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상한 음식도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

가끔 아내를 도와 설거지를 하다 보면
이걸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버려야 하는지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하는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딸기의 꼭지 부분, 감 껍질, 고구마 껍질
이건 어떻게 분리해야 할까요?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이것들은 입으로 통째로 들어갈 거니까
쓰레기로 나갈 게 없지요.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파, 미나리 등의 뿌리도 일반 쓰레기라는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잘게 부수거나 잘라 물기를 제거해야만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도 되는 것들 :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도 그렇게 하시겠지만
통무, 통배추, 통호박 등의 채소류도 잘라서 버려야 한다는 것과

통 과일, 수박, 망고, 파인애플 등 부피가 큰
과일의 껍질에서
파인애플 껍질도 자르고 물기를 제거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된다는 것을 새로 알게 되었습니다.

# 그런데 상한 음식물(조리 여부와 관계없이)은 어떨까요?.
곰팡이 핀 과일 및 음식, 맛이 변한 된장찌개, 양념해둔 제육볶음용 돼지고기 등등이요.

네이버에 저 같은 고민을 한 분들의 글과 답변이 올라와 있더군요. 답변은 대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라는 거였지만
사료로 동물들에게 먹여져서
혹시 병 걸리면 어떻게 하나 걱정이 되어서
구청과 환경부에 질의한 결과
그 부분에 대한 규정은 없는 상황이라면서 일단은 상한 음식도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해서 버리라는 답변을 얻었습니다.

그래서 부탁드렸죠.
'주무 부서인 만큼 논의해서 지침을
만들어주십사' 하고요.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한창 햇볕이 뜨겁던 8월 초, 은평시민신문 직원들과 먹고 남은 식빵이 며칠 동안 실온에 방치되어 하얀 꽃이 피어버렸다. 쓰레기 통으로 들어갈 운명이 된 ‘곰팡이가 핀 식빵’의 처리방법을 두고 은평시민신문 사무실에서는 때 아닌 논쟁이 벌어졌다. ‘곰팡이가 피었으니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버리면 안 된다’와 ‘곰팡이가 피었어도 식빵은 음식물이니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해도 된다’로 의견이 갈린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는 처리방식에 따라 건조하여 동물들의 사료로 쓰이는 사료화, 건조과정을 거친 후 염분을 제거하여 퇴비로 사용하는 퇴비화로 나뉘게 된다. 은평구에서도 음식물을 자원화 처리하여 100% 재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 가장 쉬운 방법은 ‘동물들이 먹을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준에서 보자면 곰팡이가 핀 식빵처럼 상한 음식은 동물들이 못 먹지 않느냐는 의견이 생긴다. 과연 ‘곰팡이가 핀 식빵’은 어디로 가야하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완전히 상하지 않은 음식의 경우 음식물쓰레기로 분류해도 무방하다. 즉, ‘곰팡이가 핀 식빵’은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들어가는 것이 맞다. 크게 상하지 않은 음식의 경우 자원화 처리를 통해 사료나 퇴비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수대에서 과하게 부패된 음식찌꺼기나 완전히 상한 음식물은 일반쓰레기로 처리해야 한다. 알면 알수록 헷갈리고 어려운 생활 쓰레기 분류하기. 제대로 알고 골라서 버리는 방법을 알아보자.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음식물 쓰레기 VS 일반 쓰레기

앞서 말했듯이 음식물쓰레기의 분류기준은 바로 ‘동물의 사료나 퇴비 등으로 다시 활용이 가능 한가’이다. 뼈다귀나 달걀껍질처럼 단단한 물질이나 갑각류의 껍데기 등 석회질이 포함된 것은 동물의 사료가 될 수 없으므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한다. 호두, 밤, 땅콩 껍질같이 딱딱한 껍데기도 마찬가지이다. 채소 뿌리나 껍질의 경우에는 부드럽지만 섬유질이 많아 분쇄가 어렵고 동물들이 소화시키지 못하므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통무나 통호박, 통배추 등은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하지만 잘게 썰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이 가능하다. 절인 무나 배추, 김치 등 짠 기가 남아 있는 음식물의 경우 과거에는 일반 쓰레기였지만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된다. 대신 고춧가루나 소금 등을 헹구고 물기를 최대한 제거해야 한다. 또 생선의 내장이나 고기의 비계는 포화지방산이 많아 자원화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꼭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무엇보다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이물질을 제대로 제거하는 것이다. 나무젓가락이나 병뚜껑, 노끈 등은 음식물과 혼합돼 버려지기 쉽다. 이러한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로 들어가게 되면 재활용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원화 시설의 기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젖은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따로 분리배출하지 않아도 되지만 최대한 물기를 없애는 것이 좋다.

썩은 음식물 쓰레기 - sseog-eun eumsigmul sseulegi


VPB192kb 정보/생활 정보

[ 생활 ] 채소나 과일, 상하거나 썩어도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야 하나요?

2021. 2. 1. 16:58

많은 분들이 궁금한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과일이나 채소가

썩거나 상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야 할까요?

광고도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정답은~!

약간 썩거나 상한건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고,

곰팡이 심하게 난 부분만

뜯어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됩니다.

이유는 이렇습니다!

한번 읽어보세요!

광고도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이렇게 재활용이

된데요.

한번 다시 가열합니다.

엄청난 멸균 과정을 거칩니다.

그 후 한번 말립니다.

그후 가루로 만듭니다.

그후 사료로 만듭니다!

뜨겁게 다시 한번

가열한 음식을~

멸균 과정을 거쳐서

말린뒤, 사료로 만든데요.

그렇기 때문에

쬐끔 상하거나 조금 썩은

부분 정도는 싹다 멸균시켜~

사료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광고도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다만 음식물이 너무

썩어서 곰팡이가 심하게

핀 부분에 대해선......

동물 사료로써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해당 부분만 따로 뜯어,

신문지나 주방용 타올로

잘 감싸서~

일반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버리면 된답니다.

[ 저의 모든 쓰레기 분리수거 내용은 ]

[ 환경부 지침, 서울시 분리수거 처리 기준에 따릅니다. ]

광고 한번씩 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