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 손가락에 끼우는 무슨 장치

치면세균막의 제거

잇솔질

잇솔질은 치아와 치은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 잇솔질의 중요성 :
    • 잇솔질을 함으로써 구강의 청결을 유지하고 구취를 제거하며 심미증진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이 예방된다. 치아에 음식물 잔사가 부착되어 있으면 이를 양분으로 세균이 증식하여 프라그가 형성되는데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치아 우식증, 치주질환의 원인이 된다.
  • 잇솔질의 시기와 횟수 :
    • 많은 사람이 아침식사전에 잇솔질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식전보다는 식후에 잇솔질을 하는 것이 구강병을 예방 하는데에 효과적이며 가급적이면 매 식사 및 간식 후와 취침전에 하도록 해야 한다. 올바른 방법으로 치아를 닦 는다면 평균 10분 정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모든 치아가 충분히 닦일 수 있도록 철저하게 잇솔질을 하는 것이다.
칫솔과 치약

환자들 손가락에 끼우는 무슨 장치

일반적으로 두부(머리)의 크기는 구치부 치아를 2-3개 정도 피개할 수 있어야 하며 손잡이가 직선형이거나 목 부위에서 15도미만으로 약간 경사진 것이어야 한다. 칫솔모의 끝이 둥글게 다듬어진 것을 사용해야 치은이나 치아가 손상되지 않는다.

칫솔의 보관
  • 칫솔은 사용후 강하게 흐르는 물로 칫솔모 사이에 낀 음식물 잔사와 치약등을 깨끗이 제거한 후 청결한 장소에 보관하여 야 한다.
  • 통풍이 잘 되고 건조가 쉽게 되는 곳에 보관해야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 다른 사람의 칫솔과 서로 닿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의 사용기간

환자들 손가락에 끼우는 무슨 장치

칫솔의 일반적인 사용기간은 다양하다.
하루에 3회 정도 사용시 2-3개월간 사용하면 탄력이 상당히 저하되어 프라그를 효과 적으로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치아나 치은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새것으로 바꾸어 주는것이 바람직하다.
한 사람이 두 개의 칫솔을 번갈아 사용한다면 충분히 건조된 칫솔을 계속 사용 할수 있다.

칫솔을 잡는 방법

환자들 손가락에 끼우는 무슨 장치

칫솔을 손바닥 위에 올려 놓고 4개의 손가락으로 둥글게 손잡이를 감싸듯이 잡은 다음, 엄지손가락은 칫솔질 하는과정 중 힘을 가할 때 사용되므로 칫솔의 목부분에 안 정성 있게 위치시키고, 손바닥과 엄지손가락은 칫솔질 하고자하는 부위에 칫솔이 잘 접촉 되도록 효과적으로 조정하며 잡는다.

치약의 선택

환자들 손가락에 끼우는 무슨 장치

치약의 주성분은 연마제(마모제)와 세제 등이며, 기타 성분으로 향미제 예방제 (불소) 등이 배합되어 있다. 개인의 구강상태에 따라 치약의 마모도를 결정하도록 한다.

치약의 선택
종류내용
마모도가 높은 치약 프라그가 많이 부착되어 있거나 잇솔질 횟수가 적고 구강위생상태가 불량한 경우
마모도가 중등도인 치약 일반인
마모도가 약한 치약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과민성 치질이나 치경부가 마모되어 있는 경우
잇솔질 방법
일반인의 잇솔질 방법 : 구강내에 크게 특이한 사항이 없는 아동 및 성인은 비교적 배우기 쉽고 효과가 있는 회전법이 좋다.
  • 권장 칫솔 및 치약
    • 칫솔은 일반적으로 중등도의 탄력과 칫솔모 단면이 수평인 것을 권장하며 치약은 중등도의 마모력을 가진 불소 함유 세치제를 사용한다.
  • 잇솔질 방법
    • 칫솔의 두부에 가까운 목 부분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나머지 손가락들로 손잡이를 힘있게 꼭 움켜 잡은 후 부위별로 실시한다.
잇솔질 방법
구분내용
대구치의 협면 치아의 협면은 칫솔을 치은에 대고 치아의 교합면 쪽을 향해 쓸어내리면서 손목을 돌려준다. 윗니는 위에서 아래로 아랫니는 아래에서 위로 각 부위마다 같은 동작으로 10회 이상을 반복 실시토록한다.
대구치의 설면 치아의 설면도 같은 방법으로 칫솔을 치은에 대고 치아의 교합면을 향해 쓸어내리면서 칫솔을 돌려준다.
전치의 설면 위 아래 전치의 설면은 칫솔을 수직으로 되게 넣어서 입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큰 원을 그리듯이 훑어준다.
교 합 면 대구치의 교합면은 칫솔을 수평으로 하여 앞뒤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닦는다.
치주질환자를 위한 잇솔질 방법

치주질환은 대부분 치은열구내 프라그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이를 제거하고 치은에 자극을 주기 위하여 맛사지 운동을 겸비한 방법이 권장된다.

  • 권장 칫솔 및 치약
    • 칫솔은 탄력이 부드럽고 두 줄로 배열된 것이 좋으며 치약은 치주질환을 완화시키고 치은에 건강을 촉진시키는 약제가 함유되어 있는 제품을 사용토록 한다.
  • 잇솔질 방법
    • 칫솔모의 단면은 치근을 향하게 하고 칫솔모를 치아에 45도 각도가 되도록 치은에 위치시킨후 칫솔에 빠른 동작을 주며 치은에서부터 치아표면까지 이동시키면서 닦는다.
고정정 치열교정장치 장착자를 위한 잇솔질 방법
  •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한 환자는 구강내가 복잡하므로 잇솔질 방법이나 구강위생관리가 상당히 어렵다. 그러므로 잇솔질 을 시행할 부위를 치아, 치은, 교정장치, 치간으로 나누어서 각 부위마다 각각 다른 방법으로 잇솔질을 행해야만 효과적인 위생관리를 할 수 있다.
권장 칫솔 및 보조 구강위생 용품
  • 칫솔 : 교정장치 장착 환자용 칫솔은 일반적으로 3-4줄모의 칫솔열 중 가운데 1-2줄을 짧게 잘라서 가운데가 들어간 凹(요)형태로 되어있다. 일반 칫솔과 두줄모 칫솔도 필요하다.
  • 보조 구강위생 용품 : 치간칫솔을 사용토록 하고 치간사이에 염증이 발견되면 고무치간 자극기를 사용한다.
잇솔질 방법 잇솔질 방법
종류방법
교정장치가 부착된
치아의 순면과 협면
교정용 칫솔을 옆으로 하여 치아에 직각이 되도록 삽입시키고 칫솔모의 짧은 가운데 열이 장치에 도달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앞 뒤로 왕복운동을 실시한다.
교정장치
{교정장치물 부착부위}
부 위
교정장치물 부착부위 상부를 닦을 때는 칫솔의 한쪽 강모가 45도 각도로 삽입하여 위치시킨 다음 짧은 진동을 주어 교정장치물 부착부위의 전후면과 치아표면과의 접합부위 주위를 닦는다. 교정장치물 부착부위 하부를 닦을 때는 상부를 닦을 때와 반대편에 강모단을 사용하여 역으로 45도 각도를 주어 짧은진동을 주며 닦는다.
치아의 설면 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아니한 치아의 설면은 칫솔을 치은에 대고 치아의 교합면쪽을 향해 쓸어 내리면서 손목을 돌려준다.
치 은 칫솔모가 구강 내에 들어가도록 칫솔을 치아에 45도 각도로 삽입시킨 후 짧은 진동을 주며 닦는다.
교 합 면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전후 왕복운동으로 닦는다.
치간칫솔 치간칫솔을 치간 사이, 교정장치물 부착부위, Wire의 세밀한 부위등에 치아와 직각되게 삽입시키고 구강 밖에서 안쪽으로 밀었다가 당기는 동작을 반복한다.
보철물 장착자를 위한 잇솔질 방법

복잡한 고정성 보철물이 장착되어 있으면 프라그의 부착과 음식물 잔사의 저류로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이 발생 하기 쉽다.

  • 권장칫솔 및 보조구강위생용품
    • 칫솔 : 보철물의 양이나 수가 적을 경우 - 일반 칫솔 사용 보철물의 양이 많고 종류가 다양할 경우 - 톱니 모양의 요철형 칫솔이 효과적이다.
    • 보조구강위생용품 : 치실고리, 슈퍼 치실
  • 잇솔질 및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 방법
    • 보철물 장착 부위
      • 칫솔을 치아에 직각 또는 칫솔모가 교합면을 향하도록 역 45도로 삽입시켜 지대치와 인공치아의 치간 사이와 인공치아 의 기저부 밑으로 칫솔모를 위치시켜서 짧은 진동을 주며 닦는다. 치아표면은 칫솔모를 치은에 다시 대고 교합면을 향 해 손목을 돌려 회전하며 닦는다.
    • 치실고리, 슈퍼치실
      • 브리지 밑으로 협면에서 설면 쪽으로 넣어서 브리지 밑을 통과시킨다음 설면에서 뽑아내어 한 손은 구강내 설면에 다른손은 협면의 치실을 잡고 협설 방향으로 움직이며 브리지 밑을 닦는다.
  • 소아 잇솔질 방법
    • 미취학 아동들은 잇솔질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고 칫솔을 움직이는 손동작이 서툴므로 회전법을 교습시키기가 어렵다.
    • 아동에게 잇솔질하는 습관을 길러주고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프라그를 제거하는 방법이면 된다. 소아 잇솔질 방법
      종류내용
      2세이하 부모가 거즈 등으로 치아나 치은을 닦아준다.
      3~4세 특별히 권장할 방법은 없으나, 칫솔을 사용하여 식사 후 잇솔질 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4 , 5세 ~
      초등학교1 - 2학년
      위 아래 치아를 지긋이 다물고 칫솔모를 직각되게 위치시킨 후 작은 원호를 그리듯이 치면과 치은을 동시에 닦으면서 칫솔을 이동해 나간다.
      초등학교
      3 , 4학년 이상
      회전법을 사용한다.
  • 치경부 마모증 환자 잇솔질 방법
    • 오랫동안 강하게 앞뒤로 잇솔질을 시행한 결과 치아가 v자 모양으로 패여 있으므로 회전법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 권장칫솔 및 치약 : 칫솔은 탄력이 부드러운 것을 선택하고 치약은 마모도가 약한 것을 사용토록 한다.
    • 잇솔질 방법 : 칫솔을 치은에 대고 치아의 교합면쪽을 향해 쓸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손목을 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