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무단투기 기사 - sseulegi mudantugi gisa

쓰레기 무단투기 기사 - sseulegi mudantugi gisa

조천읍 쓰레기 무단 투기 현장. 조천읍장 명의의 과태료 부과 경고 안내판을 비웃기라도 하듯 온갖 쓰레기가 쌓여있다. 사진=조천읍

[한라일보]제주시 조천읍이 쓰레기 불법 투기 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에 나선다.

21일 조천읍사무소에 따르면 최근 조천읍 중산간과 해수욕장 일대에 생활쓰레기는 물론 건축 자재를 무단 투기하는 등 환경 오염, 미관 저해 유발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이곳은 지정된 쓰레기 배출 장소가 아닙니다'라는 조천읍장 명의의 과태료 부과 경고 안내판에도 온갖 쓰레기가 무더기로 쌓여있는 모습을 확인하게 된다.

이에 조천읍은 이달 22일부터 9월 30일까지 쓰레기 불법투기 행위를 집중 단속하기로 했다. 집중 단속에서 적발될 경우 해당 배출자에게 최대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조천읍의 관계자는 "쓰레기 불법투기로 인해 주민들이 쾌적한 생활환경을 누릴 권리를 침해받고 있다"라며 "불법투기 집중 단속을 통해 쓰레기 무단투기 배출자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엄정 부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쓰레기 무단투기 기사 - sseulegi mudantugi gisa

환경부는 내일(5일)부터 오는 12일까지 쓰레기 무단투기와 환경오염 행위를 단속한다.

단속대상은 주요 산업단지와 5600여개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상수원 상류 지역 등이다. 환경오염 행위를 발견하면 국번 없이 128번(휴대전화로는 지역번호와 함께 128번)으로 신고하면 된다.

환경부는 오는 16일까지 추석 연휴 생활폐기물 관리대책도 실시한다.

관리대책에는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과 함께 △생활폐기물 특별수거체계 구축·운영 △과대포장 계도·단속 등도 포함됐다.

환경부는 터미널이나 휴게소에 쓰레기 간이 수거함을 설치하고 코로나19 방역용 마스크는 되도록 집에 가져가도록 안내해 마스크 불법투기를 방지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명절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도 진행한다.

송금종 기자 기사모아보기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

청주 대학가 원룸촌 불법투기 쓰레기 '몸살'

  • 기자명 이재규 기자
  • 입력 2022.09.25 14:53
  • 수정 2022.09.25 15:36
  • 댓글 0

'고발조치' 경고 문구에도 너저분… 시 "특정 어려워 적발·처벌 미미"

쓰레기 무단투기 기사 - sseulegi mudantugi gisa
25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의 한 대학교 앞 자취촌 골목길에 쓰레기가 분리수거 되지 않은 채 버려져 있다. / 이재규

[중부매일 이재규 기자] "공짜로 버릴 수 있는데, 600원 종량제 봉투 돈 아깝죠."

지난 9월부터 100% 대면 강의가 시작되면서, 대학가가 다시 불법 투기된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25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의 한 대학교 자취촌 골목길에는 산처럼 쌓인 쓰레기가 가득했다. 상습투기지역에는 '분리배출 철저히, 쓰레기 불법투기 고발조치'라는 경고 문구가 적혀있었지만, 그 아래에는 닭 뼈, 먹다 남은 피자, 휴지 등이 너저분하게 버려져 있었다.

이런 현상은 주말이 되면 더욱 심화된다. 금요일부터 버려진 쓰레기가 월요일에 수거되는 탓에 골목길은 악취로 가득 찬다.

쓰레기를 버린 주범은 이곳에서 자취를 하는 대학생들이다. 분리수거는 고사하고 음식물 쓰레기도 무단으로 버리는 이들의 행태에 주민들의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

이곳에 거주하는 주민 A(27)씨는 "9월 개강 후 쓰레기가 급격히 늘어났다"며 "배달음식이 활성화되고 음식물쓰레기 비중이 늘면서, 거리 악취도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쓰레기 무단투기 기사 - sseulegi mudantugi gisa
25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의 한 대학교 앞 자취촌 골목길에 쓰레기가 분리수거 되지 않은 채 버려져 있다. / 이재규

대학생 B(23)씨도 "자취하는 학생들은 아무 거리낌 없이 쓰레기를 내다버린다"며 "학교 등굣길로 골목길이 쓰이는데, 다닐 때마다 매우 불쾌하다"고 말했다.

이곳에서 자취하는 대학생 다수를 인터뷰한 결과 쓰레기 무단 투기를 하는 이유는 '공짜로 버릴 수 있는데 종량제 봉투를 사는 것은 아깝다', '지금까지 쓰레기를 버리면서 한 번도 걸릴 적이 없다', '분리수거하기 귀찮다' 등이다.

해가 거듭될수록 대학가 쓰레기 무단투기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지만, 지자체의 단속은 제자리걸음만 반복하고 있다.

청주시의 경우 쓰레기 무단투기 적발 시 과태료 2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지역(청원구 내덕동·우암동) 과태료 부과 건수는 44건 뿐이다. 매일 수십 건의 쓰레기 무단투기가 이뤄지고 있는 것에 비하면 실적이 미미한 상태다.

청주시 관계자는 "주로 택배 송장이나 주소를 특정할 수 있는 영수증 등으로 과태료 부과를 하지만 요즘은 이마저도 찢어서 버려 어렵다"며 "무단 투기 특성상 모자를 깊게 눌러쓰거나 마스크를 착용하면 인상착의를 특정하기도 힘들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덕·우암동에 쓰레기 무단투기 적발을 위한 CCTV 14대가 설치돼 있고, 정기단속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배달이 늘어나면서 쓰레기 배출량이 급증하자 불법 투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문업자까지 등장해 조직적인 불법투기가 이뤄지고 있었는데, 환경부가 뒤늦게 조사에 나섰습니다.

김희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숲 한가운데 누군가 갖다버린 쓰레기 더미가 우뚝 솟아있습니다.

폐플라스틱 등 모두 7백 톤 분량.

바로 옆 웅덩이는 침출수로 꺼멓게 변했습니다.

[김종기/울주군청 자원순환팀 : "공업용수로도 사용하기 어려운 상태의 물입니다. 완전히 물 자체는 오염돼서 굉장히 오염도가 심각한…"]

전북 군산에선 공장 등에 쓰레기 만5천 톤을 몰래 내다 버린 일당이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습니다.

불법 투기가 잇따르는 건 코로나19로 일회용품을 많이 쓰면서 쓰레기가 많이 늘어난 반면, 경기 침체 탓에 재생원료 수요는 줄어 처리 비용이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중간에서 대신 버려주는 브로커까지 등장했습니다.

[장민/군산경찰서 강력팀장 : "바지사장은 계약서 쓰는 조건으로 한 달에 2천만원을 받기로 했더라고요. 그런 식으로 바지(대리인)가 필요한 거죠."]

정상적으로 태우거나 묻는 경우 톤당 20만 원 정도 드는데 브로커 등이 더 싸게 처리해 주겠다며 가져간 뒤 몰래 버리고 달아나는 겁니다.

[폐기물 처리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시세가 있어요. (kg당) 160원에서 150원 미만으로 했다는 것은 거의 불법으로 봐야죠. 처리할 수 없죠."]

쓰레기를 불법 투기한 사람뿐 아니라 배출·운반업체도 책임을 지게 하는 개정 폐기물관리법이 시행 중인데 별 효과는 없어 보입니다.

[강은미/국회 환경노동위원/정의당 : "불법 투기자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하고요. 그것을 찾지 않는 한 불법 투기를 근절하는 것은 쉽지 않겠다…"]

환경부는 폐기물 중간처리업체에 대한 일제 조사에 착수하고, 의심업체에 대해선 특별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영상편집:이재연

  • 쓰레기 무단투기, 브로커까지 등장…환경부, 일제 조사
    • 입력 2020-09-18 21:25:47
    • 수정2020-09-18 22:34:44
    뉴스 9

쓰레기 무단투기 기사 - sseulegi mudantugi gisa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배달이 늘어나면서 쓰레기 배출량이 급증하자 불법 투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문업자까지 등장해 조직적인 불법투기가 이뤄지고 있었는데, 환경부가 뒤늦게 조사에 나섰습니다.

김희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숲 한가운데 누군가 갖다버린 쓰레기 더미가 우뚝 솟아있습니다.

폐플라스틱 등 모두 7백 톤 분량.

바로 옆 웅덩이는 침출수로 꺼멓게 변했습니다.

[김종기/울주군청 자원순환팀 : "공업용수로도 사용하기 어려운 상태의 물입니다. 완전히 물 자체는 오염돼서 굉장히 오염도가 심각한…"]

전북 군산에선 공장 등에 쓰레기 만5천 톤을 몰래 내다 버린 일당이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습니다.

불법 투기가 잇따르는 건 코로나19로 일회용품을 많이 쓰면서 쓰레기가 많이 늘어난 반면, 경기 침체 탓에 재생원료 수요는 줄어 처리 비용이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중간에서 대신 버려주는 브로커까지 등장했습니다.

[장민/군산경찰서 강력팀장 : "바지사장은 계약서 쓰는 조건으로 한 달에 2천만원을 받기로 했더라고요. 그런 식으로 바지(대리인)가 필요한 거죠."]

정상적으로 태우거나 묻는 경우 톤당 20만 원 정도 드는데 브로커 등이 더 싸게 처리해 주겠다며 가져간 뒤 몰래 버리고 달아나는 겁니다.

[폐기물 처리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시세가 있어요. (kg당) 160원에서 150원 미만으로 했다는 것은 거의 불법으로 봐야죠. 처리할 수 없죠."]

쓰레기를 불법 투기한 사람뿐 아니라 배출·운반업체도 책임을 지게 하는 개정 폐기물관리법이 시행 중인데 별 효과는 없어 보입니다.

[강은미/국회 환경노동위원/정의당 : "불법 투기자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하고요. 그것을 찾지 않는 한 불법 투기를 근절하는 것은 쉽지 않겠다…"]

환경부는 폐기물 중간처리업체에 대한 일제 조사에 착수하고, 의심업체에 대해선 특별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영상편집:이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