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 jugyeog gwangyedaemyeongsa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안녕하세요. 이세연 님!

저희 중학영문법 3800제 동영상 강의와 함께 학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해주신 관계대명사 that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p.332 PSS1 관계대명사 표를 참고하세요.

선행사가 사람일 때 

주격 who, 목적격 who 또는 whom, 소유격 whose로 관계대명사를 씁니다.

선행사가 사물 또는 동물일 때 

주격 which, 목적격 which, 소유격 whose로 관계대명사를 씁니다.

선행사가 사람 또는 사물 또는 동물일 때 

주격 that, 목적격 that으로 관계대명사를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행사가 사람일 때 주격 관계대명사로 who 또는 that을 씁니다.

선행사가 사물일 때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which 또는 that을 씁니다.

그리고 관계대명사 that을 써야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p.336 PSS1-3의 2번 설명 참고하세요.

정확히 어떤 문제를 보시고 that절에 대한 질문을 하신 것인지 짐작이 어려우니, 

중간•기말고사대비문제 1번을 예로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that은 여러 가지 품사가 있으나,

여기서는 명사절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의 쓰임만 구분해보겠습니다.

명사절 접속사 that 

- 완전한 절(문장 성분을 모두 갖춘 문장)을 이끌어 ‘~라는 것’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 명사절인만큼 명사처럼 주어, 보어, 목적어 자리에 쓰입니다

- 목적어 자리에 쓰인 명사절 that절의 접속사 that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완전한 절을 이끌어 앞에 나온 특정 명사와 동격을 이루는 절로도 쓰입니다. 여기서는 설명을 자제하겠습니다.) 

(명사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p.360 ch25 PSS7 명사절을 이끄는 that을 참고하세요.)

관계대명사 that

- 주격 또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쓰입니다.

- 불완전한 절(주어나 목적어가 빠진 문장)을 이끌어 ‘~한, ~하는’이라는 뜻으로 that 앞에 있는 선행사(명사)를 수식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은 생략할 수 있고,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주격 관계대명사 뒤에 be동사가 있고 그 뒤에 분사가 올 때 「주격관계대명사 that+be동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의 생략은 p.338 PSS 1-5를 참고하세요.)

문제를 통해 명사절 접속사 that(+완전한 절)과 관계대명사 that(+불완전한 절)을 구분해보겠습니다.

다음 중 밑줄 친 단어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르면?

O① I ate all the cake that Lily made for her friend.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생략 가능)

    나는 Lily가 그녀의 친구를 위해 만든 그 케이크를 모두 먹어버렸다.

: 선행사 all the cake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을 쓴 문장입니다. 선행사가 사물이지만 all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관계대명사 that을 쓴 문장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② I can’t see that small print even with my glasses on. 지시형용사 that(이유없이 생략 불가능)

  나는 내 안경을 쓰고도 저 작은 활자[글자]를 볼 수 없다.

: 명사 print를 수식하는 지시형용사 that입니다.

③ I think (that) that is the biggest turtle (that) I’ve ever seen. 지시대명사 that(이유없이 생략 불가능)

   나는 저것이 내가 여태 본 것 중 가장 큰 거북이라고 생각한다.

: 동사 think의 목적어 자리에 완전한 절(주어 that, 동사 is, 주격 보어 the biggest turtle, 수식어구 I’ve ever seen)이 왔습니다. 목적어 자리에 완전한 절이 있는데 접속사가 없다는 것은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설명에서 목적어 자리에 쓰인 명사절 접속사 that은 생략가능하다고 하였습니다. 동사 think와 지시대명사 that 사이에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또한, 명사 the biggest turtle 뒤에 불완전한 절(동사 see의 목적어가 없음)이 있습니다. 이 불완전한 절은 앞의 명사를 뒤에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turtle과 I’ve 사이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생략되어 있습니다.(선행사가 형용사의 최상급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관계대명사로 that만 씁니다)

④ Jenny is the first student that received an award. 주격 관계대명사 that(생략 불가능)

   Jenny는 상을 받은 첫 번째 학생이다.

: 선행사 the first student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에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을 쓴 문장입니다. 선행사가 사람이지만 서수(the first)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관계대명사 that을 쓴 문장입니다. 주격 관계대명사는 단독으로 생략할 수 있습니다. 뒤에 오는 be동사와 함께 「주격관계대명사 that+be동사」로만 생략할 수 있습니다.

O⑤ My mom thinks that I’ve gained weight. 목적어 자리에 쓰인 명사절 접속사 that(생략 가능)

    우리 엄마는 내가 살이 쪘다고[몸무게가 늘었다고] 생각하신다.

: 동사 think의 목적어 자리에 완전한 절(주어 I, 동사 have gained, 목적어 weight)을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쓰인 문장입니다. 목적어 자리에 쓰인 명사절 접속사 that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that이 완전한 절을 이끌면 명사절 접속사이고, that이 불완전한 절을 이끌면 관계대명사입니다.

명사절은 명사와 붙어 다니지 않지만(동격절과 간접목적어 자리에 쓰인 명사절 제외), 관계대명사절은 앞에 명사(선행사)와 붙어다닙니다.

이세연 님이 궁금해하신 부분이 위의 설명으로 다소 해소되길 바랍니다.

또한 위와 관련된 다른 의문점이나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글을 남겨주세요.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