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격 관계대명사 생략 - soyugyeog gwangyedaemyeongsa saenglyag

소유격 관계대명사 생략 - soyugyeog gwangyedaemyeongsa saenglyag

안녕하세요.

여기는 영문법전문 플랫폼 김석곤영어룸입니다.

오늘은

관계대명사를 심도있게 알아보겠습니다.

그중 주격/목적격/소유격 관계대명사의 탄생과정을요....

그리고 what,that,whose, of which에 대해서도....

<<오늘 공부할 내용>>

1. 관계대명사 탄생과정

2. 주격관계대명사

3. 소유격관계대명사

4. 목저격관계대명사

김석곤영어룸

■관계대명사 탄생과정

-관계대명사는 2문장을 하나로 만들기 위해 태어났다

-2개문장을 연결해야 한다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그 연결고리는 명사이다

-그 명사의 종류는 3가지가 있다

사람, 사물, 사람+사물

-그 2개 명사가 앞문장과 뒷문장에 나와야한다

-뒷문장에 나온 명사는 주어, 목적어, 소유격 역할을 한다.

-뒷 문장의 명사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변형시킨다

▶앞명사가 사람이고 뒷명사가 주격이면 who/that,

소유격이면 whose, 목적격이면 whom/that으로 바꾼다

▶앞명사가 사물이고 뒷명사가 주격이면 which/that,

소유격이면 of which/whose, 목적격이면 which/that으로 바꾼다

▶앞명사가 사람+사물이면 뒷명사가 주격이면 that,

소유격은 없으며, 목저격은 that으로 바꾼다

■주격관계대명사 that what 생략

위의 관계대명사가 탄생하는 과정을 알아봤으니

이제는 예문으로 상세히 알아보자

I saw a man + He was handsome

나는 어떤 남자를 만났다 + 그남자는 잘생겼다

위 두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바꾸기 위해서관계대명사가 필요하다.

앞명사는 a man이고 사람이다.

그 앞명사가 뒤에서 he라는 주격으로 쓰였다

그러므로 뒤의 he를 who나 that으로 바꿀수 있다

그럼

I saw a man who was handsome

이라는 문장이 되고 who was handsome이 a man을 수식한다

해석: 나는 잘생긴 어떤 남자를 만났다.

이때 위의 who를 우리는 "주격관계대명사"라고 한다

또한 주격+be동사는 생략이 가능하다.

I saw a book + The book was interesting

앞명사는 a book인 사물이고

그 앞명사가 뒤에서 주어로 쓰였다

그래서 뒷명사는 관계대명사 which나 that으로 바꾼다.

그럼

I saw a book which was interesting

which was interesting이 a book을 수식한다

해석: 나는 재미있는 책을 봤다

이때 우리는 which를 "주격관계대명사"라고 한다

위에서 예를 들었던 who나 which대신 that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주격관계사+be동사는 생략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나의 공식이 나온다

명사 + 주격관계대명사 + 동사

■소유격관계대명사 of which whose

두개 문장을 하나로 만들기 위한 2번째 공부해야할 과정은

뒷명사가 앞 명사의 소유격형태이다.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I saw my friend + His bag was very heavy

앞명사는 my friend인 사람이다.

뒷 명사는 my friend의 소유격인 his이다.

그러면 뒤의 his를 소유격관계대명사 whose로 바꾼다

그럼

I saw my friend whose bag was very heavy

해석: 나는 무거운가방을 메고 있는 내친구를 보았다

This is the desk + The leg of the desk is strong

이것을 책상이다 + 책상의 다리는 튼튼하다

앞명사가 사물이다.

뒷명사는 of뒤에 목적격으로 쓰였다.

그래서

This is the desk + the leg of which is strong이 된다.

of which는 앞명사 the desk뒤에 간다

This is the desk of which the leg is strong

the leg의 정관서 the를 지운다. of which가 소유격이기에 정관사를 나열할수 없다

그럼

This is the desk of which leg is strong

of which대신 whose를 써도 된다

This is the desk whose leg is strong

해석: 이 책상은 다리가 강한 책상이다.

여기서 공식이 하나 나온다

명사 +소유격관계대명사 + 주어 동사(완전한문장)

■목적격관계대명사 that what 생략

이제 마지막 목적격관계사를 알아볼것이다.

앞문장의 명사가 뒤에서 목적격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I saw a man + She loved a man

앞명사는 a man이고 뒤에서 loved의 목적어로 쓰였다

그래서

I saw a man + She loved whom(who)

사람의 목적격관계사 whom으로 바꿔준다.

요즘은 who도 목적격으로 사용된다.

관계대명사를 앞명사 뒤에 위치시킨다.

I saw a man whom she loved

해석: 나는 그녀가 사랑하는 남자를 보았다

이때 loved의 목적어가 나오지 않는사실이중요하다.

뒷 명사 a man이 whom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공식이 하나 더 나온다

명사 + 목적격관계대명사 + 주어 동사(불완전문장)

이제 사물의 명사인 예를 보자

This is the desk + I moved the desk on the floor

이것은 책상이다 + 나는 책상을 마루위로 옮겼다

앞명사는 the desk라는 사물이다.

뒷에서 moved의 목적어로 쓰였다

그래서 사물의 목적격관계사 which나 that으로 바꾼다

This is the desk + I moved which on the floor

관계사를 앞명사 뒤로 옮기면

This is the desk which I moved on the floor

해석: 이것은 내가 마루위로 옮겼던 책상이다.

여기서 moved뒤에 목적어는 나오면 안된다.

왜냐하면, which가 되어서 앞으로 갔기 때문이다.

하나의 중요한 공식이 나온다

명사+목적관계사+ 주어 동사 (불완전문장)

위의 예문에서 목적격관계대명사는 생략할수 있다

I saw a man (whom) she loved

This is the desk (which) I moved on the floor

즉, 목적격관계대명사는 생략할수 있다

※아래는 위 내용에대한 설명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