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나노 튜브 제조 방법

탄소나노튜브(CNT)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말 그대로 탄소원자로 구성된 매우 작고 얇은 튜브처럼 생긴 물질입니다. 탄소나노튜브는 그래핀이라고 불리는 2차원 탄소시트를 돌돌 말아서 만든 것과 같은 형상이며 튜브모양의 관을 구성하는 탄소원자는 6각형의 격자가 특징입니다. 탄소나노튜브는 매우 작아서, 하나의 탄소나노튜브의 직경은 1 nm(나노미터)에 불과합니다.

탄소 나노 튜브 제조 방법
2차원 탄소시트에서 탄소나노튜브가 만들어지는 과정

탄소나노튜브는 이러한 작고 특이한 구조로 인해 다른 재료에서 볼 수 없는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및 열적 특성을 보여줍니다. 과학계에서는 탄소나노튜브의 흥미로운 특성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 뿐 아니라 복합소재 분야의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 많은 상용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의 종류

탄소나노튜브는 튜브를 이루는 탄소의 구조에 따라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SWCNT),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DWCNT)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MWCNT)로 분류됩니다. 이런 튜브의 구조에 따라 특성도 서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탄소 나노 튜브 제조 방법
탄소나노튜브의 종류와 구조

탄소나노튜브를 만드는 방법

과학자들은 탄소나노튜브가 촛불의 연소과정 중 자연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대량생산과는 거리가 먼 방법이기에 양산으로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튜브는 화학기상증착법, 아크 방전법, 레이저 증착법, 기상성장법, 화염합성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생산되고 있습니다.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에서, 탄소나노튜브는 700℃로 가열된 기판 위의 금속 나노입자 또는 이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로부터 성장됩니다. 아세틸렌이나 메탄, 에틸렌 같은 탄화수소 가스를 질소와 함께 반응챔버로 주입시키면 탄화수소가 기판 위에서 분해되며 탄소나노튜브가 만들어 집니다. 화학기상증착법은 현재 탄소나노튜브의 상업적 생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아크 방전법(Arc discharge method)은 탄소나노튜브의 인공적인 합성에 가장 먼저 사용된 방법입니다. 양 끝에 위치한 2개의 탄소막대에 아크를 발생시겨 탄소나노튜브를 형성시킵니다. 공정 자체는 간단하지만 순도가 낮기 낮기 때문에 순수한 탄소나노튜브의 회수를 위해서 추가적인 정제가 필요합니다.

레이저 증착법(Laser ablition)은 불활성 가스를 채운 고온의 상태에서 강력한 레이져 펄스를 이용해 흑연을 기화시켜 탄소나노튜그를 형성시킵니다. 이 역시 증기 상태에서 합성이 되기 때문에 아크방전법과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정제가 필요합니다.

기상성장법(Vapor growth method)은 레이져 증착법을 개선시킨 방법입니다. 레이져 증착법과의 가장 큰 차이는, 반응물들이 촉매와 함께 기판없이 바로 합성이 된다는 것입니다. 반응기 내부에서 탄화수소가 탄소로 분해된 후 확산에 의해 촉매내로 흡수되며 CNT가 만들어집니다.

또 다른 탄소나노튜브의 합성법으로는, 화염합성법(Flame synthesis method)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탄소 공급원인 탄화수소의 화염을 이용해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반응은 발열성으로 탄화수소의 화염에서 열로 방출되는 에너지는 흡열반응이 탄소나노튜브의 증착 반응에 사용됩니다. 조건만 잘 맞추면 대량생산이 용이해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공정입니다.

탄소나노튜브의 특성

탄소나노튜브는 그 구조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높은 열 및 전기 전도성

- 우수한 광학적 특성 (광흡수성, 형광)

- 유연성

- 높은 인장강도

- 가벼운 무게

- 높은 전자 방출성

- 높은 강성 향상성

탄소나노튜브의 응용분야

위와 같은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탄소나노튜브는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활, 서핑 보드, 자전거 부품과 같은 스포츠 장비

- 현미경의 전자 방출원

-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 전도성 기판, 반도체회로와 같은 전자 재료

- 캐패시터나 배터리 등 에너지 저장장치

- 기계적, 열적 특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필러)

- 유전자 진단, 암 치료 및 약물전달용 의약품

탄소나노튜브의 유해성

탄소나노튜브의 독특하며 우수한 성질 때문에 여러 분야의 산업현장에 탄소나노튜브의 적용을 시도해왔지만 유해성으로 인해 일상제품에는 사용하기 어려웠습니다. 특히 인체에 1차적으로 노출되는 호흡기 계통에 악영향을 끼쳐 폐렴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습니다. 이는 탄소나노튜브 자체가 굉장히 작고 가벼운 나노물질이라 공기 중으로 부유하면 체내로 흡입되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다만 여러 연구를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개질하면 그 본래의 성질을 잃지 않고도 독성을 낮출 수 있음이 밝혀졌기 때문에 머지않아 일상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그래핀(Graphene)에 대하여

그래핀(Graphene)이란 무엇인가? 그래핀(Graphene)을 간단히 요약하면 '단일층의 흑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벌집모양인 육각형의 고리를 가진 탄소의 층이 겹겹이 쌓여 구성된 물질이 바로 흑연(그

luvlyday.tistory.com

탄소 나노 튜브 제조 방법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연산자기능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

  • 통합검색
  • 지식인프라탐색
    • 분류탐색
    • 지식인프라맵
  • 활용서비스
    • 시나리오 활용서비스
    • 이용자 활용서비스
  • ScienceON LAB
  • MyON
  • 베타서비스
    • ScienceON Trend
    • EDISON 유발 성과(논문)
    • 논문타임라인
    • AI 논문요약
    • 논문질의응답
    • 기계학습데이터 활용맵
    • 특허 표준산업분류

X

국가RnD연구보고서의 원문 비공개 사유

1.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국가
    핵심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2.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핵심전략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3. 법 제21조제2항에 따라 보안과제로 분류된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4. 연구개발기관의 장이 해당 연구개발성과에 대하여 지식재산권을 취득
    하려는 경우
5. 외국의 정부ㆍ기관ㆍ단체와의 협정ㆍ조약ㆍ양해각서 등에 따라 해당
    연구개발기관의 장이 비공개를 요청하는 경우
6.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2에 따라 중소
    기업이 연구개발성과를 임치한 경우
7. 그 밖에 영업비밀 보호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2022.1.1 시행)에 의해 추후 공개로 전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과제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비공개 기한(3년)이 만료된 보고서를 공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비공개 처리된 보고서의
열람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상세정보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와 그 제조방법

등록일자 2008-07-10
초록 ○ 탄소나노튜브(CNT)는 종래부터 아크 방전법, 레이저 증발법, 열 CVD법, 플라스마 CVD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전기전자 분야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재료로서 응용되어 왔다. CNT의 우수한 물성을 이용한 실용화 사례로는 집적회로와 같은 마이크로소자, 컴퓨터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의 전기 연결체(connector), 나노 안테나, 현미경의 탐침 등을 들 수 있다.

○ 종래의 방법에 의해 합성된 CNT는 길이나 크기 등이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엉킨 상태의 뭉치로 생성되기 때문에 일정 수의 CNT를 분리하여 규칙적으로 배열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CNT를 다양한 분야로 응용 확대하기 위해서 특히, 나노기술 분야에서 응용하기 위해서는 CNT의 형태에 대한 고정밀도가 요구되며, 다수의 CNT를 사용할 경우는 CNT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 일본공개특허 2007-314387호에서는 액체, 특히 물중에서 응집되지 않고 잘 분산되는 취급이 용이한 CNT 복합재료와 CNT에 포함되는 자성금속의 함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잔류자화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CNT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시하였다. CNT 복합재료 제조공정은 나노구멍 구조체 형성공정, CNT 생성공정, 도금공정 전의 친수화 처리공정, 도금공정, 표면의 탄소제거공정, 금속층 용해공정, 금속층 용해공정 후의 친수화 처리공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는 각 공정에 대해 신규발명으로서 10개항을 청구하고 있다.

○ 향후의 과제로는 CNT의 응용연구와 함께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인체에 대한 CNT의 유독성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 폐에 대한 유독성, 피부염증, 생체에의 흡착과 분산, 배설 등에 관한 연구가 집약된 생체적합성의 입증이 요구된다. CNT의 인체 면역 시스템과의 생체적합성을 확보함으로써 약물전달 시스템, 암 치료, 바이러스 검출, 바이오센서 등으로 용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RES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