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택시 대형 몇 인승

카카오 택시 대형 몇 인승

서울역(서부)에서 손님을 태우기 위해 줄지어 서 있는 택시들. 정용일 기자

15일부터 카카오택시 등 플랫폼 택시 합승이 허용된다. 승객이 원하는 자발적 합승만 가능하고, 5인승 이하 승용차 택시는 같은 성별끼리만 합승할 수 있다. 택시요금은 업체가 결정하지만 대체로 승객들이 요금을 나눠 낼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14일 플랫폼 택시의 합승을 허용하는 ‘택시운송사업의 발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개정안이 15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개정안에는 합승 서비스를 운영하려는 플랫폼 가맹 또는 플랫폼 중개사업자의 서비스가 갖춰야 할 승객의 안전·보호 기준이 담겼다.

시행규칙 개정안을 보면, 합승 중개는 승객 모두가 플랫폼을 통해 신청한 경우에만 이뤄질 수 있다. 또 합승하는 모든 승객이 합승 상대방의 탑승 시점과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앉을 수 있는 좌석 정보도 탑승 전에 승객에게 알려야 한다.

경형, 소형, 중형택시 합승은 같은 성별끼리만 가능하다. 그 외 배기량이 2000cc 이상인 승용차(6인승 이상 10인승 이하) 또는 승합차(13인승 이상)를 이용한 대형택시 차량은 성별 제한이 없다. 차량 안에서 위험 상황이 생기면 경찰(112) 또는 고객센터에 긴급신고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춰야 한다. 가령 ‘긴급신고’를 누르면 경찰에 자동으로 문자 신고가 되는 시스템을 플랫폼에 갖춰야 하는 것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합승시 택시 요금은 플랫폼 업체가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다만 동승한 승객끼리 요금을 나눠 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에서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중인 플랫폼 사업자 ‘코나투스’의 반반택시의 경우,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동승 승객이 택시요금을 나눠 지불한다.

택시 기사가 임의로 승객을 합승시키는 행위는 계속 금지된다. 과거 택시 운전자가 요금 수입을 늘리기 위해 승객 의사와 무관하게 하던 합승은 1982년 법으로 금지됐다. 이후 올초 법률 개정으로 플랫폼 택시에 한해 자발적 합승 서비스가 허용됐고, 이날 후속조처로 새 시행규칙이 공개된 것이다. 플랫폼 가맹 또는 중개사업자가 합승 서비스를 운영하려면 이날 발표된 승객 안전·보호 기준을 갖춰 관할 관청에 사업계획변경을 신청해야 한다.

윤진환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은 “플랫폼 택시 합승서비스는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안전하게 진행되어 왔고, 이번 승객 안전·보호 기준의 시행으로 시장에 정식 출시될 수 있게 되었다”며 “플랫폼 택시 합승 허용으로 심야택시 승차난을 일부 완화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카카오T벤티 시범서비스  

카카오 택시 대형 몇 인승

11일 베타서비스를 시작하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대형승합택시 카카오T벤티. [사진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의 대형 승합 택시 서비스 ‘카카오 T 벤티’가 11일 오후 4시부터 시범운행에 들어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1일 대형승합 택시 중개 서비스인 ‘카카오T벤티 베타 서비스’를 한다고 밝혔다. 대형승합 택시는 배기량 2000㏄이상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6인승 이상 10인승 이하) 또는 승합자동차(13인승 이하)를 사용하는 택시를 말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2인승 스타렉스 차량 100여대를 활용해 서울 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정식 출시 전 기술적 안정성을 높이고, 크루(기사) 및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서비스 품질을 확보하고자 진행하는 준비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기본요금 4000원, 시범운행기간은 할인 

기본요금은 2㎞당 4000원이다. 이후 거리요금은 131m당 100원이며 시간 요금은 40초당 100원이다. 탄력 요금제를 실시하며 실시간 수요, 공급에 따라 0.8배~2.0배로 요금이 달라진다. 다만 시범 서비스 기간에는 0.8배 요율을 적용하는 만큼 일반 중형택시보다 엇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수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용 방법은 기존의 카카오T택시 이용방식과 동일하다. 앱을 통해 택시를 호출하고 주변에 차량이 있을 때만 카카오T벤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안내가 공지된다. 차량 외관에는 카카오프랜즈 인기 캐릭터인 라이언 캐릭터가 입혀졌다. 당초 카카오T벤티의 초기 운행 대수는 700~800대로 예상됐지만, 시범 운행은 그보다 크게 적은 100대로 운영된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시범 서비스인 만큼 소규모로 시작해 서비스가 안정화 되면 대수를 늘려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민제 기자

관련기사

10월부터 카카오택시 ‘벤티 사이즈’ 달린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이달 중 법인택시 회사들과 ‘타다’ 같은 11~13인승 이하 대형택시의 ‘중개서비스’를 선보인다. 지난달 26일 서울시가 대형 승합택시 운영 지침을 확정하면서 ‘플랫폼 택시’가 본격적으로 도로에 나오게 된 것이다.

카카오 택시 대형 몇 인승

카카오모빌리티가 이달 중 11~13인승 대형택시를 선보인다. [사진 카카오모빌리티]

서비스 이름은 ‘카카오 T 벤티’로 확정됐다. 차종인 ‘밴’과 카카오 T의 ‘T’ 합성어로, 커피전문점에서 가장 큰 사이즈를 칭하는 이탈리아어 벤티(Venti)에서 따왔다.

렌트카+기사 제공 타다와 달리 기존 대형택시 중개만

카카오모빌리티의 ‘벤티’와 쏘카 자회사 VCNC가 운영하는 ‘타다’의 다른 점은 운영 방식에 있다. 타다가 11인승 카니발을 렌트해 파견회사 등에서 간접 고용한 운전기사를 함께 제공하는 식으로 서비스를 운영한다면, 카카오모빌리티는 기존 법인택시 회사들의 11~13인승 대형택시를 ‘중개’한다. 따라서 차량과 운전기사 모두 기존 법인택시 회사 소속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사 플랫폼에서 대형택시가 콜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도록 브랜딩과 기술 지원을 맡는 형태다.

카카오 택시 대형 몇 인승

타다의 11인승 카니발 [사진 타다]

배차 시스템은 ‘타다’와 같은 ‘승차거부 없는 바로배차 시스템’이다. 바로배차는 택시기사가 호출을 수락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게 아닌, 호출 승객 주변에 차량이 있으면 목적지 관계없이 자동배차 되는 시스템이다. 두 회사의 운영 방식은 다르지만, 고객 입장에선 타다와 카카오모빌리티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울·경기·인천에 대형 라이언택시 최대 800대

현재 ‘벤티’의 초기 운행 대수는 서울ㆍ경기ㆍ인천 지역을 합쳐 700~800대를 목표로 100여 개 법인택시 회사들과 막판 협상 중이다. 요금제 또한 호출 수요에 따라 0.7배~2배까지 요금이 변동되는 ‘탄력요금제’만 확정됐을 뿐 구체적인 숫자는 정해지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실시간 수요에 따라 최대 1.5배가 적용되는 ‘타다 요금제’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한다.

차종은 기존 법인택시 회사 차량을 이용하는 만큼 스타렉스와 카니발 모두 가능하다. 다만 외관에는 라이언 등 인기 카카오프렌즈 캐릭터가 들어갈 예정이다.

중형택시에도 ‘라이언’ 들어간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가장 흔한 5인승 승용차 형태인 ‘중형택시’에도 카카오의 색을 입히기 위한 밑 작업 중이다. 지난달 ‘승차거부 없는 택시’ 웨이고블루를 선보인 타고솔루션즈(50여 개 법인택시 회사가 모여 만든 택시가맹사업자)의 지분을 100% 인수해 웨이고블루의 이름을 ‘카카오 T 블루’로 바꾸고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디자인을 입혀 연내 1000대까지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이로써 카카오모빌리티가 선보이는 택시 서비스는 일반 중형택시를 중개하는 ‘카카오 T 택시’, 일반 대형택시를 중개하는 ‘카카오 T 벤티’, 가맹 중형택시를 직접 운영하는 ‘카카오 T 블루’ 세 가지로 확장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김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