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사고 등급 - hukusima wonjeonsago deung-geub

“유출 오염수 바다로 흘러갔을수도”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는 21일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방사능 오염수 유출에 대한 사고등급을 ‘일탈’에 해당하는 1등급에서 ‘중대한 이상 현상’에 해당하는 3등급으로 2단계 올렸다. 국제 원자력사고 평가척도(INES)는 총 8개 등급(0∼7)으로 분류된다.

3등급은 1997년 이바라키(茨城) 현 도카이무라(東海村) 핵연료 재처리 시설에서 화재와 폭발 사고가 났을 당시와 같은 수준이다. 오염수 처리 문제가 원전 사고 수습의 ‘폭탄’이 되고 있다는 의미다.

도쿄전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상 탱크에서 새어나온 오염수가 바다로 흘러들어 갔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원전 용지에서 바다로 연결되는 도랑 측면에서 이날 오후 시간당 6mSv(밀리시버트·방사선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의 높은 방사선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일반인의 연간 피폭한도는 1mSv다. 일본 정부는 7일에도 매일 300t의 오염된 지하수가 바다로 유출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방사능 오염수가 지상에서 지하에서 속수무책으로 바다로 흘러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도쿄전력은 전날인 20일 1000t 용량의 지상탱크에서 L당 8000만 Bq(베크렐·방사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의 방사성 물질이 함유된 오염수 약 300t이 주변으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오염수 300t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의 양을 단순 계산하면 약 24조 Bq에 달한다. 일본 후생노동성이 정한 어패류의 방사성 물질 기준치는 kg당 100Bq이다.

문제는 사고 원인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쿄전력은 탱크의 이음 부위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지만 다른 탱크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오염수 저장탱크 1060기 가운데 누수가 생긴 것과 같은 종류는 약 350개다.

현재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는 건물 내부와 지하 수조, 지상 탱크를 합해 약 43만 t에 달한다. 여기에 지하수 유입으로 매일 400t의 오염수가 늘고 있다.

지상 탱크의 총용량은 41만2000t. 이미 80%가 넘는 34만 t이 채워져 한계상황에 임박했다. 지하 수조에 채웠던 2만4000t의 오염수도 4월 유출 사고가 확인됨에 따라 지상 탱크로 옮겨 담아야 한다. 도쿄전력은 지상 탱크 용량을 2015년까지 70만 t, 2016년까지 80만 t으로 늘릴 계획이지만 이번 탱크 누수 사고로 전체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직접 개입을 선언했지만 별다른 대책이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도쿄=배극인 특파원

  • 좋아요 이미지좋아요
  • 슬퍼요 이미지슬퍼요
  • 화나요 이미지화나요

Copyright ⓒ 동아일보 & donga.com

목차

  • 1 개요
  • 2 국제 원자력사건 등급 체계
  • 3 국제 원자력사건 등급 평가기준
  • 4 국제적 사건의 분류와 주요 사건 현황

개요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또는 안전해석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건의 분류와는 달리 다양한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한 사건을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일관된 기준 아래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국제적인 원자력 사건분류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경제협력개발기구 산하의 원자력청(OECD/NEA)은 1990년 ‘국제 원자력 및 방사선사건 등급(International Nuclear and Radiological Event Scale; INES)’ 체계를 도입하여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한 사건들에 대한 등급평가를 수행하고 있다[1].

현재 사용하고 있는 평가지표는 2008년 체계로서 원자력발전소, 연구용원자로, 핵주기시설, 사용후핵연료시설, 방사성폐기물시설 등 원자력시설을 포함하여 방사성동위원소의 사용과 방사성물질의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건(도난 또는 분실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1]. 이 지표는 현재 70개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93년부터 적용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국제 원자력사건 등급 체계와 등급 평가기준, 그리고 국제적 사건의 분류와 주요 사건 현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국제 원자력사건 등급 체계

INES는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한 사건을 안전 중요도에 따라 1등급에서 7등급까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1∼3등급 사건을 고장(Incident), 4등급 이상의 사건을 사고(Accident)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안전에 중요하지 않은 사건에 대해서는 등급이하(0등급; Below Scale)라 하여 경미한 이탈(Deviation)로 분류하고 있으며, 안전과 무관한 사건은 등급외 사건(Out of Scale)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제 원자력사건 등급 평가기준

INES 체계에서의 원자력사건 등급 평가기준은 아래의 3가지의 주요한 안전성 기여인자에 의해 분류하고 있다.

- 사건으로 인한 소외영향, - 사건으로 인한 소내영향 - 심층방어 기능저하

소외영향은 사건의 발생으로 인하여 원자력시설 외부로 방출되는 방사성물질의 양에 따라 3등급에서 7등급까지로 분류한다.

i) 방사성물질의 방출량을 토대로 명백하게 보건상의 영향을 미치며 영향지역이 넓고 영향을 미치는 시간이 장기화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 7등급 ii) 일반 대중에 대한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전반적인 방어조치가 필요할 경우 6등급 iii) 보건상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개나 대피 등 국지적인 방어조치가 필요할 경우 5등급

소내영향은 사건에 의한 시설의 손상정도와 방사성물질에 의한 발전소 내부의 오염과 종사자의 피폭정도에 따라 2등급에서 5등급까지로 분류한다.

i) 발전소 내에 방사성물질의 누출에 의한 피해가 있을 경우 5등급 또는 4등급ii) 오염을 유발하는 경우 3등급 또는 2등급,iii) 작업자 피폭정도에 따라 2등급 내지 4등급iv) 일반대중의 피폭이 있을 경우 최고피폭을 받은 사람의 피폭선량에 따라 3등급과 4등급

심층방어 기능저하의 경우는 방사성물질의 소내・외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물리적 방벽의 손상과 다단계 방호기능의 상실정도에 따라 0등급에서 3등급까지로 분류한다.

사고(Accident)와 고장(Incident)의 분류기준은 일반적으로 사건의 발생이 결과적으로 종사자와 주변 주민에게 방사선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이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건을 고장으로 분류하고 있다.


소외영향, 소내영향과 심층방어 기능저하의 3가지 인자에 의한 사건의 등급평가 결과를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할 수 있다.

  • 등급 상향 조정의 경우
- 사건이 공통원인고장에 의하여 발생- 사건의 수습이 부적절한 절차에 의하여 수행- 안전문화 결여 안전문화 결여의 대표적인 사례
- 정당한 사유없이 운전제한조건이나 절차서의 위반
- 품질보증활동의 부적절, 인적오류의 누적, 동일원인에 의한 반복적인 사건발생 등
  • 등급 하향 조정의 경우
- 사업자가 시정조치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가진 경우- 안전계통의 이용불능 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

국제적 사건의 분류와 주요 사건 현황

INES 체계에 따라 등급평가를 시작한 1992년부터 2011년 8월까지 각 국가에서 국제원자력기구에 보고한 사건은 총 599건이다.

등급별로 분류하면 아래와 같으며 체르노빌 원전사고(1986년) 등 일부 사건은 1992년 이전에 발생한 사건으로 이 통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 7등급 : 1건
  • 3등급 : 16건,
  • 2등급 : 137건,
  • 1등급 : 186건,
  • 0등급 : 223건
  • 등급외 : 36건

다음 표에서는 INES 평가 기준을 요약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발생한 주요 사건을 예시하고 있다.

주요한 사건으로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미국의 스리마일 아일랜드(TMI) 원전사고(5등급), 구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7등급), 그리고 최근에 발생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7등급)가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 INES 평가기준 및 주요 사건 사례[2]


참고문헌

  1. ↑ 1.0 1.1 1.2 IAEA, “INES: The International Nuclear and Radiological Event Scale - User’s Manual”, 2008 Edition, 2008.
  2. 김효정, “원자력 안전해석”, 정기획출판사. pp.842, 2016. 6


이 자료의 최초 작성 : 김 효정(GINIS) , 등록 : 박 찬오(SNEPC)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