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부사 단어 모음 - hangug-eo busa dan-eo mo-eum

부사

'맛(가장) 좋은 훈민정음 雲張國語'의 일부분입니다.

* 부사 (副詞 어찌씨)

  (1) 부사의 뜻 : 주로 용언을 꾸밈으로써 그 의미를 더 분명히 해 주는 단어들의

                         묶음

  (2) 부사의 성격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절대 활용할 수 없다.

   ② 보조사를 취할 수 있다.

   <예>․그 모습이 자꾸 떠오른다.   ․토끼가 빨리 뛰어간다.

   ③ 주로 용언을 꾸며 주지만 그밖에도 여러 구실을 한다.

   ④ 문장에서는 주로 부사어이지만, 문장을 연결(접속 부사)하는 경우에는

       독립어 구실을 한다. (자립 형태소)

  (3) 부사의 여러 구실

   ① 용언을 꾸민다.

   <예>․노래를 한다.       (동사 수식)      ․꽃이 매우 예쁘다.     (형용사 수식)

   ② 관형사․부사를 꾸민다.

   <예>․몹시 책이다.       (관형사 수식)   ․매우빨리 뛴다.       (부사 수식)

   ③ 체언을 꾸민다.

   <예>․조금 에 보자.       (명사 수식)     ․바로 가 시인이다.   (대명사 수식)

         ․겨우 하나를 만들었다. (수사 수식)

   ④ 구․ 절을 꾸민다.

   <예>․오로지 선생님 덕분으로 잘 살고 있습니다. (부사구 수식)

   ⑤ 문장 전체를 꾸민다. (문장 부사)

   <예>․제발, 일이 성사되도록 도와주십시오. (문장 수식)

♣운장비법♣ 관형사․부사는 사람이 입는 .

  (4) 부사의 갈래

   1) 성분 부사 : 문장의 한 성분을 꾸며 주는 부사

    ① 성상 부사 : 상태나 정도를 나타내며, ‘어떻게’로 수식

    ② 지시 부사 : 장소․시간․문장 속의 사실을 가리키는 부사

    ③ 부정 부사 : 용언의 내용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수식

   2) 문장 부사 : 문장 전체를 꾸며 주는 부사

    ① 양태 부사 : 말하는 이의 태도와 관련된 부사

    ② 접속 부사 : 문장이나 단어를 이어주는 부사

성분부사

성상 부사

방긋방긋 웃는다. 매우 차갑다. 바로 뒤. 한다.

지시 부사

이리 오너라. 오늘내일 한다. 그리 말고 내 말을 들어라.

부정 부사

 아직 갔습니다. 한 문제도 풀었습니다.

문장부사

양태 부사

설마 거짓말이야 하겠니?(의혹) 과연 훌륭한 선생님이셔.(단정)

접속 부사

지구는 돈다. 그러나 아무도 안 믿었다. 또는 소설을 읽겠다.

♣운장비법♣ ‘오늘․내일’의 품사 : 조사와 결합하면 명사가 되고, 조사와 결합

                                  하지 않고 뒷말을 수식하면 부사가 된다.

             <예> “오늘 가?” “내일 와.” ⇒ 오늘, 내일 : 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