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도 부피 질량 공식 - mildo bupi jillyang gongsig

밀도

<1> 부피의 측정

1) 부피: 물체나 물질이 차지하는 공간

2) 부피의단위: ㎣, ㎤, ㎥, ㎦, ㎖,ℓ

                      1㎖= 물 1g이 차지하는 부피≒1㎤

                      1㎥ = 106㎤ = 1000ℓ

3) 부피의 측정: 물질의 상태나 모양에 따라 측정 방법이 다름

 ① 규칙적인 물체의 부피 측정

   ○ 육면체의 부피 = 가로 × 세로 ×높이

   ○ 구의 부피 = 4/3 ×π× r3

   ○ 원기둥의 부피 = π×r2×높이

 ② 액체의 부피: 메스 실린더에 부어 측정

 ③ 모양이 불규칙한 물체의 부피 측정: 물이 담긴 메스 실린더에 고체를 넣고 올라간 수면의 높이를 측정

 ④ 물에 녹는 물질의 부피 측정: 소금이나 설탕과 같이 물에 녹는 고체는 이들이 녹지 않는 액체(에탄올 등)를 메스 실린더에 넣고 측정

 ⑤ 기체의 부피 측정: 기체의 부피는 고체나 액체와는 달리 온도와 압력에 따라 크게 변한다. 따라서 기체의 부피는 온도와 압력이 같이 명시되어야 함.

<2> 질량의 측정

1)질량: 물질의 모양이나 상태, 장소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 물질의 고유한 양

 ① 질량의 단위: g, ㎏,㎎(1000㎎=1g, 1㎏=1000g)

 ② 질량의 측정 기구 : 윗접시 저울, 양팔 저울

2) 무게: 지구가 물체를 끌어 당기는 힘에 의해 물체를 들 때 힘이 드는데 이를 무게라하며, 무게는 곧 중력에 의한 것이므로 무게와 중력은 같다.( 무게 = 중력) 따라서, 중력이 다르면 무게도 달라지므로 장소에 따라 그 값이 변한다. 무게는 질량에 비례한다.

 ① 무게의 단위: ㎏중, g중, N(뉴우턴;힘의 단위)- 1㎏중이란 질량 1㎏ 물체를 지구가 끌어당기는 중력의 크기로 이 물체를 들려면 이 중력의 힘이 필요하다. 힘으로 환산하면 약 9.8N이 된다.

 ② 무게의 측정 단위: 용수철 저울, 앉은뱅이 용수철 저울

3) 윗접시 저울의 사용법

 ① 고체의 질량 측정

   * 물체의 질량을 잴 때; 수평이 되는 곳에 놓고, 0점 조정을 한 후, 왼쪽접시에 물체를 놓고 오른 쪽 접시에 분동을 올려놓는다.

   * 일정량의 약품을 잴 때; 양쪽 접시에 약포지를 놓고 0점 조정을 한 후, 원하는 질량만큼의 분동을 왼쪽 접시에 놓고 바늘이 0점이 될 때까지 오른쪽 접시에 약품을 조금씩 올려 놓는다.

 ② 액체의 질량 측정 : 비커나 삼각 플라스크에 넣어서 질량을 잰 후, 비커나 삼각 플라스크의 질량을 빼면 액체만의 질량이 된다.

<3> 밀도

1) 밀도: 물질의 단위 부피(1㎤,1㎥)당 질량- 어느 것이 더 무거운가의 척도가 됨

2) 밀도를 구하는 식: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다

밀도(g/㎤)= 질량(g)/부피(㎤)

질량= 밀도×부피, 부피=질량/밀도

3) 밀도의 단위: g/㎤, ㎏/㎥

4) 밀도는 물질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가지므로 물질의 특성이 된다.

5) 여러 가지 모양의 밀도 측정

 ① 모양이 규칙적인 물질의 밀도 측정: 윗접시 저울로 질량을 측정하고, 부피를 계산한 다음 밀로를 구한다.

 ② 모양이 불규칙적인 물질의 밀도 측정: 먼저 질량을 측정한 후 메스실린더도 부피를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

 ③ 액체의 밀도 계산: 비이커에 넣어 질량을 측정 후, 메스실린더에서 부피를 측정하여 계산

 ④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 고체의 밀도: 압력과 온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단위 g/㎤)

물질

코르크마개

파라핀

얼음(0℃)

고무마개

알루미늄

구리

백금

밀도

0.25

0.9

0.92

1.34

2.7

7.9

8.9

19.3

21.4

*밀도가 가장 큰 고체- 오스뮴;22.5 g/, 이리듐;22.5 g/

* 액체의 밀도: 압력의영향은 거의 받지 않으나 온도의 영향은 받는다(단위 g/㎤)

물질

에테르

에탄올

메탄올

석유

글리세롤

사염화탄소

진한황산

수은

밀도

0.7

0.79

0.79

0.8

1.0

1.27

1.60

1.83

13.6

* 기체의 밀도:온도와 압력에 따라 기체의 부피가 많이 변하므로 밀도를 나타낼 때는 온도와 압력을 반드시 명시해야 함.(15℃,1기압,단위 g/㎤)

물질

수소

헬륨

메탄

질소

일산화탄소

공기

산소

이산화탄소

프로판

밀도

0.00009

0.00019

0.00068

0.0012

0.0012

0.00125

0.0014

0.0018

0.0018

http://home.cein.or.kr/%7Ebyongeun/1-3chem.htm#1-2

밀도 부피 질량 공식 - mildo bupi jillyang gongsig
이 문서는 물리학의 개념에 관한 것입니다. 미분기하학의 개념에 대해서는 밀도 다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밀도
Density
밀도 부피 질량 공식 - mildo bupi jillyang gongsig

각기 다른 밀도의 다양한 비혼화성 색의 액체가 담긴 눈금실린더

기호

ρ, D
SI 단위kg/m3
크기 성질 여부아니오
세기 성질 여부
보존 여부아니오

다른 상태량에서의
유도식

차원

밀도 (密度, Density, 기호 - 그리스어: ρ)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이다. 부피가 일정할 때, 한 물체의 밀도가 클수록 그 물체의 질량은 크다. 한 물체의 평균 밀도는 그 전체 질량을 그 전체 부피로 나눈 것과 같다. 더 조밀한 물체(철과 같은)는 같은 질량의 덜 조밀한 물질(물과 같은)보다 부피가 적을 것이다.

밀도의 SI단위는 킬로그램 매 세제곱미터 (kg/m3)

여기서

ρ는 물체의 밀도 (킬로그램 매 세제곱미터)m는 물체의 전체 질량 (킬로그램)V는 물체의 전체 부피 (세제곱미터)

밀도 단위[편집]

밀도의 SI 단위는 다음과 같다:

밀도의 변화[편집]

보통 밀도는 압력이나 온도가 바뀜에 따라 바뀐다. 압력이 증가하면 무조건 물질의 밀도가 증가한다. 온도가 증가하면 보통 밀도가 낮아지지만, 어느 정도 예외가 존재한다. 이를테면 물의 밀도는 녹는점 0 °C에서 4 °C 사이에서 증가하며, 비슷한 모습이 낮은 온도의 규소에서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고체 > 액체 > 기체 순으로 밀도가 크다. 그러나 물은 액체 > 고체 > 기체 순으로 밀도가 크다.[1]

일반적으로 고체 상태의 물질은 분자들이 매우 빽빽하게 모여 있는 상태이므로 밀도가 크다. 액체 상태의 물질은 고체 상태에 비해 분자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좀 더 큰 부피를 차지하고, 고체보다 작은 밀도를 갖는다. 기체 상태의 물질은 분자간의 거리가 매우 멀어 같은 수의 분자에 대해 차지하는 부피가 고체나 액체에 비해 훨씬 크다. 그래서 밀도가 매우 작은 편이다.

액체와 고체의 밀도에 대한 압력과 온도의 영향은 크지 않다. 액체나 고체의 일반적인 압축률은 10−6 바−1 (1 바=0.1 MPa)이며, 일반적인 열 팽창은 10−5 K−1이다.

대조적으로, 기체의 밀도는 압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보일의 법칙은 이상 기체의 밀도가 다음에 따라 주어진다고 말한다.

여기서 은 일반 기체 상수, 는 압력, 은 질량, 그리고 는 절대 온도이다.

이는 300 K와 1 바의 밀도가, 압력이 2 바로 증가되거나 온도가 150 K로 낮아짐에 따라 두 배가 된다는 것을 뜻한다.

물의 밀도[편집]

온도밀도[2] (1 atm)
°C°Fkg/m³ D(kg/L)
0.0 32.0 999.8425 0.9998425
4.0 39.2 999.9750 0.9999750
15.0 59.0 999.1026 0.9991026
20.0 68.0 998.2071 0.9982071
25.0 77.0 997.0479 0.9970479
37.0 98.6 993.3316 0.9933316
50.0 122.0 988.0400 0.9880400
100.0 212.0 958.3665 0.9583665

물은 0 °C~4 °C에서 육각형 구조를 일부 유지하므로, 온도가 올라가면 수소 결합의 일부가 끊어져 빈 공간을 채우기 때문에 부피가 감소하므로 밀도는 증가한다. 4 °C 이상에서는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 육각형 구조가 거의 파괴되고 부피가 증가하므로 밀도는 감소한다. 얼음은 수소 결합에 의해 빈 공간이 많은 육각형 구조를 가지고 따라서 물보다 부피가 크다. 그러나 밀도는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온도와 활동성이 감소하므로 얼음이 녹아 물이 될 때에는 수소 결합의 일부가 끊어져 빈 공간을 채우므로 부피가 감소한다.[1]

대기의 밀도[편집]

T (°C)ρ (kg/m³, 1 atm)
–10 1.342
–5 1.316
0 1.293
5 1.269
10 1.247
15 1.225
20 1.204
25 1.184
30 1.164

액체와 고체의 분자 부피[편집]

밀도 부피 질량 공식 - mildo bupi jillyang gongsig

참조[편집]

  1. ↑ 가 나 김봉래 외 2 (2006년 7월 1일). 《완자 화학 Ⅰ(1권)》 초판. 비유와상징. 13쪽.
  2. Density of water, as reported by Daniel Harris in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4th ed., p. 36,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1995.

서적[편집]

  • Fundamentals of Aerodynamics Second Edition, McGraw-Hill, John D. Anderson, Jr.
  • Fundamentals of Fluid Mechanics Wiley, B.R. Munson, D.F. Young & T.H. Okishi
  •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Fourth Edition, Wiley, SI Version, R.W. Fox & A.T. McDonald
  • Thermodynamics: An Engineering Approach Second Edition,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 Y.A. Cengel & M.A. Boles

같이 보기[편집]

  • 에너지 밀도
  • 표준 온도 압력
  •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