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9월19일 G5,G6 재접할때마다 인식 문제 해결법 추가

2018 8월31일 Creative 사운드 블라스터X G6 사블 커넥트 제어판 인식 문제 해결 링크 추가

9월19일 G5,G6 재접할때마다 인식 문제 해결법 추가

10월4일 XG6 1160212 드라이버 패치노트 링크 추가

11월11일 기존 풀버전 못구하신분들 링크추가,2차 펌업 패치노트 링크추가

11월17일 기존 구형 드라이버 링크 삭제및 11월16일 드라이버 패치노트및 링크 추가

3월28일 XG6드라이버 링크및 펌웨어 링크 추가

XG6 패치노트및 링크입니다

이번드라이버를 완벽히 사용하기위해서는

아래의 링크의 펌업을 해야 사용할수있습니다

펌웨어 업뎃 링크입니다

AE-5 리뷰에서 예상했던

AE-5의 외장형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국내 Sound BlasterX G5가 공식출시된지

3년만에 신형 사운드카드

Sound BlasterX G6가 공식 출시했는대요

리뷰가 계시될예정인 29일

사전판매 특가 예정입니다

29일 오후 2차례에 걸처

30대씩 총60대 특가이니

구매하실분들은 이기회를 이용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AE-5와 동급스펙의 외장형이

언제 출시되나 개인적으로

주시를 하고있었는대

Sound BlasterX G

라인의 계보를 잇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네요

이번리뷰는

Sound BlasterX G5 상위호환

Sound BlasterX G6입니다

사블의 음장효과나

다른 기본적인 부분은

위 링크의 Z 나 AE-5에 이리 적어서

중복될만한건 아에 누락시켰기때문에

Z 리뷰와 AE-5 리뷰를 보신뒤

XG6리뷰를 봐야 감을 잡을수있을겁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뽁뽁이 를 충분히 감싸 보내주셔서

매우 깔끔한 상태로 왔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국내 공식 수입

오리지날 패키지상태입니다

상자 겉면에 비닐로 감싸져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Sound BlasterX

계보를 잇고있는걸 알수가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AE-5에 적용되어 상당히 호평을받은

X AMP 기능을 추가한걸 알수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오리지날 봉인 씰위치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위아래 2군대 봉인되어있으며

스티커 상태까지 완벽한 상태입니다

봉인씰이 아에 없거나

만약 개봉흔적이있다면

이스티커에

물리적 시각적으로 표시된걸로

확인할수있을겁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씰 두군대를 자른뒤

상자를 들어올리면 됩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Sound BlasterX G6

부분을 들어올리면

그안에

구성품이 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Sound BlasterX G6 본체

설명서

제품보증서

USB 케이블

광케이블

구성품입니다

AS 같은 경우

제이웍스에서 진행을 하는대

동봉된 제품 보증서

들고가서 하는건아니고

국내 정발 제품한해서

인터넷에서있는 구매 기록을토대로

AS 기한을 상정해서 진행하며

인터넷 구매기록이 없다면

시리얼넘버로 AS 기한을 상정해서 진행합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그림으로

매우 잘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헤드폰 그림엔 헤드폰이나 헤드셋을 꼽으면되며

마이크 그림엔 마이크를 꼽으면됩니다

후면 USB 글자엔

동봉된 USB 케이블을 연결한뒤

컴퓨터에 연결하면됩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그림에있는 부분역시

각제품명이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윈도우상 사운드 제어프로그램으로도

조절이 가능하지만

외장 사운드 카드이기때문에

외부에서 일부 중요 세팅을 조절할수도 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그부분역시

설명서에 한글로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외형은

Sound BlasterX G5

큰차이는 없습니다

차이 점이라면

회색입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책상에 뒀을때 밀림을 방지하는역활로

밑 판은 고무로 되어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후면에는 USB단자 와

옵티컬 단자가 보입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제어 소프트에서

모든 조절이 가능하지만

Sound BlasterX G6 같은경우

중요한 몇몇 부분을

아날로그 버튼으로 조절을 할수있으며

시작적으로 어떤 모드가

작동되어있는지 알수있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Sound Blaster같은 경우

헤드폰이나 헤드셋 부분은

3.5극과 4극 모두를 지원합니다

헤드셋 그림 부분엔 헤드폰이나 헤드셋을

마이크 그림 부분엔 마이크를 꼽으시면됩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전체적인

사블 외장형 사운드카드 스펙으로 볼때

Sound BlasterX G6 는

가장 상위에 위치해있으며

여러모로 G5의

상위 호환임을 알수있습니다

Sound BlasterX G6 에는

AE-5에 적용되어있는

Xamp 가 적용되어있으며

콘솔 부분역시 G5에비해

닌텐도 스위치 까지 지원하는 특징이있습니다

Product specifications

Model Number::

SB1770

Product Weight:

144g

Product Dimensions (LxWxH):

(111 x 70 x 24)mm

USB version:

USB 2.0 High Speed/3.0

Audio Processor (DSP):

SB-Axx1

Headphone amplifier:

Xamp Discrete HP Bi-Amp

DSD over PCM:

DSD64, DSD128 (Direct Mode)

DAC SnR/DnR:

130dB

Dolby Digital Decoding:

Yes (via Optical In)

Headphone Amp Output Impedance:

1 Ohm

Headphones Supported Impedance:

16 - 600 Ohms

RGB LED:

Customizable RGB Indicator via SB Connect software

USB Power Adapter Input:

5V DC 1A

Connectivity:

1 x 1/8" Line In/mini TOSLINK In Combo Jack

1 x 1/8" Line Out/mini TOSLINK Out Combo Jack

1 x 1/8" Headphone/Headset Jack

1 x 1/8" Ext Mic In Jack

1 x micro USB port for PC/Mac

Maximum bit-depth/sampling frequency for playback:

Up to 32bit 384kHz PCM (Direct Mode)

Available Sampling Rate (Direct Mode Playback):

PCM 16/24/32-bit / 44.1, 48.0, 88.2, 96.0, 176.4, 192.0, 352.8, 384.0 kHz

DoP 24-bit / 176.4, 352.4 kHz

Maximum Bit-depth/sampling frequency for recording:

Up to 32bit 192kHz

Available Sampling Rate (Recording):

Line In/Optical In: 16/24/32-bit / 44.1, 48.0, 88.2, 96.0, 176.4, 192.0 kHz

Mic In: 16/24/32-bit / 44.1, 48.0, 88.2, 96.0, 176.4, 192.0 kHz

Packaging Information:

Packaging Dimensions (L x W x H):

150 x 158 x 47mm

Packaging Weight:

440g

Minimum System Requirements:

Windows® OS:

Intel®CoreTM i3 or AMD®equivalent processor

Intel, AMD or 100% compatible motherboard

Microsoft® Windows® 10 32/64bit, Windows 8.1/8.0 32/64 bit, Windows 7 32/64 bit

1 GB RAM

>600 MB of free hard disk space

USB 2.0/3.0 port

Sound Blaster Connect 2

Sound BlasterX G6 WHQL and ASIO drivers

Mac® OS:

Mac OS X® 10.9 or higher

1 GB RAM

USB 2.0 / USB 3.0 port

Default Mac OS In-Box audio driver

PS4:

Firmware version 5.0 or later

Available USB port

Available Optical Out port (for Dolby Digital decoding)

Xbox:

Xbox® OS version 10.0 or later

Available Optical Out port (for Dolby Digital decoding)

External USB power (not included)

Voice communications not supported

Nintendo Switch:

Switch OS 5.0 or later

Available 3.5mm headphone port

Available USB port (in docking mode)

External USB Power (use with 3.5mm headphone connection, not included)

Voice communications not supported.

Sound BlasterX G6

부분만을 자세히 보자면

모델 넘버는 SB1770

무게는 144g 이며

L 111 mm

W 70 mm

H24 mm

크기는 G5와 동일하며

무게역시 1g 차이로

외견상 큰차이는 없다고 생각하시면되며

크기부분이 동일하기때문에

G5용 거치대 역시

G6 에서 활용할수 있을꺼 같습니다

G5 스펙에서

Headphones supported

부분은 위에 비교 표는 16 -600 ohms

으로 나와있지만

사블 공식 유저 메뉴얼이나

일본에서 공표된 수치는

Technical Specifications

l USB Input: 5 V

l Headphone amplifier:

o Output impedance: 2.2

ohms o Headphones supported: 32 - 600 ohms

o Headphone gain level:

o Normal: 32 ~ 150 ohms (Gain: up to 5 dB)

o High: 150 ~ 600 ohms (Gain: up to 15 dB)

이며

내가 일고있기로도

XG5는

32 - 600 ohms 인데

맨위에 내놓은 비교표는

표기 오류 같으며

엠프 의 기술적인 차이를 빼고

수치상으로 봐도

16 ~ 600 ohms 인 XG6가

32 ~ 150 ohms XG5보다

상위 호환입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PC 연결같은 경우

CPU는

Intel®CoreTM i3

AMD®equivalent processor

운영체제는

Microsoft® Windows® 10 32/64bit

Windows 8.1/8.0 32/64 bit

Windows 7 32/64 bit

1 GB RAM

600 MB 의 여유공간이 있는 하드디스크

USB 2.0/3.0 port 포트가 있어야하며

Sound Blaster Connect 2 를

설치할수있어야 모든 기능을 제대로 쓸수있으며

PC 연결법은

동봉된 USB 케이블을

그림과같이 연결한뒤

이 링크에서

G6 드라이버를 다운 받으시면됩니다

드라이버가 2가지가있는대

현재 리뷰를

작성하고있는

8월28일

BXG6_PCDRV_L13_3_3_20_00

드라이버가

새로 공개됬습니다

포트나이트 프로필이 추가

절전모드에서 생긴 문제점 2개를 픽스

다이렉트모드와 음장효과 모드 전환한후

RGB조명 변경이 안됬던점 픽스

UI 개선이 이뤄졌습니다

사운드 제어판에서 언급할것이지만

Sound Blaster Connect 에

버그가 아직있기때문에

버그가 어느정도 수정된

8월28일 드라이버를

설치하는걸 일단 추천합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XBOX 같은경우

OS 버전이 Xbox® 10.0 이여야 하며

연결법은 그림과 같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닌텐도 스위치 일경우

스위치 OS 5.0 부터

이며 연결법은 그림과 같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PS4 같은경우엔

펌웨어버전이 5.0 이여야 하며

연결 법은 그림과같이 연결하면됩니다

내장형과 외장형만의 차이점

이부분은 많은 분들이 아시는 내용이기때문에

AE-5와 Sound BlasterX G6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말한다면

Sound BlasterX G6 는

AE-5에있는

스카웃 레이더 가 없는걸

가장 큰 차이점으로 꼽고 싶습니다

스카웃 모드랑 헛갈려하시면 안됩니다

스카웃 레이더입니다

아무래도

Sound BlasterX G6외장형이고

규정이 허락한다면

프로들이 대회에 가지고 나올수있도록

만든 외장형 제품이기때문에

에초에

레이더 기능을 쓰던안쓰던

구설수를 받거나 오해를 만들수있기때문에

스카웃 레이더 를

의도적으로

삭제 한걸로 생각됩니다

두번째 차이점이라면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기존 AE-5 프로필에서

G6로 넘어오면서

중복뒤는 프로필의

각 음장 수치가 다른 수치로 조절되었으며

XG6만의 게임 프로필이 추가됬습니다

리그오브 레전드와

위처 3 추가 됬으며

8월28일 드라이버에

포트나이트 프로필이 추가됬네요

8월28일 현재

AE-5

드라이버 엡데이트가 없어서

포트나이트 프로필 업데이트 역시 없기때문에

사블에서 G6를

먼저 밀어주고있는거 같습니다

세번째 차이점이라면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Sound BlasterX G6 는

펌업으로인한 버그 수정이 가능한점입니다

아마 드라이버 다운 아래쪽에

SB1770_V1_3_20180808

펌업 파일도 있는대

펌업으로

SB Connect ,스카우트,음장, 다이렉트 모드및 돌비 디지털 상태를 개선

스카우트모드및 음장모드 전환할때 스카우트 모드 설정이 업데이트 안되는 현상 수정

윈도우7에서 음소거 문제 픽스

광입력 음소거 문제 픽스

스카우트 모드 켜져있을때 음장베이스 켜져있던 문제 픽스

기존문제가 픽스된걸 알수있는대

사후지원 부분은

확실히

펌없이 없는 AE-5보다

XG6가 여러모로 조금 우수하다고 볼수있습니다

펌업중 모든 작업은 중지하고

펌업하나만 돌려야하며

펌업중 컴퓨터 종료

및 천재 지변으로

전원이 차단된다면

내지는 사운드카드와 연결된 케이블을

업데이트 도중 뽑는다면

기기자체가

아에 작동불릉이될수도있기때문에

펌업할때는 신중을 기해서 해야합니다

제조사의 공식 펌업시 행동요령은

이것으로

To install this application, do the following:

1.Download the file onto your local hard disk.

2.Ensure that your device is connected to your computer.

3.Double-click the downloaded file.

4.Follow the instructions on the screen.

5.Upon successful firmware upgrade, shut down your device by disconnecting USB cable.

6.After 10 seconds, plug the USB cable back into your device.

제조사에서 시키는대로 하면 됩니다

어떤 조건에서 발생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이 프로필 복사 증상은

평소엔 안생기다가

가끔 생기기때문에

이 부분역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이영상 부분잘못 된점 수정입니다

음성변조기능은

삭제는 안됬습니다

마이크를 연결하면 해당 부분이 보이며

마이크를 연결안했다면

음성변조 부분은 안보입니다

외장형 사운드 카드에서

생길수있는 문제점및 해결방법

대표적으로 생기는

문제점중

외장형 USB 인식문제를 꼽을수있는대

재부팅할때마다 뽑았다가

다시 꼽을때 인식되는 경우

여러 포트를 옴겨서 부팅 인식 테스트를 한다면

이상없는 포트를 찾는 경우도있으며

USB 전력에따라

이상증새는 외장형 사운드카드나 사운드바 말고도

생길수있는 문제로

이경우에도 천차만별인대

본문에는 전력손실 없이 바로 받을수있는

후면연결을 추천하지만

후면USB 에꼽을때 정상작동 하는사람

후편꼽으면 안되고 정면에꼽을때 정상작동하는사람

등 여러 분류로 나눠지며

USB 형태의 사운드바 사용시

볼수있는 현상이기도한대

포트마다 정상작동하는 포트

소리가 급격히 작아지는 포트등

이걸 미루어볼때

문제있는 특정 포트경우

충분한 전력을 못보내 줘서 생기는듯하며

이런포트일경우

외장형 사운드카드에

이상증세를 일으키는거같습니다

바이오스에서 S4 옵션부분

을 설정한다면 이런 문제가 없어지기도하며

동봉된 케이블 자체의 불량으로

인식이 잘안될수도있으며

컴퓨터 종료후에도

마우스나 키보드 불빛이 들어오는게 신경쓰인다며

바이오스에서 USB 충전 유지옵션을 끌경우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있습니다

외부 콘센트에서 전력을 보내주는

USB 허브는 상관없으나

내부전력으로 작동되는

USB 허브를 쓰는경우

전력이 모자라

인식 불가 문제가 생길수도있습니다

하지만 USB 허브를 쓰고있어도

나처럼 USB 충전옵션을 써도

전혀 문제가 없는 경우도있기때문에

자신의 시스템마다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됩니다

이는 비단

사블 G5 에서만 생기는 종특이아니라

모든 USB 형태의 전자 장비

특히 시스템

메인보드 특성타는

외장형 캡처 카드에서도

흔히 생기는 문제이며

외장 캡처카드경우

USB2.0 전용인대

2.0연결시 문제가있는경우

USB3.0으로 연결할때

정상작동하는 경우도있고

반대경우도 생길때도있습니다

보통은 모든 포트중 전력공급이

원할한 포트가 하나쯤은 있지만

특이하게 모든 포트 전력이

약한 경우가있는대

이런경우

전력이 적게들어가는

마우스 키보드는 정상작동하지만

그거보다 전력을 많이먹는

사운드 카드 같은경우

인식에 영향이

안좋을때도있는대

이런경우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이렇게 USB 2개의 전력을 빨아오는 구조로

낮은 전력을 충당할수도있습니다

켑처 카드를 예로들었지만

이처럼 USB 형태는

호환성을 타기도 합니다

사블말고도

외장형 USB 사운드 카드

사용자에게도

흔하게 생기는

생기는 문제점이며

언제나 말하지만

사운드카드의 자체 불량률은 다른 전자 장비에비해

매우 불량률이 낮은편에 속하고

문제가있는경우

거의 알고보면 사용자미숙

자신시스템문제 라고 보면됩니다

사블에서 소리는나오나

사블 제어판이 먹통인경우엔

윈도우 백신이 막고있어 문제가 일어나는경우도있기때문에

윈도우 백신을 삭제한후 사블 제어판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극소수로

진짜 사운드카드 자체불량일 경우도 있으니

여러 컴퓨터에서 테스트를 해본뒤

기기문제라고 확신이들때는

빠른 AS 받는걸 추천합니다

국내 정발 제품일때는

제이웍스에서 AS를 받을수있으며

택배도 되고 직접 찾아가는것도 됩니다

대체적으로 제이웍스 AS는

국내에서 상위권에 속한다고 보고있으며

제이웍스 안에는

방문자용 컴퓨터 2대가 있어

자신의 외장형 사운드카드가

불량의심이될때

집에 컴퓨터가 여러대없어

확실한 불량테스트가 힘들때

직접가서 테스트해볼수도 있습니다

해외구매 분들은

양해를 구하고

제이웍스에서

테스트및 자문을 구해볼 수는 있으나

국내 AS는

안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28일에 이리뷰를 작성중이고

29일날 리뷰작성이 완료될 예정인대

29일 오후

1차 30대

2차30대

분량으로

할인된 가격으로

사전 판매 이벤트를 할예정인거같습니다

자세한건 링크가보시면됩니다

구매 예정이신분들은

좋은 기회일꺼같습니다

사플때문에 구입하는 분들이

과반으로 예상하기때문에

사플부분에대해 말해주자면

크게 사플유형은

3가지 유형입니다

가상

스테레오

리얼

이중 G6가 속해있는

가상과

스테레오 부분을 설명하겠습니다

첫번째 가상 부분은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이렇게 게임 자체

서라운드 옵션이있는 게임과

자체 서라운드 옵션이 없는

게임으로 나눠지는대

인게임 서라운드가 ON 되있는 상태에서

사운드카드의 서라운드가 ON 되있을때

중복으로 역효과때문에

방향성이 반대로 극심하게 떨어지기때문에

사운드카드의 서라운드를 ON 했을때는

게임안의 서라운드를 OFF 해야하며

게임안의 서라운드를 ON 할때는

사운드카드의 서라운드를 OFF 해야합니다

흔히 무료로 사용하는

레이저 서라운드

윈도우10 자체 서라운드 역시

ON 할때는

게임속의 서라운드는 OFF 해야

정상적인 사플이 가능하다고 보면됩니다

최근 게이밍 헤드셋에 달려서 나오는

돌비 서라운드등을 쓰기위해

서라운드 ON 시키니 베그 방향성이

더크게 떨어짐을 느끼는 분들이 많으신거같은대

서라운드를 ON하면 공간감이 쭉퍼지면서

생기는 특정음들이

저가형 게임용 헤드셋 자체가 저음에의해

울림이 매우 퍼저

사플하기에 사람에따라

매우 힘들거나 불편할수있으니

급한대로

자신의 현 장비 보유 상태에따라

여러 유형을 테스트해보고

일단 다른 계파라도

당장 가장 사플이잘되는쪽으로

가는게 유리할수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사운드카드 서라운드를쓰던

인게임 서라운드를쓰던

서라운드 모드로 배그를 돌릴때는

이문제 때문에 게이밍용으로

나온건 사용하지 않으며

나역시 저음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에초에 젠하이저 처럼

저음부가 단단한 걸 선호하는이유입니다

최근에 나온 젠하이저 헤드셋일경우

무게는 걸릴수는있으나

그걸 제외하고 들리는 부분만따질경우

많은 사람들이

GSP500 ,600이

HD600과 숫자와 가격대가 비슷하다고해서

레퍼런스급에

플렛한거 아니냐고

착각하는경우가 많이있는대

GSP600과 500은

플렛하고는 거리가 있는

일반 게이밍 장비처럼

저음 강화버전이지만

태생적으로

젠하이저 저음이기때문에

일반적인 게이밍 헤드셋에

적용되는 공식이 속하지는 않습니다

자신이

서라운드 파일경우

선택지가

G6 서라운드

레이저 무료 서라운드

인게임 서라운드

윈도우 서라운드

등으로

어떤걸 써야하냐

나눠질텐데

G6 를 구매하셨다면

인게임 서라운드가 구현된

많은 게임을 돌아가며 테스트를 해봐도

G6 서라운드가

앞서 나열한 서라운드보다

우수 하다고 확실히 말할수있습니다

서라운드 스테레오 모드로

각게임 녹화를하더라도

녹화 채널이 너무낮아

녹화영상으론

서라운드를 ON하나 OFF 하나

차이점이 없어서

내가 녹화해서 올려도

차이점으로 구별할수 없으며

스스로 테스트 해보는게

가장 쉽게 구별을 할수있을겁니다

이 서라운드 테스트는

게임마다 스테레오상태라도

어느정도 후방 감지가

수월하게 표시되는 게임이 존재하는대

글옵같이 스테레오로 하더라도

후방감지가 확인이 잘되는 게임이있는반면

오버워치처럼

스테레오상태에서는

후방감지기 매우 힘든 게임도있어서

스테레오 모드에서 후방감지는

게임마다 상이하게 차이가 나는걸

테스트해보시면 쉽게 알수있을겁니다

스테레오 파일경우

크게 2가지방법으로

G6에서 활용할수있는대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첫번째

오디오 이펙트에서

스테레오를 고른다면

SBX

32비트 96000Hz로

사블음장효과및 이퀄 최적화로

스테레오를 사용할수있으며

두번째는

오디오 이팩트 오른쪽에 있는

다이렉트 모드를 사용한다면

SBX 즉 사블음장효과와 이퀄은 조절 불가상태가 되지만

32비트 384000Hz상태로 스테레오를 쓸수있습니다

여담으로 이방법으로 다른방식으로 쓸수도있는대

다이렉트모드

32비트 384000Hz 모드 상태에서

인게임 서라운드를 켜서 사용한다면

서라운드 모드가 적용되지만

극강의 32비트 384000Hz를

사용할수도있습니다

물론 일부게임

대표적으로 베틀필드1같은경우엔

32비트 384000Hz 경우엔 게임자체는 문제가없지만

음질이 매우 깨진상태로 나오며

몇달전만해도

리그오브레전드일경우

런처 로그인 화면에서는

32비트 384000Hz 모드일땐

로그인 화면에서 멈추는경우가있었으며

로그인 할땐 24비트로 전환한후

완료된후 및인게임안에서

32비트 384000Hz 모드일때는

정상작동하는걸 볼수있었습니다

자신이 하는게임이

다이렉트 모드 32비트 384000Hz를

버틸수있는 게임인지 아닌지

먼저 확인후 사용하시면됩니다

즉 다이렉트모드는

단순히 서라운드 모드의

반대에있는 스테레오 모드라고 착각할순있으나

실제론 다이렉트모드는

스폐설모드라고 볼수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즐겨 하는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같은경우엔

32비트 384000Hz는 큰문제 없이 사용할수있습니다

리뷰작성중

이런문의가 왔는대

개인적으로

금전적인 능력이 충분하다면

넘어갈걸 추천합니다

집에서 할경우 AE-5

외부로 들고가는경우가 많은경우

내장형을 못쓰는 특수한 경우엔

G6 가시는걸 추천합니다

체감상 가장높은건

리시버를 변경하는것

그다음으론

DAC나 엠프 업글을 보고있습니다

리시버가 어느정도

성능을 따라주는경우엔

AE-5나 G6 변경시

충분한 체감효과를 누릴것으로 보이며

역체감은 더크게 느낄수있습니다

리시버가 기대이하로

많이 떨어지는경우엔

체감효과가 위의 예시보다는

다소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물론이경우에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고 볼수있습니다

단순

G5와 비교한다면

한가지 확실한건

G6는 앞서 말한대로

의심할 나위없는

G5의 상위호환입니다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사운드블라스터 g6 구성품 - saundeubeullaseuteo g6 guseongpum

간단하게 말하면

비트심도와 셈플레이트가높아

울렁거리는 주파수가

가로와 세로가 많이 쪼개질수록

아날로그 신호의 곡선에 가깝게 되고

그만큼 음질이 아날로그신호에

가깝도록 좋아지는건대

단순히 셈플레이트만 높아서 될게아니라

비트심도도 같이 높을수록

조금더 디테일이 높아진다고 볼수있습니다

음향업계에서도

32비트 382000으로 많이 넘어갔기때문에

무손실 좋은 음원을 구해서 사용하거나

미래의 게임 효과음 이 계속발전하겠지만

미리 구현가능 시스템을 준비했다고 보셔두됩니다

전원이들어갈때 혹은

전환될때 들리는 틱틱 혹은 딱딱 소리는

DAC 작동 소리로 보시면되는대

이는 고급 음향 DAC 에서

흔히 볼수있는 경우로

불량이아니니 참고하시면됩니다

2018년 8월29일 현재까지 나온

외장형 게이밍 사운드 카드중

이거보다 좋은건 없다라고

단언이 가능할정도로

최상위 스펙이고

스테레오 파

가상파

어디에 속하던

양쪽다 현존 최고로 쓸수있으며

콘솔유저까지 아우를수있고

대회에 들고다닐수있는

프로용 게이밍 사운드 카드라고

볼수있습니다

하지만 앞서말했듯이

아직 남아있는 제어판의 버그

AE-5에 있는 몇가지 기능삭제

특히 광출력시에만 작동하는 돌비기능은

매우 아쉬운 부분 이지만

대회나 피시방같이

밖으로 들고다닐경우엔

이정도의 외장 게이밍 사운드카드는

없다 라고 단언이 가능하기 때문에

딱히

다른 선택의 여지도 없을뿐더러

이모든 단점을 순수 능력으로

커버가되기때문에

이정도면 프로 말고도

PC 유저및 콘솔유저까지

대중적으로

아우를수있을정도로

매우 잘나왔다

라고 판단이 됩니다

포스팅이 도움이됬다면

PC로 보시는분들 포스팅아래

파워 광고 점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리뷰는 EM 베스트 를통해

제이웍스에 지원받아

느낀 사실그대로 리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