우드라는 괴물은 전 세계 영화를 천편일률화시킨다.

모든 영화는 극단적이고 말초적인 오락으로! 헐리우드의 깃발은 전 세계를 뒤덥는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보며 감탄하는 영화는 특수효과로 치장된 요란한 공상과학 영화거나 황당하고 잔인한 모험영화들 뿐이다. 영화는 오직 그러한 것일 뿐인가. 이런 회의에 답하는 영화를 만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영화의 상업성은 감독의 상상력 마저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마치 그러한 질문에 답하기라도 하듯 혜성과 같이 나타난 이란 영화와 그 영화의 주역인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그리고 그의 대표작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이 영화는 헐리우드와 대적하기 위한 그런 영화가 아니라 영화 본연의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한 예술가의 자세를 갖는 영화다.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진정한 감동을 보여주는데 그 감동의 원천은 꾸미지 않은 일상성과 현실성에서 찿는다.

두 번째로 이 영화에서 놀라운 점은 영화가 자본이나 기술의 지배에서 해방되어 아이디어로 승부를 볼 수 있다는 새삼스럽지만 구현하기 어려운 점을 증명해 보인다는 것이다. 여기엔 스토리텔링의 기교나 도피적이고 감각적이며 현란한 촬영, 미쟝센이 보이지 않는다. 자본이 없어 영화를 잘 못찍겠다는 핑계도 없다. 영화는 무엇으로 가능한가. 영화는 첫째도 아이디어, 두 번째도 아이디어, 오직 아이디어만이 그 전부인 것이다.

내 친구 의 집 은 어디 인가 22

현실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키아로스타미 감독은 허구적인 드라마를 허구적으로 보이지 않게 하기위해 인물의 드라마 공간을 확대시켜 인물이 환경속에 던져져 있고 끊임없이 ‘일’을 하는 모습으로 그리고 있다. 일하는 인간의 묘사는 곧 인간의 조건을 말하는 주제의식을 설명해준다. 학교에서 돌아온 아마드는 갑자기 친구인 나마자데의 공책을 자신이 잘못 가져옴으로서 그 공책을 빨리 나마자데에게 돌려줘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황은 그를 목적에 쉽게 도달하지 못하게 한다. 어머니, 할머니는 그에게 끝없이 집안일을 시킨다. 할아버지는 일부러 없던 일을 만들기까지 해서 마치 그를 ‘부려먹음(?)’으로서 그것이 바로 손자의 인간교육을 시키는 것이라고 자랑스러워 하기도 한다. 애를 이층에서 내려 요람에 눕혀라. 끓는 물에 설탕 두덩어리를 넣어라. 빵을 사와라. 담배를 사와라. 그의 목적을 가로막는 일들의 연속은 의도적인 것이 아니라 그가 늘상 하는 일들이다. 인간은 자기 의지대로만 살 수는 없는 법이다.

그가 일하는 공간에서는 계속 애 우는 소리와 거리의 소음, 닭소리, 가축소리 들이 간섭한다. 그는 홀로 있는 것이 아니다. 그의 머리속은 오직 나마자데를 만나 공책을 되돌려줘야 한다는 일념 뿐이지만 그는 복잡한 관계속에 놓여져 있다. 그건 그의 순수한 책임, 열정과는 무관한 객관적 현실이다. 그리고 또한 타락하고 타협적인 어른들의 세계인 것이다.

카메라는 이러한 공간을 짧은 컷트의 나열이 아닌 긴 흐름으로(롱테이크) 찍어나간다. 그의 시간과 공간은 현실과 일치되며 우린 허구가 아닌 일상의 진리를 목격하는 관찰자가 된 기분을 느낀다. 아마드는 이 영화의 특수한 원맨 히어로가 아니다. 이 영화는 오직 그 하나만을 중심으로 끌어져 나간다. 그러나 그의 각별한 인생이 특별히 강조되는 원맨 히어로 영화의 허구가 아닌 것이다. 주인공이 중심화되더라도 허황된 영웅을 만들지 않는 것. 그 비결이 바로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비법인 것이다.

내 친구 의 집 은 어디 인가 22

착한 사람은 길을 헤맨다

소년 아마드는 객관적 세계의 진리를 믿는 순수한 인간이다. 그는 선생님의 말을 믿는다. 숙제를 노트에 해오지 않으면 안 된다. 선생님의 말대로라면 나마자데는 숙제를 할 수가 없다. 바로 나 때문이다. 아마드는 본의 아니게 친구에게 폐를 끼치게 될 것을 생각하고 그런 일을 막기 위해 친구의 집을 찿아 헤맨다.

누구도 아마드의 순수를 이해하지 못한다. 공책을 챙기지 못한 칠칠맞은 나마자데는 벌을 받아 마땅해. 어머니는 가혹하게 말한다. 너는 네 숙제만 해라. 네 숙제 하기도 바쁜데 친구 공책 돌려주는 일에 신경 쓸 일이 뭐있냐. 이 세상은 살기 힘들다. 어린이들은 미처 이해하지 못하는 어른들의 세계가 있다. 나 하나 살기에도 너무나 힘든 비정한 세계가 있다.

아마드는 미로속을 헤맨다. 그는 산길을 오르고 또 오른다. 갔던 길을 가고 또 반복해서 간다. 감독이 보여주는 반복의 영상은 기교라면 기교다. 그건 시적 은유이다. 순수한 어린이는 바로 그 순수 때문에 혼탁한 세상에서 길을 잃게끔 되어있다.

그가 만일 길을 올바로 찿아간다면 이미 그는 이 세상과 타협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무지하고 너무나 세상물정에 어두운 천사같은 아이인 것이다. 그가 길을 헤매는 것은 당연하다. 그는 사회에 적응하고 물들어야만 하는데도 그에게 중요한 것은 물질적 삶이 아니라, 친구와의 우정, 다시 말하면 정의며 책임감인 것이다.

문짝을 수리하는 어떤 할아버지는 옛날 나무문이 좋은데도 요즘 사람들이 새로 나온 철문을 선호한다며 세상을 개탄한다. 시골이 싫다고 화려한 도시로 떠난 그 할아버지의 형. 그래도 그는 도시가 싫으며 무엇이 사람답게 사는 것인지를 알고있다고 말한다.

영화의 마지막에 나마자데를 결국 찿지 못해 자기 방에서 그의 숙제까지 대신 해가는 아마드의 모습을 인상적으로 장면처리하고 있다. 밖에는 태풍이 불고 그의 방문이 열리면서 아마드는 공포에 질린다. 남을 위해 자신을 헌신하는 일은 바로 세상의 부조리와 싸우는 일이다. 마음의 사악한 적들과 싸우는 일이다. 영화의 처음에 어린이들을 가둔 닫힌 문에서 시작한 영화는 아마드의 방문(마음의 문)을 열면서 고통스런 투쟁을 보여주다가, 다음 날 열린 노트의 책갈피에 꽂힌 꽃잎으로 클로즈 업되면서 환희와 의지의 승리를 보여주는 감동으로 끝난다.

글·정재형
영화평론가.

  • 정기구독을 하시면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는 기사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르몽드디플로마티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내 친구 의 집 은 어디 인가 22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21:40~23:00

방송관 홈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61회 예고편

1 |등록 2016.04.19 10:05

#jtbc#내친구의집은어디인가#내친구의집#유세윤#기욤패트리#장위안#줄리안#알베르토몬디#타일러

아직 댓글이 없어요. 이 영상의 첫 댓글을 달아보세요~댓글 남기러 가기

댓글

0

0/ 300자

아직 댓글이 없어요. 이 영상의 첫 댓글을 달아보세요~

...

저널정보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미디어, 젠더 & 문화 학술저널
  • 미디어,젠더&문화 제31권 제2호
  • 2016.06 159 - 191 (34page)

저자정보

  • (고려대학교)
  • 김새봄 (고려대학교)
내 친구 의 집 은 어디 인가 22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이 연구는 리얼리티 프로그램 JTBC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이 외국인을 어떻게 묘사하고, 국제적 다문화주의가 어떠한 양상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내 친구의 집>은 JTBC <비정상회담>의 스핀오프 프로그램으로서 기존의 다문화 프로그램과 달리 외국인에 대한 차별화된 접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갈등의 문제들을 배제시킴으로써 현실과의 간극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었다. 첫째, 어떠한 문화권에서도 쉽게 적응하고 현지화 되는 출연진들의 긍정적인 모습과 갈등이 축소된 내러티브는 실제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출연진들을 한국의 가족주의 속에 편입시킴으로써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갖는 차이가 하나의 보편적 가치로 인해 배제되거나 포섭되어 실질적 문제의식을 축소시키는 한계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타문화권에서의 경험을 남성의 시선으로만 주목하여 기존 한국 다문화주의를 규정하는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를 답습하고 있었다. 결국, 유토피아적으로 재현된 외국인들의 다문화 체험기는 현실의 다문화 사회와 미디어 속 다문화 사회의 괴리를 남길 뿐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reality program describes foreign cast members and represents global multiculturalism through text analysis. Unlike other multicultural reality show in which foreigners have appeared, 〈Where is my friend’s home〉 makes an approach foreign members differently. However, the program couldn’t reduce the gaps between real society and media by eliminating a variety of conflicts around multiculture. First of all, several elements which are positive representation of foreign characters and conflictless narrative missed the true nature of the problem in cultural difference. Second, there are only cast members adapting to universal value such as Familism in the show. This leads to the reduction of practical problems and fails to surpass previous discourse of multiculturalism. Third, cast members’ experience in other culture is based on perspective of masculine ideology, and it provides possible reproduction of specific stereotypes through the programs. The result reveals that utopian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e in the media might widen disparity between ideals and reality.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0)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 현대 한국에서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홍석준

    다문화와 인간

    2018.12

  • 〈비정상회담〉의 다문화 이해 양상 분석

    박선옥 ,  이윤정

    다문화콘텐츠연구

    2015.08

  • Analysis of Multiculturalism and Policy Gaps in Korea: Is There a Third Way?

    SA Deug-Whan ,  CHOI Il-Moon

    글로벌문화연구

    2020.09

  •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퇴조 원인 분석

    설한

    현대정치연구

    2014.04

  • 다문화 실천인력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최혜지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2011.06

이 논문의 저자 정보

내 친구 의 집 은 어디 인가 22

박진선

소속기관 고려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예술체육학 > 영화 TOP 10%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TOP 10%

논문수 6 이용수 8,156

내 친구 의 집 은 어디 인가 22

김새봄

소속기관 고려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논문수 4 이용수 1,928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37-00086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