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1L 부피 - mul 1L bupi

물 1리터의 무게 계산하기

평상시에 늘 마시는 물의 무게에 대해서 한번 생각을 해보셨나요?

만약에 1.5리터짜리 페트병을 3개를 들고 등산을 갔다가

약수터에서 가득 물을 답아서 내려왔다면

어느 정도의 무게가 될까요?

생각보다 이 정도면 무겁다는 생각이 들겠죠. ㅋㅋ

그냥 느낌이 아닌 정확한 수치로 한번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 1L 부피 - mul 1L bupi

위의 사진은 보리차가 든 1.5리트짜리의 페트병입니다.

만약에 물1리트의 무게가 몇 kg인지만 알아낸다면,

이것도 어렵지 않게 응용해서 금방 계산이 되겠네요.^^

물 1L 부피 - mul 1L bupi

위는 네이버에서 1리터의 부피에 대한 검색결과로 나온 다른 단위의 수치입니다.

물 1L = 1000cc = 1000Cm3이며,

물의 밀도는 부피 대비 무게를 일컫는 것이므로

이를 수치화하면, 1g/Cm3가 됩니다.

따라서 물의 무게 = 비중 * 밀도

= 1000Cm3 * 1g/Cm3

= 1000g= 1kg이 됩니다.

그럼 앞에서의 사례를 다시 한번 계산해보도록 해볼까요?

1.5L페트병 3병의 물의 무게 = 4.5L의 무게

= 4.5*1kg=4.5kg이 된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그냥 어렵게 생각할 필요없이 물의 경우는 리터 단위와 무계 단위가 같다고

외워두는 것이 오히려 더 편할 듯 합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물의 온도에 따라서 비중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여러분은 철 1KG과 솜 1KG 중 어느것이 더 무게가 무겁다고 생각하시나요? 얼핏 보면 당연히 철이 무거울 것 같기도 하지만 이 두 물체의 무게는 같습니다. 단지 두 물체의 차이는 부피에 의한 차이일 뿐 밀도에 의한 차이를 비교하자면 철이 훨씬 높다고 할 수 있겠죠.


물 1리터 무게 역시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는데요 물 1리터 부피 기준은 가로 세로 높이가 10cm로 구성되어 있는 정육면체에 물을 가득 담았을때 1kg이 된다고 합니다. 문제는 물을 가득 담는다고 무조건 1kg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물 1L 부피 - mul 1L bupi


물 1리터의 무게가 아주 정확하게 1kg이 되기 위해서는 두가지 조건이 존재합니다.


1. 물의 온도가 섭씨 4도

2.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물


우선 물의 온도가 섭씨 4도가량 되어야 하는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증발할 위험이 있고 반대로 온도가 너무 낮으면 물이 얼어 무게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물에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데 아주 정확하게 무게를 재기 위해서는 아무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증류수를 가지고 무게를 재면 정확한 물 1리터의 무게는 얼마인지 측정이 가능합니다.


물 1L 부피 - mul 1L bupi


그런데 물 1리터 무게가 1kg이라고 하여 다른 액체도 1리터의 무게가 1kg이 되지는 않습니다. 예를들면 경유 1리터 무게는 온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지만 대략 0.8kg~0.9kg 사이에서 측정되며 휘발유 1리터 무게는 그보다 약간 무게가 덜 나가는 0.7kg~0.8kg 내에서 측정됩니다. 이것은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온도차이에 의해 구분되는 밀도의 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리터 몇키로 정도일까요?

리터와 키로는 단위가 달라서 정확히 계산하기 애매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1리터 몇키로 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 1L 부피 - mul 1L bupi

◆ 1리터의 의미?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cm인 그릇의 들이를 1리터라고 하며, 1L라고 씁니다.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cm인 그릇의 들이를 1밀리리터라고 하고, 1mL라고 씁니다.
부피는 겉으로 드러나는 양의 크기를 말하고 세제곱미터로 표시하고,
들이는 안에 담을 수 있는 양의 크기를 말하며 mL, L로 표시합니다. 

 

 

◆ 물 1리터는 몇키로 일까요?

물은 4도씨에서 밀도가 가장 커지고 부피가 가장 작아지기 때문에 4도씨 물을 기준으로 물 1세제곱미터가 1g의 무게를 가집니다. 따라서 물 1리터는 1000mL가 되고, 1000mL는 1000g이 되므로 물 1리터는 1kg이 됩니다. 
단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물이었을 경우이며, 그릇의 무게는 감안하지 않았을 경우의 계산입니다. 

물 1L 부피 - mul 1L bupi
<출처 - 네이버>


단위변환 표에서 보면 1리터는 1,000cc와 같고, 1,000ml와도 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1리터 = 1kg입니다.  

궁금해하던 것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1리터 몇키로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물 1L 부피 - mul 1L bupi

☞ 함께 보면 좋은 글

- 소주 어는점 맥주 어는점 몇도?

- 컴활 자격증 유효기간 확인하세요.

- 1키로 걷는시간 얼마나 걸릴까요?

- 고혈압 약과 함께 먹으면 안되는 음식 3가지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데일리 해피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1 역링크 토론 편집 역사 ACL

리터

최근 수정 시각: 2022-09-21 16:01:55

  • 동음이의어
  • 영어 단어
  • 도량형
  • 기사(작위)
  • 독일의 문화
  • 독일어 단어
  • 병과/고대~근세기

1. 도량형 litre / liter

1.1. 개요1.2. 정의1.3. 기호 표기 및 단위 읽기1.4. 기타

2. 독일어권의 기사 칭호 Ritter

2.1.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Ritter 칭호 소유자

1. 도량형 litre / liter[편집]

1.1. 개요[편집]

부피의 단위. 로마자로는 litre(영국/프랑스식) 또는 liter(미국식)라고 쓰지만, 국제표준표기는 전자인 litre. 어원은 유럽의 옛 부피 단위인 리트론(litron).

리터의 정의는 1 dm3 이다. 한 모서리의 길이가 1미터의 1/10, 즉 1데시미터(=1 decimeter=1 dm)(=10센티미터=10 centimeters=10 cm)인 정육면체의 부피이다.

즉, 가로 10cm, 세로 10cm, 높이 10cm의 물의 부피. 1 L=10*10*10 ㎤=1000 cm3=1000 cubic[1] centimeters=1000 cc
따라서 가로 1cm, 세로 1cm, 높이 1cm, 즉 1삼제곱센티미터(cubic centimeter, cc)는 1000분의 1리터가 되므로 1mL다(1cc = 1mL).[2] 물 1mL(=1cc)는 약 1그램과 같다. 하지만 알콜은 밀도가 0.789여서 알콜 1mL(=1cc)는 0.789그램이다. 비중이 섭씨 4도의 물의 비중인 1과 비슷한 물질은 그냥 1mL(=1cc)가 1그램이라고 보면 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1천 리터의 부피는 1 m3와 같고, 물 1천 리터의 질량은 1톤과 거의 같다.

1.2. 정의[편집]

물 1 L의 중량은 약 1 kg인데, 이는 1901년부터 1964년까지 1 기압에서 4 ℃짜리 순수한 물 1 L의 질량을 1 kg으로 정의했던 역사 때문이다. 그런데 당시 킬로그램 원기가 28 ppm 정도 더 크게 만들어진 탓에 의도한 바보다 약간 무거워져서, 1 kg에 해당하는 물 1리터를 미터 단위로 환산하면 1.000 028 dm3라는 좀 구질구질한 값이 되었다. 게다가 물 1 kg의 부피로 정하려고 해도 압력과 온도와 순도에 따라 물의 밀도가 변하는 문제가 있었고, 설령 압력과 부피, 순도를 악착같이 맞춘다 하더라도, 물을 구성하는 수소와 산소의 동위원소 구성비에 따라 물의 밀도가 달라지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결국 1964년 제12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는 무게와 관련된 부분을 포기하고 깔끔하게 1리터 = 1 dm3라고 정의했다. 이것이 현재 쓰이는 리터의 정의다.

정의 변경 이전의 리터와 이후의 리터가 미미하긴 하지만 분명히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1964년 정의 변경 이전에 리터 단위를 사용하여 작성한 논문 등을 참고할 때에는 이 점에 주의하라고 설명한다.

공식 SI 단위는 아니지만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단위로 인정받았다. 국제도량형위원회가 인정하는 준 SI 단위인 셈이다. 헥타르와 생겨난 이유가 비슷한데, 세제곱이다 보니 SI 접두어 간 간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3] 징검다리 격으로 사용할 만한 단위가 필요해서 만든 것이다.

파생 단위로 데시리터(deciliter, 0.1리터) 등이 있다.

1.3. 기호 표기 및 단위 읽기[편집]

기호로는 로마자 엘의 대문자(L)와 소문자(l)를 모두 사용한다. 대문자 L은 1979년 제1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원칙에 따르면 SI 단위는 단위명을 고유명사(인명 등)에서 따왔으면 첫 글자만 대문자로[4], 그렇지 않다면 무조건 첫 글자부터 소문자[5]로 표기해야 한다. 하지만 많은 글꼴에서 소문자 엘(l)과 숫자 1을 구별하기 힘든 경우가 많으므로, 리터만큼은 고유명사가 아니어도 예외적으로 대문자 표기를 허용하였다. 컴퓨터가 보편화된 요즘은 이 둘에 더해 대문자 아이(I)까지 더해져서 이 셋을 더더욱 구별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에 대문자 표기가 대세다. 당장 대한민국의 교과서에서도 전부 L로 표기한다.

1979년 이전에는 숫자 1과 구분이 안 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필기체 소문자 표기(ℓ)도 허용했지만 현재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대문자 L 표기를 허용하였기 때문. 다만 일부 유럽 국가들과 한국, 일본에서는 간간히 비공식적으로 사용한다.

1천분의 1 단위인 밀리리터(mL)도 많이 사용하는데 생물학 실험실 등에서는 흔히 엠엘(ml)이라고 읽는다. 우리나라에서는 밀리리터를 세제곱센티미터(cm3)의 영어 약자인 씨씨(cc: cubic centimetre)라고 읽고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자동차의 배기량을 대부분 cc로 표현한다. 밀리리터든 엠엘이든 씨씨든 완전히 동일한 단위지만 표준은 '밀리리터'이다.

1백만분의 1 단위인 마이크로리터(μL)도 화학 / 생물학 실험실 등에서는 자주 사용하는데, 흔히들 람다(lambda: λ)라고 읽는다. 1880년 국제도량형국(BIPM)에서 '람다'를 백만분의 1 리터를 가리키는 단위로 정했지만, 현행 SI 체계에서는 비추천한다. 하지만 편하기 때문에 여전히 일부 실험실 등에서 특히 입말로 사용하곤 한다. 병원 등에서는 마이크로리터 또는 마이크로그램을 줄여 불러 흔히들 '마이크로'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영어식 발음인 릿타(リッター)와 프랑스어식 발음인 릿토루(リットル)의 두 가지 독법이 혼재하며, 사람마다 자신이 편한 쪽을 사용하고 있다.

1.4. 기타[편집]

원래는 액체와 기체에만 쓰이는 단위였으나 지금은 고체에도 쓰인다.

한국에 '더리터'라는 커피 체인점이 있는데, 이름답게 리터 단위 사이즈가 있음이 특징. 흔히 대용량으로 생각하는 벤티[6]보다도 더 커서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단, 샷은 스타벅스의 벤티[7]의 절반인 2샷이기에 밍밍하다.

한국의 교육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수학에서 mL와 L 단위를 배운다. 다만 이 시점에서는 입체의 부피에 대해서 배우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부피 개념이 아니라 그릇에 액체가 얼마나 들어가는지에 대한 들이의 개념으로 접근한다. 참고로 입체의 부피 개념은 초등학교 6학년 과정에서 배우게 된다.

오토바이의 배기량을 일컬을 때 1000cc급의 오토바이를 '리터급', 그보다 배기량이 더 큰 오토바이는 '오버리터급'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2. 독일어권의 기사 칭호 Ritter[편집]

독일어권의 귀족칭호. 기사(knight)를 뜻한다.[8] 남작(Freiherr)보다는 낮고, Edler[9], 그냥 von만 사용하는 귀족보다는 높은 칭호다. 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세습이었고, 세습이되 남작보다 한끗발 낮다는 데서 영국의 준남작과 비슷한 점이 있다.

오스트리아와는 달리 바이에른이나 뷔르템베르크 같은 지역에서는 막스 요제프 군사훈장(바이에른) 같은 특정 훈장의 수훈자들에게 비세습 리터 칭호를 주기도 했다.[10] 빌헬름 리터 폰 레프 같은 이가 그런 경우. 단 막스 요제프 군사훈장 수훈자는 바이에른 왕국 신민이어야 리터 타이틀을 달 수 있었는데, 프로이센인인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막스 요제프 훈장을 수훈받았지만 리터 칭호가 안 붙는다.

2.1.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Ritter 칭호 소유자[편집]

바이에른 왕국의 막스 요제프 군사훈장을 수훈해 비세습 Ritter 칭호를 받은 경우는 ★표시

  • 게오르크 루트비히 폰 트랍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 프란츠 폰 리스트

  •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프란츠 폰 히퍼★


그 외 경우

  • 라스트오리진 - AT72 라인리터


[1] cubic이란 3승, 세제곱을 뜻한다. 입방(立方)이라고도 부른다.[2] 밀리(milli-)는 1000분의 1을 의미[3] 1 m3와 1 mm3는 무려 10억 배나 차이난다.[4] 예: N(뉴턴), A(암페어), Hz(헤르츠)[5] 예: g(그램), rad(라디안), m(미터)[6] 보통 약 600 mL가량(20 액량 온스)[7] 591mL 4샷[8] 다만 리터 칭호는 남자에게만 귀속된다. 딸은 리터 칭호 없이 그냥 von이다. Ritter의 아내의 호칭은 Ritterin이 아니라 그냥 Frau.[9] Edler의 칭호를 사용했던 대표적 인물로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가 있다.[10] 바이에른에서도 세습 리터 칭호를 쓰는 가문은 있었다.

물 1L 부피 - mul 1L bupi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물 1리터는 몇 ml인가?

1l=1,000ml입니다.

1리터는 몇 리터?

1밀리리터 정확히 0.001 리터(Liter)입니다. 1리터는 정확히 1000 밀리리터입니다. 즉 1000 씨씨입니다. 즉, "1000분의 1 리터"가, "1ml" 또는 "1cc" 입니다.

물 1리터는 몇kg?

4도의 기준으로 1리터의 무게는 1kg이다! 순수한 이라면 거의 맞다고 볼 수 있는데요 .

물 1 톤은 몇 m3?

물의 단위중량 1ton/m3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