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한국교회, 군사독재시대 민주화운동에 ‘큰 역할’

<기독교사상 5월> ‘특집-5•16 이후 한국 사회와 기독교’

  • 기자명 유진의 기자
  • 입력 2018.04.27 10:51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한국의 민주화는 투쟁에 의해 쟁취된 ‘투쟁의 산물’이다. 그러한 가운데 한국교회는 군사독재 시대에 민주화운동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가운데 <기독교사상 5월호>에서는 ‘특집-5•16 이후 한국 사회와 기독교’를 마련해, 박정희 정권 당시의 문제점을 꼬집고, 당시 정권에 저항했던 한국교회의 인물을 분석했다.

이번 특집에는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정일준 교수를 비롯해 서울장신대 정병준 교수, 한반도통일역사문화연구소 최태육 사무국장이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박정희 군사정권에 저항한 한국교회 인물 분석 △초창기(1965-70)의 국가조찬기도회 등의 제목으로 참여했다.

정일준 교수는 “김대중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와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를 거치면서 한국의 보수 세력은 미래에 대한 전망 제시가 아닌 박정희 시대의 향수를 불러내는 퇴행적 방식으로 정권을 탈환했다”면서 “박정희 정권 시기는 잊힌 과거이다. 박정희-박근혜 정권을 제대로 평가하고 반성해야 정권실패, 나아가 국가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또 “박정희 정권이 경제 발전에 부분적인 공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 그렇지만 한국 경제의 거시적인 흐름에서 보자면 경제 반전 초기 단계에서 일정한 역할만 했을 뿐이다. 그런데 박정희 개발 독재의 성과가 보수세력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 과대평가되었을 뿐 아니라 신화로까지 격상되었다”면서 “산업화 세력에게 박정희 시대는 배고픔을 벗어나 산업혁명의 시대로 진입한 ‘성공시대’이다. 반면에 민주화 세력에게 그의 시대는 군사독재로 점철된 ‘야만시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박정희 시기의 경제성장을 특권화 시킬 일이 아니라 그러한 고도성장의 이면도 살펴봐야 한다”며 “재벌 중심의 경제체제와 지역불균형 성장, 노동 배제적인 성장전략은 온전히 박정희의 부정적 유산”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정 교수는 “박근혜 정권의 몰락으로 박정희 정권이 온전히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질 무대가 마련됐다. 이번에야 말로 박정희의 강시가 출몰하지 못하도록 관에 단단히 못질을 해야한다”며 “공은 공으로, 과는 과로 평가하자. 박정희 시대의 밝은 면은 밝게, 어두운 면은 어두운채로 드러내자. 이제야말로 독재와 정경유착, 그리고 남북대결을 넘어서야 한다”고 피력했다.

덧붙여 “촛불집회로 정권을 교체하고 적폐청산에 나선 지금, 박정희 정권의 공과와 명암은 한낱 ‘옛 이야기’일 뿐”이라며 “이제 남은 것은 ‘우리 안의 박정희’를 몰아내는 일”이라고 못박았다.

정병준 교수는 박정희 정권에 저항한 한국 개신교회 인물들을 거론하면서, “유신 치하 민주화 운동을 이끈 한국 개신교회의 운동을 흔히 명망가중심의 운동이었다고 평가한다”면서 “그러나 그 명망가들의 선도적 투쟁, 투옥과 고문을 이겨내는 신앙과 요기 이면에는 많은 이름 없는 목회자들과 교인들의 기도와 지원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최태육 사무국장은 “박정희 정권 당시 대통령 조찬기도회를 통로삼아 국가권력과 기독교계는 서로 주고 받는 것이 있었다. 박정희 정권은 자신의 정책과 통치 이념을 지지할 수 있는 기독교 세력을 얻을 수 있었고, 기독교계는 권력의 인정 속에서 부흥과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조건들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 사무국장은 “대통령조찬기도를 통해 국가권력의 통치 이념과 교회의 부흥성장이라는 신념이 밀착되었고, 이러한 정교 밀착은 국가권력의 안정과 기독교계의 종교적 기득권 보장이라는 상호 이익을 가다져 줬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호에는 특집 외에도 충청남도 선유문안 자료소개와, 평양에서의 3•1운동과 김선두 목사, 아시아태평양YMCA연맹의 역사와 현황 등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16 이후 한국 사회와 기독교’

  • 기자명 정찬양 기자
  • 입력 2018.05.02 14:21
  • 댓글 0

<기독교사상 5월호> 특집으로 5.16 조명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 <기독교사상 5월호> 대한기독교서회 펴냄

<기독교사상 5월호>(통권 713호)는 ‘5.16 이후 한국 사회와 기독교’ 주제로 특집을 준비했다.

세 명의 필자를 통해 박정희 시대를 조명한 특집에서 정일준 교수(고려대 사회학과)는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에서 박정희 정권의 유산을 극복하는 자세를 방법론적으로 논하며 특히 개발독재론이 지닌 문제점을 지적했다. 정 교수는 박정희 정권이 추구한 경제개발로 인해 불가피하게 민주주의를 다소 억압할 수밖에 없었다는 개발독재론이 가진 문제점을 지적한다. 정병준 교수(서울장신대)는 ‘박정희 군사정권에 저항한 한국교회 인물 분석’에서 박정희의 군사정권에 저항한 기독교계의 인문들을 분석하며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적 사건과 이에 참여한 민주화 선배들의 이름들을 정리했다.

최태육 박사(한반도통일역사문화연구소 사무국장)는 국가조찬기도회가 박정희 통치 초반에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출발했는지 설명하면서 그 성격을 규명했다. 최 교수는 국가조찬기도회가 지난 50년간 국가권력과 기독교가 만나는 장을 제공했던 것을 밝히면서 특히 1회(1968년), 2회(1969년) 당시 이환신 목사와 김준곤 목사의 설교에서 박정희 정권의 통치 이념과 개발 정책에 동조하고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던 것을 지적, 기도회는 대통령이 원하는 개발과 발전이라는 통치 이념과 교회가 열망하는 성장과 부흥이 결합하는 역할을 했으며, 그런 모습으로 최근까지 이어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복음인in 들소리> 후원 회원이 되어주십시오.
매달 액수를 정해서(1만원~) 후원해주시면 더욱 좋습니다.

국민은행 010-9656-3375 -(예금주 복음인)

저작권자 © 복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반논문 : "박정희가 만든 집": 초기 복지정치의 유산 = Articles : "The House that Park Built": The Legacy of Welfare Politics during Park Jung Hee`s Era

저자 : 한준성 ( Jun Sung Han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학술지명 : 東亞 硏究(The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East Asian Studies Sogang University)

권호사항 : Vol.31 No.1 [2012]

발행연도 : 2012년

작성언어 : Korean

주제어 : 복지 ,복지정치 ,박정희 ,반공주의 ,국가 코포라티즘 ,anticommunism ,Park Jung Hee ,state corporatism ,welfare ,welfare politics

KDC : 910.04

등재정보 : KCI등재

자료형태 : 학술저널

수록면 : 329-367(39쪽)

제공처 :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KCI,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KISS

서지정보 열기

  • 국문 초록 (Abstract)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 영어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
    • 네덜란드어
    • 독일어
    • 러시아어
    • 말레이시아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스페인어
    • 아랍어
    • 이탈리아어
    • 인도네시아
    • 태국어
    • 터키어
    • 포루투갈어
    • 프랑스어
    • 힌디어

    번역
    • 번역결과

      한글번역보기는 자동번역 서비스로 원문과 일부 불일치할 수 있으며, 번역물과 관련하여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 영어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
      • 네덜란드어
      • 독일어
      • 러시아어
      • 말레이시아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스페인어
      • 아랍어
      • 이탈리아어
      • 인도네시아
      • 태국어
      • 터키어
      • 포루투갈어
      • 프랑스어
      • 힌디어

      한국어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
      • 네덜란드어
      • 독일어
      • 러시아어
      • 말레이시아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스페인어
      • 아랍어
      • 이탈리아어
      • 인도네시아
      • 태국어
      • 터키어
      • 포루투갈어
      • 프랑스어
      • 힌디어

      번역
      • 번역결과

        한글번역보기는 자동번역 서비스로 원문과 일부 불일치할 수 있으며, 번역물과 관련하여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