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선물거래 이해 - koin seonmulgeolae ihae

코인 선물거래 이해 - koin seonmulgeolae ihae

오늘은 여러분들께 선물 거래에 관한 이야기를 좀 해드려 보려고 합니다.
선물거래, 선물시장... 많이 들어보셨죠?
하지만 개념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몇자 적어보려고 합니다.

돌아오는 새벽 1시가 선물거래 마감 시간입니다.
자, 그럼 이런 선물거래의 개념이 무엇이고,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알아보도록 하죠. 출바~알!

선물 거래를 간단한 예를 들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선물거래의 간단한 개념은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거래 하기로 약속을 하고 가격을 예측하여 거래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에서 용만이 스티커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용만이 스티커의 가격은 현재 100원입니다.

①A라는 학생이 한달뒤에 이 100원짜리 스티커 100장을 사기로 다른 친구들과 약속을 합니다.

②B라는 학생이 한달뒤에 이 100원짜리 스티커 100장을 팔기로 다른 친구들과 약속을 합니다.

한달 만기가 다가오자 A는 반 학생들에게 돌아다니며 조금 비싼 가격을 주고라도 스티커를 사 모읍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가격이 오르게 되겠죠.

이렇게해서 스티커의 가격이 200원이 된다면, A는 약속했던 대로 100원에 스티커 100장을 사서 굉장한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모습을 보고 있던 B는 굉장히 화가 납니다. 왜냐하면 자기는 한달후에 스티커를 100원에 100장을 팔기로 했으니까요. 200원짜리를 100원에 팔게되면 얼마나 속이 쓰릴까요?

이 모습을 가만히 지켜볼 수 없는 B학생은 자신이 원래 가지고 있는 스티커를 원래 가격보다 싸게싸게 처분하여 가격을 낮춰갑니다. 이렇게 하여 스티커 가격이 50원이 되면, 자신은 100원에 100장을 2배 가격으로 팔 수 있게 되기 때문이죠.

위에서 ①처럼 특정 시점에 사고자 하는 경우가 롱, ②처럼 팔고자 하는 경우가 숏이라고 합니다.

즉, 선물 만기가 다가올수록 롱의 입장인 사람들은 비트코인의 가격이 오르기를 원하여 점점 가격이 오르도록 조절하고, 숏의 입장인 사람들은 가격을 낮추기위해 노력하며 두 세력이 대립관계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대립관계가 끝나고 A학생이 이익을 봤다면 A는 산 100장의 딱지를 팔려고 하겠죠. B학생이 이익을 봤다면 이제 더이상 딱지가 없기 때문에 사 모으려고 할 것이구요.

이 과정이 선물 시장에서 벌어지는 상황입니다.

위 과정을 토대로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우선 선도계약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선도계약이란 위의 예시와 같이 매도자와 매수자가 특정시점에 특정한 가격으로 특정한 물건을 사고 팔기로 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이러한 선도 계약을 표준화 하여 시장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계약을 계속해서 이행해 과는 과정을 선물이라고 합니다.
또한 이러한 선물거래가 이루어 지도록 해 주는 시장이 선물 시장이 되는 것이구요.

반대로 우리가 일반 거래소에서 사고 파는 행위를 하는 것은 현물거래라고 하며, 이러한 일반 거래가 이루어 지는 시장을 현물 시장이라고 합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선물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큰 시장이 CBOE(시카고 옵션 거래소)와 CME(시카고 상품 거래소) 두군데가 있습니다.

구분

CBOE

CME

주간사

CBOE Global Markets Inc

CME Group Inc

상장일

2012.12.10

2012.12.17

약호

XBT

BTC

1계약 가치

1비트코인

5비트코인

결제

US 달러

US 달러

기준가격

매일 16:00 (E.T) 경매가

4개 거래소(Bitstamp, Kraken, GDAX, itBit) 평균가

거래시간

정상거래:
월~금 09:30~16:15(E.T)
연장거래:
일 18:00~월 09:30(E.T)
월~금 16:30~다음날 09:30(E.T)

일~금 18:00~다음날 17:00(E.T)

증거금비율

44%

35%

가격제한폭/거래정지

전일종가대비10%이상 등락시
2분정지
전일종가대비20%이상 등락시
5분정지

7%, 13%, 20% 등락시
거래정지
1일최대변동폭 20%

코인 선물거래 이해 - koin seonmulgeolae ihae

코인 선물거래 이해 - koin seonmulgeolae ihae

위의 설명에 선도계약에 대한 말씀을 드렸는데요. 이러한 선도계약을 이행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면 만기일의 상품 가격이 굉장히 중요하게 됩니다. 위 예시에서는 A와 B학생만을 이야기했지만, 이러한 거래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롱과 숏의 세력들끼리 상반된 관계를 보여 만기일이 다가올 수록 가격 변동이 매우 큰 것입니다.

이러한 선물거래에는 증거금이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예를들면 비트코인이 1000만원이라고 한다면 계좌에 최소한 500만원은 있어야 선물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기서 500만원이 바로 증거금입니다. 선물거래에서는 이와같은 증거금이 있어야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즉 500만원은 자기 돈, 나머지 500만원은 레버리지를 이용한 거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레버리지를 이용한다는 것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부분때문에 선물거래를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레버리지의 또 다른 예로는 주택담보대출 같은 것이 있습니다. 또한 내 집을 다른사람들에게 임대해주고 받는 보증금도 하나의 레버리지라고 보실 수 있는데요.
사실 투자자들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레버리지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이야기로 새 버렸네요 ^^;;)
.
.
.
.
.
.
.
.

많은 사람들이 선물시장이 들어오고 나서 가격 변동이 심해지고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원망합니다.

사실 개인들이 코인 거래를 할 때에는 오르고 내리는 것이 상당히 정직한 편이었습니다. 호재가 있을 때에는 잘 오르고, 악재가 생기면 떨어지는 것이 대체로 명확했었죠.

그러나 선물거래가 시작되면서 가격변동이 예측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만큼 돈 많은 고래들과 기관들이 들어왔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이러한 불확실한 가격변동성과 하락추세를 단순히 선물시장과만 결부 시키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봅니다. 

사실 가치가 없는 것은 선물거래라는 것이 적용될 수가 없습니다. 가치가 있기때문에 선물거래가 성립되는 것입니다.

선물시장의 또다른 중요한 경제적 기능중 하나는 가격 변동을 원하지 않는 헤저(hedger)로부터 가격 변동 위험을 감수하면서 보다 높은 이익을 추구하려는 투기자로의 이전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현재의 선물 가격이 미래 현물가격에 대한 예시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현재 시점에서 실수요자에 해당하는 거래자들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미래 가격변동의 불확실성을 어느정도 제거함으로써 현물 시장의 수요 공급에 영향을 미쳐 현물 가격의 변동을 안정화 시키는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의 하락세는 조만간 다시 회복세로 돌아설 것이고, 좋은 날이 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