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격관계대명사 be동사 형용사 - jugyeoggwangyedaemyeongsa bedongsa hyeong-yongsa

여기서 대명사 It을 지우면, 뒤 문장에서 주어가 사라집니다. 뒤 문장이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형태가 되지요. 그러면 It 자리에 주격 관계대명사가 들어옵니다. 남아있는 명사(선행사)인 a box가 사물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ich/that을 씁니다. 

이제 관계대명사로 바뀐 문장을 볼까요? 

She gave me a box which was made of stone. 

which was made of stone은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was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a box가 사물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ich나 that을 씁니다.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a box를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ich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be made of ...로 만들어지다

→ a box which was made of stone

      상자/             돌로 만들어진        

관계대명사 마디 안에 있는 동사는 선행사와 수, 시제, 태가 일치합니다.

선행사 a box가 단수형이기 때문에 동사 was를 씁니다.  

→ a box which was made of stone

주격 관계대명사는 be 동사와 함께 생략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과거분사의 마디가 나옵니다. 

→ a box made of stone

지금처럼 과거분사가 전치사구(of stone)를 데리고 나오면 명사의 뒤에서 명사를 수식합니다.

→ a box made of stone

      상자/ 돌로 만들어진

2. We want a room which overlooks the sea. (우리는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방을 원한다.)

which overlooks the sea는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overlooks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a room을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ich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overlook (장소·건물이 아래에) ...이 내려다보이다

→ a room which overlooks the sea

           방/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관계대명사 마디 안에 있는 동사는 선행사와 수, 시제, 태가 일치합니다.

선행사 a room이 단수형이기 때문에 동사 overlook에 s가 붙습니다.   

→ a room which overlooks the sea

3. There are five characteristics which tie them together. (그들을 하나로 묶는 다섯 가지 특징이 있다.)

which tie them together는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tie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five characteristics를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ich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characteristics 특성, 특징 tie 묶다, 동여매다

→ five characteristics which tie them together

             다섯 가지 특징/               그들을 하나로 묶는

관계대명사 마디 안에 있는 동사는 선행사와 수, 시제, 태가 일치합니다.

선행사 five characteristics가 복수형이기 때문에 동사 tie를 씁니다.   

→ five characteristics which tie them together

다른 예를 볼까요?

● the genes that make insulin (인슐린을 생성하는 유전자)

that make insulin은 주격 관계대명사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make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the genes가 복수형이기 때문에 동사 make를 씁니다. * gene 유전자 insulin 인슐린 (호르몬)

● information that is old and outdated (오래되고 구식인 정보)

that is old and outdated는 주격 관계대명사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is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information이 단수형이기 때문에 동사 is를 씁니다. * information 정보 outdated 구식의

● the restaurants that serve the same food (같은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들)

that serve the same food는 주격 관계대명사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serve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the restaurants가 복수형이기 때문에 동사 serve를 씁니다. * restaurant 식당 serve 제공하다

● the book which gave me a turn of thinking (나에게 사고의 전환점을 제시한 책)

which gave me a turn of thinking은 주격 관계대명사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gave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마디는 선행사 the book을 수식합니다. * turn 방향 전환

● the chemicals that can damage healthy cells (건강한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화학물질)

that can damage healthy cells는 주격 관계대명사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can damage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마디는 선행사 the chemicals를 수식합니다. * chemical 화학물질 damage ...을 손상시키다

● personal biases that influence how we see the world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편견들)

that influence 이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influence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biases가 복수형이기 때문에 동사 influence를 씁니다. * personal 개인적인 bias 편견 influence ...에 영향을 미치다

● a tall straight tree that grows to a height of 100 to 150 feet (100에서 150피트 높이로 자라는 크고 곧은 나무)

that grows to a height 이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grows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tree가 단수형이기 때문에 동사 grow에 s가 붙습니다. * straight 곧은 grow 자라다 height 높이

안녕하세요. 김희진 님!

저희 중학영문법 3800제 동영상 강의와 함께 학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해주신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분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간혹 문법 책 중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형용사에서 또한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이 가능하다고 설명하는 책이 있습니다.

이것 자체는 사실입니다.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뒤에 분사가 올 때 뿐만 아니라, 형용사가 올 때도 가능합니다.

예문으로는, He was born on an island (which is) close to Incheon.이 있습니다.

다만, 형용사가 나올 때 주격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는 분사에 비해서 많지 않습니다.

영어에서 생략을 한다는 것은 원래의 형태를 되살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형용사가 나오면, 분사에 비하여 원래의 문장구조를 떠올리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3800제에서 제시해드린대로, 분사가 나올 때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를 생략이 가능하다고 알고 계시되,

형용사가 나올 때도 생략이 가능하다는 것을 참고정도로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김희진 님이 궁금해하신 부분이 위의 설명으로 다소 해소되길 바랍니다.

또한 위와 관련된 다른 의문점이나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글을 남겨주세요.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관계 대명사 >>

(1) 주격 관계 대명사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몇 개는 관계 대명사에 대해서 얘기해 볼까 합니다.

 

중학생이든, 고등학생이든, 토익 공부 하는 대학생이든,

관계 대명사이름만 들어도 인상 찌푸려지고 머리가 아파오죠?

우리 말의 60 퍼센트 정도가 한자어이다 보니 수학이건 영어 문법이건

용어들은 어쩔 수 없이 한자말로 된 것이 많다 보니 누구든 거부감이 들죠.


자, 그렇다면 우선 '관계 대명사' 라는 이름부터 좀 파헤져 봅~시다!

얘를 좀 전기 분해 해서요.

'관계'  :  쉽게 말해서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합친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명사'  :  이건 어느 나라 언어이든 다 있죠?

             앞에 언급된 명사를 다시 반복해서 말 하지 않고

             대신에 그 명사를 표시 할 수 있는 단어가 바로 '대명사' 이죠.

            여기서 우리는 뭘 유추 할 수 있느냐........

            아까 위 '관계'에서 보듯이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라고 했죠?

            즉, 그 두 문장에 '같은 명사' 가 중복되어 들어 가 있다는 것이죠.

아니, 쉽게 설명하라고 했더니 뭐 이리 더 복잡하노?........ㅠㅠ

노여움을 거두어 주시고 다음 예문을 봐 주옵소서.


ex )  I like my pet dog, Sam.  :  나는 반려견 쌤이 좋아

      Sam is smart and very faithful to me. : 쌤은 똑똑하고 나에게 매우 충실해

주격관계대명사 be동사 형용사 - jugyeoggwangyedaemyeongsa bedongsa hyeong-yongsa


여기서 중복되는 단어가 pet dot, Sam 이죠?

우선 우리말 두 문장을 하나로 묶어 보면요 ;

   =====>>  나는 똑똑하고 내게 매우 충실한 반려견 샘이 좋아.

이렇게 되죠?

그럼 영어도 마찬가지로 하나로 묶어 볼 수 있지요.

  =====>>  I like my pet dog, Sam, (           ) is smart and very faithful to me.

자, 두 문장을 하나로 엮으려고 하는데 (   ) 가 고민이 되는군요....

우리 말에서 하나로 묶은 경우 '똑똑하고 내게 매우 충실한.....' 이렇게

'반려견 샘' 을 꾸며 주는 부분이 생기게 되었는데요.

영어는 우리 말처럼 '관형격 어미 - 은, 는, ㄴ - ' 등이 없으니 대략 난감이죠.

그래서~~!!!!!!!!!  이 때 두 문장을 이어 주면서 겹치는 명사를 대신 해 주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해 주는 것이 바로 '관계 대명사' 입니다.


럼 위 문장에서는 (      ) 에는 무엇을 넣을 수 있느냐!

관계 대명사의 종류는 아래와 같죠?

which  :  선행사 (앞에 나오는 명사) 가 사물이나 동물일 때

who :  선행가가 사람일 때

that  :   선행사가 사람, 동물, 사물, 무엇이든 다 사용 가능

         (주의 :  선행사가 사람+동물, 사람+사물 일 경우는 무조건 'that'을 써야 합니다.)

따라서 위 문장은.....

 I like my pet dog, Sam, ( which  /  that ) is smart and very faithful to me.

요렇게 둘 중에 하나를 쓰면 되는 것이지요.


그러면 왜 '주격 관계 대명사' 라고 하는 거죠?

그렇죠!!  이 관계 대명사가 '주어' 자리에 있기 때문입니다.

??????????

주어 자리는 또 뭡니까?  하시는 분들이 간~혹 계시는데요.

위 (   ) 자리 바로 다음에 '동사' 가 나오면 그 앞의 자리 즉,

(   ) 자리는 '주어' 자리이지요.  왜? 영어는 무조건 '주어 + 동사' 로

어순이 진행이 되니까요.


그럼 여러분들이 아래 두 문제를 '관계 대명사' 로 연결 해 보세요.

답은 저~~~ 밑에 있습니다.


Q-1)   The boy is talkative and sensitive.  :   그 소년은 수다스럽고 예민하다.

      Nobody in my class likes the boy.  :  우리 반의 누구도 그 소년을 좋아하지 않는다.

주격관계대명사 be동사 형용사 - jugyeoggwangyedaemyeongsa bedongsa hyeong-yongsa

   ====>>

Q-2)  Tom and his dog walk around every evening. :  톰과 그의 개는 매일 저녁 산책을 한다 .

       They are always kind to neighbors.  :  그들은 항상 이웃들에게 친절하다

주격관계대명사 be동사 형용사 - jugyeoggwangyedaemyeongsa bedongsa hyeong-yongsa

   =====>>

'주격 관계 대명사'를 언급하며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생략' 부분입니다.

즉, 기껏 두 문장을 연결해 준 '관계 대명사' 가 다음의 경우 휴게실로 가서

쉴 수 있다는 것이죠. 문장에선 싹~다 빠지고 말이죠.


그건 바로  :     '주격 관계 대명사' + be 동사    

요거 일때만 주격 관계 대명사 는 생략 됩니다.

주의 할 것은, 관계 대명사만 생략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이 경우는

'be 동사' 까지 셋트로 다 생략이 되야 합니다. 예문을 보시죠 ~!!


ex)  I don't know the strange man who is wandering around here.

     :  난 이 근처에서 지금 배회하고 있는 그 낯선 사람을 모른다.

주격관계대명사 be동사 형용사 - jugyeoggwangyedaemyeongsa bedongsa hyeong-yongsa


    여기에서 'who is' 가 바로 '주격 관계 대명사 + be 동사' 이지요?

    생략을 하고 다시 문장을 정리하면.......

    I don't know the strange man wandering around here.

   이렇게 됩니다. 근데 이거 왜 이런 짓(?)을 하는 거죠?  라고

  질문들 하는 학생들이 많더군요.

  이 설명을 들으시면 아! 그래서 반드시 'be 동사' 인 경우만 그렇구나!

라는 것을 아실겁니다.

man 이라고 하는 명사 뒤에 남은 것이 wandering 즉, '현재 분사' 형태이지요?

우리가 '현재분사', '과거 분사' 하는데 이 '분사' 라고 하는 것의 역할은

'형용사' 처럼 쓰입니다. 따라서 분사가 명사를 꾸며 주는 것이죠.

그러다 보니 위 처럼 ' ~ man wandering around ~ ' 라고 했을 때

man 뒤의 wandering 이 '떠도는, 배회하는' 이렇게 되면서 직접 앞의

man 을 수식하는 형용사처럼 쓰여서, 굳이 'who is' 라고 하는 부분이 없어도

이해가 되는 문장이기 때문에 생략을 하게 된 것입니다.


예문 하나만 더 보실게요.

ex)  He swept all the garbage spread along the road due to yesterday's heavy rain.

    :  그는 어제 폭우로 길을 따라 퍼져 있는 쓰레기를 모두 쓸었다.

여기서 garbage  뒤에 'spread' 라는 것이 '펼치다' 라는 동사의 과거 분사이죠.

즉, '펴진' 이라는 '수동'의 의미로 앞의 명사 garbage 를 꾸며 주는 것이란 걸

다들 알 수가 있지요. 굳이 '주*관*대 + be 동사' 가 없어도 말이죠.

원래는..........

  He swept all the garbage which (that) was spread along the road ~~~~~~.

이었는데 which 와 was 를 생략해도 spread 라는 과거 분사가 앞의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라는 것을 다 알게 해 주므로 생략이 된 것입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다음 시간엔 '목적격 관계 대명사' 에 대해서 얘기 해 보겠습니다 ~~~


< 문제 답 >

Q-1)   Nobody in my class likes the boy who is talkative and sensitive.

Q-2 )  Tom and his dog that are always kind to neighbors walk around every evening.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빡쌤의 행복 교실

저작자표시

'영어 정복 나라 > 영문법 완전 격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유격 관계대명사  (0)2020.08.09목적격 관계대명사  (0)2020.08.08to 부정사 용법 --- 그 외  (0)2020.08.04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0)2020.08.03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0)20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