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h of empires 유닛 무력화 방법

한국민족운동사연구 [Journal of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간행물 정보

  • 자료유형학술지
  • 발행기관한국민족운동사학회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 pISSN1226-9980
  • 간기계간
  • 수록기간1986 ~ 2022
  • 등재여부KCI 등재
  • 주제분류인문학 > 역사학
  • 십진분류KDC 911 DDC 955

96 (10건)

일반논문

1

본 연구는 개항기(高宗 및 純宗 시기) 王室의 恩賜制度에 주목하여 먼저 고종시기의 下賜, 赦免, 賜饌, 恩賜直赴 등 전통적인 은사제의 운용상황을 살피고, 이런 제도가 순종 시기 이후 일제에 의해 이식된 特別恩賜金과 軍隊解散恩賜金, 退官恩賜金 등 새로운 식민지 토대 구축을 위한 은사제도로 변화해가는 모습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大韓帝國 시기 內藏院을 중심으로 거둬진 막대한 宮內府 財源 형성에 비해 新聞社 및 학교 設立下賜金, 殖産興業恩賜金 등 近代化에 투하된 은사금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그런데도 高宗 연간의 恩賜는 恩賜金品, 恩賜直赴, 下賜, 賜饌, 赦免 등으로 王權의 回復과 국가적인 이해관계 분립을 治癒하는 데 활용되었다. 또한 高宗 초기 內帑金 使用處에서도 보듯이 甲午改革 이전에는 大臣慰撫와 百姓救恤이나 災害救濟 등에 많이 下賜되었다. 반면, 大韓帝國 시기에는 王權强化를 위한 都市 및 宮闕 開發에 집중 투하되고 외국인에 대한 宴會나 賜饌 그리고 恩賜金 같은 恩賜 事例가 늘었다. 하지만 1908년 고종의 强制退位 이후 統監府가 본격적으로 帝室財産을 정리하면서 왕실을 중심으로 한 은사제도는 위축되었다. 이어서 각종 內政干涉(施政改善事業)이 전개되면서 저항적인 한국인(군인, 공직자 등)을 제거하고자 이른바 退官恩賜金, 軍隊解散恩賜金이 뿌려졌다. 먼저, 軍隊解散恩賜金은 군대해산 과정에서 해산 군인들에게 계급에 따라 황제의 은혜라고 하여 주어진 하사금이었다. 이에 해산된 한국군 3개 대대 중 1개 대대만 받는 둥 마는 둥 하였다. 나머지 2개 대대는 대대장 朴星煥의 自決로 일본군과 격전을 벌였지만 끝내 일본군에 군영을 점령당하고 말았다. 이어, 丁未7條約 이후 施政改善事業이 본격화되자 일제에 저항적인 인사에 대한 조직적인 退出 작업이 전개되었고, 統監府는 대규모 퇴직관료들이 義兵이나 抗日勢力으로 전환하지 못하도록 退官恩賜金制度를 강권하였다. 이에 칙령으로 <退職恩賜金規程>과 <同規定施行規則>이 제정되고 1908년 1월 1일부터 勤續年數에 따라 退官恩賜金이 지급되었다. 이는 저항적 한국인을 퇴직시키거나 혹 퇴직자들 중 저항세력에 가담하는 일을 막는 기능도 있었다. 退官恩賜金을 위해선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는데, 일본정부로부터 借款을 받거나 帝室財産整理事業을 본격화하여 정부 재원을 확충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또한 퇴관하고 남은 친일 관료들에게는 해마다 연말이면 ‘年末恩賜金’이라고 하여 위로금 형식으로 돈이 전해졌다. 이런 정부 잉여금에 기반한 은사금제도를 활용하여 李完用, 趙秉式 등 현직 관료들이 황태자 보호 혹은 시정개선 협력 등을 빙자하여 거액의 정부 은사금을 빼돌렸다. 한편, 합방직전 은밀하게 日王으로부터 恩賜金을 수여받기도 했다. 특기할 것은 1910년 말 임시은사금 하사가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特別恩賜金’이라고 하여 합방으로 해체된 中樞院이나 表勳院 등지의 退職官僚에게 통감부를 경유한 日王恩賜金이 뿌려지고 있었다. 이전의 각종 은사금이 대한제국 정부의 자체재원(國庫剩餘金)으로 조성된 은사금이었다면 이제는 일왕이 직접내린 은사금이 지급되었다. 누구의 은사금이든 항일의지를 봉쇄하려는 의도는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막대한 재원은 대한제국의 경제적 대일 예속을 더욱 공고화하였다. 요컨대, 고종의 강제퇴위(순종 즉위)를 기점으로 帝室財産整理와 함께 전통적인 왕(황제)가 왕권회복과 유교적 질서 유지를 위해 수행된 은사제도는 사실상 끝났다. 이제 통감부는 이른바 시정개선 사업을 빌미로 일본에 협력하는 관료 및 세력과 반대하는 관료 및 그 세력을 양분하고 협력자는 特別恩賜金으로, 반대자는 退官恩賜金을 지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합방직전 대한제국 정부 곳곳에 친일세력이 잠식하는 중요한 물적 토대가 되었고, 막대한 退官恩賜金은 經濟的 對日從屬에도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oyal Gratitude System of the royal family in the opening port era(Go-jong and Sun-jong period) and examine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traditional grants such as pardon, JikBu(直赴) and court banquet. And It is aimed to reveal how it changes into the Royal Gratitude System for building a new colonial foundation, like the royal bounty, military dismissal grants, retirement bounty and so on. Compared to the massive amount of resources which was collected around by Naejangwon, in the time of Korean Empire, the amount of money donated to modernization such as newspapers, schools, and grants was not great. Nevertheless, the annual gratitude of Go-jong was a royal bounty, JikBu(直赴), court banquet or pardon, used to cure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and heal the separation of national interests. Also, as in the case of privy purse in early Go-jong period, it was given much to the ministers' comfort, the rescue of the people, and the rescue of the disaster before the the Gabo Reform of 1894.On the other hand, in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the capital city for the developing palace and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were concentrated, and the number of cases such as banquet, gratitude and gratitude to foreigners increased. However, after the forced abdication of Gojong in 1908, as the administration of the imperial court arranged the imperial property in earnest, the gratitude system centered on the royal family was shrunk. Subsequently, as the various administrative reforms were being implemented, so-called retirement grants and military dismissal bounty were sacked to eliminate the resistive Korean (soldiers, public officials, etc.). First of all, the military dismissal bounty was given to the disarmed soldiers in the process of dissolution of the army in accordance with the rank of the emperor, and this was only the battle of one of the three battalions of the disbanded Korean troops. The two battalions were engaged in fierce battle with the Japanese army in the self-suicide of the patrol captain, Park Sung-hwan, but they were occupied by the Japanese army with splendid Japanese army. Subsequently, when the Goverment Improvement Project becomes full-scale after the Jeong-mi-7treaty(丁未7條約), the organizational exit work of Japan's resistant personnel affairs has been developed and the Residency-General switched to a large-scale retirement bounty system to a garrison and anti-Japanese not strongly forced. With this Imperial order "Regulations on retirement bounty" and "Enforcement regulations for same rules" were enacted and retirement incentive were paid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from January 1, 1908. This is due to retirement of resistant Koreans. There was also a function to prevent it from participating in resisting forces among the retiree. It required a huge amount of funds for "Retirement Royal Bounty", selected a method to expand financial resources by receiving a loa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full-fledging the Imperial property reorganization project. 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year, the pro-Japanese bureaucrats received so-called “year-end royal bounty”. Using the gratitude system based on government surpluses, incumbent officials, including Lee-Wanyong and Jo-Byeongsik, extorted large amounts of government money under the pretext of protection of the crown prince or cooperation in improving the city's capital. On the other hand, he received a 'Special Royal Bounty' from the King of Japan before the annexation. What is remarkable is that at the end of 1910, before the temporary royal bounty begun, Special-Royal-Bounty of Jap's King was being distributed to retired officials from the Jung-Chu-won or Pyo Hoon-won who had been disbanded by the annexation process. If the previous royal bounties were made from the finances of the Imperial Korean government, they were given from King of Japan now. Whatever who gave the gift, it was the intention to contain the anti-Japanese will. And the enormous financial resources further consolidated the economic ties of the Korean Empire. In short, the Royal Gratitude System of the traditional king (the emperor) did for the recovering sovereign powers and the maintenance of Confucian order was virtually over, with King Gojong's forced abdication(with enthronement of Sun-Jong). Now the Residency-General the so-called civic betterment project as an excuse, devide Bureaucrats who oppose bureaucrats and forces cooperating with Japan and their forces. Bureaucrats who cooperate in Japan were given special King's bounty, and bureaucrats who oppose the military were given retirement bounty. As a result, it became an important physical foundation for the pro-Japanese infiltrators to invade around the Imperial Government just before the annexation, and the enormous retirement bounties had an impact on the economic-subordination toward Japan as well.

2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에는 러일전쟁과 관련된 문헌들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이중 육군성대일기와 육군일반사료에는 ‘일로전역’이라는 제목의 문서군이 존재한다. 육군성대일기는 패전 이전 일본 육군성이 직접 생산하거나 묶은 것이, 육군일반사료는 현지 부대의 진중일지나 역사자료 및 지도, 개인이 작성한 보고서나 문건 등이 주류를 이룬다. 육군성대일기 ‘일로전역’ 문서군 중에는 한국과 관련한 자료가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이들 자료는 러일전쟁이 결코 러시아와 일본 양국만의 전쟁이 아니라 한국의 자주권과 생존권이 직결된 것이었다는 사실을 잘 말해주고 있다. 특히 ‘육군성 일로전역’ 문서군 내 군무국 군사과의 『전역업무상보』에는 개전 전후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부터 전쟁 중 활동에 관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었다. 『전역업무상보』는 1905년 12월 육군성이 예하 부서에 전시 활동 사항을 보고토록 지시한 결과물로서 개전 전야부터 종전 직후까지의 군사행정 사항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특히 군무국 군사과의 『전역업무상보』에는 러일전쟁 개전 당신 한반도를 무단으로 침입했던 선견징발대와 임시파견대의 군사 행동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어 눈길을 끈다. 일본은 러일전쟁 종료 이후 ‘공식전사’를 발간하였다. ‘공식전사’는 일본 정부와 군이 공식적으로 생산한 것이지만 내용에 따라 비밀리에 편찬한 것도 있다. 주목할 점은 이들 ‘공식전사’의 내용이 실제 전쟁 상황과 달리 기술되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이렇듯 일본이 과장하거나 축소하고자 했던 전황은 방위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일로전역’ 문서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일로전역’ 문서군은 한국과 관련된 러일전쟁의 실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러일전쟁이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식민 지배를 위한 무력적인 침략과 점령의 과정이었음을 분명히 하는 자료들이다. 앞으로 이들 자료를 통해 ‘한국사적 러일전쟁사’ 서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t The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NIDS; 防衛硏究所) of the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many literatures related to the Russo-Japanese War have been possessed. Among these, in the Rikugunsho Dainikki(陸軍省大日記; the Document Files of the Army Ministry) and in the General Historical Records of the Army, the document group with the title 'The Russo-Japanese War(日露戰役)' exists. Regarding the Rikugunsho Dainikki, the things that had been directly produced or tied up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before losing the war are the main ones. And, regarding the General Historical Records of the Army, the Jinchu Nisshi(陣中日誌) of the military unit of the site, the historical materials, the maps, the written reports written by the individuals, the official papers, etc. are the main ones. ‘The Russo-Japanese War’ Because, in the document group, the not-small number of the materials related to Korea have been contained, it catches the attention. These materials have been attesting well the facts that ‘the Russo-Japanese War’ had not been a war between only the two countries of Russia and Japan at all and, rather, that the independence and the right to survive of Korea are directly related. Especially, in 'The Detailed Work Report of the Military Section of the Military Affairs Bureau(軍務局 軍事課 業務詳報)', within the document group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 Russo-Japanese War, the contents regarding the activities during the war, from th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Japanese military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war, have been recorded specifically. After the end of the Russo-Japanese War, Japan published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公式戰史)'. Although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 is a thing that had been officially produ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military, there are the things that had been compiled secretly according to the contents. A point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s the fact that there exist the cases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 are describ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war situation. In this way, the situation of the war which Japan had intended to exaggerate or hid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ocument group of 'The Russo-Japanese War', which has been possessed by the NIDS. To sum up, in the document group of 'The Russo-Japanese War', the many materials with which the real situation of the Russo-Japanese War related to Korea can be even more specifically understood are included. These are the materials that make it clear that the Russo-Japanese War had been the process of the armed forces invasion and occupation for the colonial rule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t is judged that, in the future, through these materials,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in the Korean history will become possible.

3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대전지역의 화재진압과 재난 방지를 담당하였던 대전소방조의 활동을 살펴보는 것이다. 개항 이후 대전은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고 호남선 철도가 지나가면서 교통 중심지역으로 부상하였다. 철도노무자를 중심으로 일본인거류민이 늘어나고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대전에도 화재예방을 위한 소방조의 활동이 시작되었다. 대전지역의 화재는 1930년대에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것은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면서 시가지가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인 점포와 공장이 집중된 春日町 일정목, 本町 등 일본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중심지역에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소방조의 진압활동도 여기에 집중되었다. 대전소방조의 화재진압 출동인원은 1929년을 기점으로 출동소방수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대전의 일본 거류민들의 기부금으로 구입한 자동차펌프 등 최신 소방장비가 화재현장에 동원되었기 때문이다. 자동차펌프 등 최신장비는 화재현장에 신속 출동하여 높은 수압으로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하였기에 인력절감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아울러서 대전지역 소방활동의 우수성과 재난대처의 인프라가 훌륭하게 구비되어있음을 과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전소방조의 활동은 화재진압 업무 외에도 출초식 및 춘계ㆍ추계소방훈련 동원과, 신사경비 등 공공시설 경비에도 동원되었다. 당시 전국의 소방조들은 3ㆍ1만세운동과 소작쟁의 등 한국인들의 반일운동시위 탄압에 동원되었다. 그러나 대전은 일본인들의 거주비율이 높았던 까닭에 대전소방조가 경찰보조활동에는 적극적으로 동원되지 않았다.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대전소방조는 조선소방협회 지부설립 및 충남연합훈련대회 등 각종소방행사와 소방활동행사를 주최하였다. 아울러서 스즈키 조두는 전국의 각종 조두회의 및 행사에도 참석하여 대전소방조의 이미지 제고에 앞장섰다. 당시 활발한 소방조활동은 화재나 재난으로 부터 지역거주민들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도시 인프라의 가치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충남도청을 공주에서 대전으로 유치하려는 의도를 가진 스즈키 조두 등 대전의 유지들은 소방조를 앞세워 소방장비확충 및 각종 소방조 행사에 적극 참석하였다. 대전소방조의 이같은 노력은 1932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충남도청의 대전 유치를 계기로 대전소방조는 최신 소방장비를 갖추면서 소방조직도 새롭게 정비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activity of the Daejeon Fire Fighting Service which was in charge of fire defense and disaster prevention in Daej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port opening, as Daejeon had Gyeongbuseon Railroad constructed and Honamseon Railway track passed through, it became a transportation hub. The number of Japanese residents, especially, railway laborers increased and a urban area was formed when activity of fire fighting service began. A number of fires broke out in 1930s because Chungnam provincial office was moved to Daejeon and the urban area expanded. They broke out in areas such as Chuniljeong, Iljeongmok and Bonjeong where a number of Japanese stores and factories were located and Japanese people resided, and fire fighting activity focused on the areas. The number of fire fighters who moved out to defense fires tended to decrease from 1929 because advanced fire fighting equipment including pumps for vehicles Japanese residents purchased through funding were used. As the advanced equipment was effective to control fires using high hydraulic pressure, it also made a contribution to saving human power. Therefore, it showed that a fire fighting service system and infrastructures for disaster control were well-organized. The Daejeon Fire Fighting Service was mobilized for service opening ceremonies, seasonal fire fighting activities and security of public facilities in addition to fire defense. At that time, all the fire fighting services nationwide were mobilized to oppress anti-Japanese movements such as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and tenancy disputes. However, it did not seem that the Daejeon Fire Fighting Service was actively mobilized for assistance of the police as the rate of Japanese residents was high in Daejeon. In late 1920s, the Daejeon Fire Fighting Service hosted a variety of fire fighting events and activities including branch establishment of the Joseon Fire Fighting Association and joint exercises in Chungnam. In addition, a chief head Suzuki participated in meetings and events nationwide to improve image of the Daejeon Fire Fighting Service. Its activities protected residents against fires or disasters and helped to improve values of urban infrastructures. Therefore, influential people including Suzuki who intended to move Chungnam provincial office from Gongju to Daejeon actively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the fire fighting service. Such efforts of the Daejeon Fire Fighting Servic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movement of the Chungnam Provincial Office to Daejeon in 1932. Using it as an opportunity, the Dajeon Fire Fighting Service had advanced fire fighting equipment be prepared and its organization reorganized.

4

이 글은 평택지역의 민족운동가인 권택휘(권익수)의 생애와 활동에 대한 글이다. 신문, 정보문서, 신문조서, 판결문, 족보, 발간서적 등을 통해 그의 민족의식의 형성과 민족운동, 구체적으로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과 사회운동, 해방 후의 정치활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권태휘는 1897년 진위군 북면 가곡리 331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신분은 양반이었고, 경제적으로 부유한 편이었다. 키가 작고 피부도 고왔지만, 그의 항일의지는 남과 달리 강하였다. 그는 봉명학교와 경성의전을 다니면서 민족의식과 항일의식을 형성하였다. 특히 그는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추진하고, 경성의전의 선배와 동료들이 3ㆍ1운동을 주도하고 참여하는 것을 목격하거나 인지하고 독립운동에 참여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서울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고, 3월 중순 평택에 가서 평택인에게 평택에서도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라고 권유하였다. 또한 그는 1920년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고, 1921년 태평양회의에 맞추어 열강에 독립을 촉구하고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려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후 그는 정신과 사회의 기풍을 혁신하고 청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혁청단(혁청당)을 조직하고 일종의 문화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데 그는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사상에 입각한 자유주의사회의 건설을 지향하기보다 계급의식과 사회주의사상을 전파와 확산에 의한 사회주의사회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한편 그는 동아일보, 천도교, 기독교의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추진하던 자치운동을 좌절시키고자 사회주의단체 및 비타협적 민족주의세력을 결집하였다. 그리고 1927년부터 1931년까지 신간회를 조직하고 그 세력을 확장하기 위한 활동을 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 후 그는 신조선사를 설립하고 잡지 󰡔신조선󰡕의 속간, 󰡔정다산전서󰡕, 󰡔담헌서󰡕 등의 실학자의 문집을 간행함으로써 조선문화를 수호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그가 운영하던 신조선사는 안재홍과 정인보 등의 조선학운동을 돕는 버팀목이었다. 해방 후 그는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하고 이의 확장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런데 그는 1945년 9월 안재홍과 결별하고 화요회에 연원을 둔 재건파 조선공산당계 인물과 연결을 맺고 인민공화국에 참여하였다. 특히 그는 모스크바 3상회의 후 남한에서 좌우익이 분열할 때 좌익의 연합단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참여하여 본부와 서울시 조직을 확장하고, 각종 집회에 사람을 동원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을 지지하여 임시정부의 수립과 좌우합작에 의한 통일정부의 수립을 위하여 활동하였다.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에 참여하지 않았던 그는 6ㆍ25전쟁 후 북한으로 갔다. 이것은 그가 자유주의체제보다 사회주의체제를 동경한 때문이었다. 1950년대 중반 그는 북한에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대외섭외부장으로 민족통일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남로당 숙청 후 그의 정치적 역할은 점차 약화되었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national movement of Kwon Tae-hwi (Kwon Ik-soo), a nationalist and socialist in Pyeongtaek. I reviewed the formation of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national movement through newspapers, information documents, newspaper reports, court decisions, and publications. Kwon was born in 1897 at 331 Gagok-ri, Buk-myeon, Jinwi-gun. He was Yangban and economically rich. Although he was short, his anti Japan consciousness was strong. He went to Bongmyung School and Gyeongseong Medical School. In there, His national and anti-Japanese consciousness was formed. In particular, he decided to pursue independence movements, when he catched sight of nationalists’s activities in the end of World War I in 1918 and grasped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of his senior members and colleagues. He held protests for Korean emancipation in Seoul. And in mid-March, he went to Pyeongtaek and encouraged Pyeongtaekmen to launch an independence movement in Pyeongtaek. He also collected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20 and urged for independence in accordance with the Pacific Congress in 1921. Unfortunately he was arrested and punished. Afterwards, he organized the Revolutionary Renovation Group (Hyukchungdan), which aimed to reform and clean up the spirit of the human and the problems of society, and launched a kind of cultural movement. He wanted to build a socialistic society based on the idea of class consciousness and socialism rather than liberal society based on individualism and liberalism, In the mid of 1920’s, with socialist groups and the right nationalists he did many activities to thwart the autonomy movement, which was spearheaded by members of Dong-A Ilbo, Chundogyo, and Protestant. And from 1927 until 1931, he organized Shin-gan-hoe and expanded the organization.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he established a new publishing company Shin-Joseon-sa(A Press of New Joseon) and developed a lot of activity to protect Joseon culture by publishing a collection of real scholars such as "New Joseon(Shin-Joseon)," "Jeongdasan Compendiums," and "Damhunseo." In particular, Shin-Joseon-sa was a supporter of the Movement for Josun Culture, including Ahn Jae-hong and Jeong In-bo. After the liberation, he joined in the National Foundation Preparation Committee and to expand it. However, he was broken up with Ahn Jae-hong in September 1945 and joined the People's Republic. In particular, he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c National Front, a coalition of leftists, and expanded the headquart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f it and mobilized people for various rallies when the left and right wing splitted in the South after the The Moscow Conference of Foreign Ministers. He did not participat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South. And in the period of Korean War, he defected to North Korea, In the mid-1950s, he engaged in national reunification activities outside the North as an outside source of the Council for Peaceful Reunification of North Korea. However, his political role has gradually weakened after a purge of the Nam-ro party,

5

1927년 8월 개원 이래 경성양로원은 ‘무의무탁’의 여성노인들을 수용했으며, 1929년 2월 재단법인으로 인가받아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노인복지기관이다. 개원 당시 대한제국기 궁녀(宮女)들을 수용했기 때문에 이후에도 여성노인들만을 대상으로 운영되었다. 경성양로원의 첫째, 전국 유일의 재단법인 양로원이었다. 둘째, 설립시기와 수용인원은 전국에서 중위권이었지만, 시설건물의 시가와 수익재산, 세입ㆍ세출, 시설용지 규모 등은 상위권이었다. 셋째, 설립시기와 시설용지 규모를 제외하면 같은 서울 소재인 경성불교자제회 양로원을 능가했다. 넷째, 해방 이후까지 운영된 유일한 양로원이었다. 다섯째, 이원직 등 불교신자들이 중심이었던 운영진이 오긍선ㆍ윤치호 등 기독교인들로 전환된 독특한 사례이다. 일제는 ‘합병’ 이래 조선사회사업연구회를 조직하여 다양한 사회사업을 전개했으나 실적은 여의치 못했다. 그러자 민간에서 운영하는 사회사업기관에 대한 지원하는 강화했는데, 경성양로원의 설립 과정에서 국유임야를 10년간 무상대부하고, 설립 2년만에 재단법인을 인가한 것은 그같은 이유에서였다. 특히 경성양로원이 설립된 1926년 총독부에서는 5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양로기관의 설치를 계획했지만 무산되었던 터였다. 그리고 해방 이전까지 경성양로원이 유일한 재단법인 양로기관이었다는 점은 노인복지기관의 전반적인 영세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1936년 전국 9개 양로원 전부를 민간에서 운영했고, 그 중 7개를 종교계에서 운영했던 점은 일제강점기 사회사업정책의 한계를 보여준다.

The Gyeongseong Nursing Home was founded in August, 1927 and accepted the female elderly that were “helpless.” Since its approval as a foundation in February, 1929, it has achieved ongoing development and maintained its status as one of representativ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founded during the Japanese rule. It accepted court ladie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Empire and has since targeted only the female elderly. There we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seong Nursing Home: first, it was the only nursing home that is a foundation in the nation; second, it was in the middle tier in terms of establishment time and capacity in the nation, but its place was in the top tier in terms of market price of facility building, revenue property, revenue and expenditure, and size of facility site; third, it exceeded the Gyeongseong Buddhist Jajehoi located in Seoul like it except for the establishment time and size of facility site; fourth, it was the only nursing home that was run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Joseon; and finally, it presents a unique case of a shift in the management from Buddhists including Lee Won-jik to Christians including Oh Geung-seon and Yun Chi-ho. The Japanese Empire organized the Research Society for Social Works in Joseon and carried out a variety of social works after its “annexation of Korea,” but the results were not good. It then reinforced supports for social work organizations run in the private sector. It, for instance, rented state-owned forests and land to the Gyeongseong Nursing Home with a free loan for ten years and approved its status as a foundation two years after its establishmen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lanned a nursing home facility to hold 500 people or more in 1926 when the Gyeongseong Nursing Home was founded, but its plan fell apart. The fact that it was the only nursing home facility as a foundation until the liberation of Joseon demonstrates the overall smallness of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The limitations of social work policies by the Japanese Empire were demonstrated in the fact that all of the nine nursing homes around the nation were managed by the private sector in 1936 with seven of them run by the religious circles.

6

아편과 마약문제는 식민지 해방으로 간단히 단절될 수 있는 사항이 아니었다. 조선의 많은 한인들이 일본 식민지하에서 이미 아편과 마약에 노출되어 있었으며 해방 직후에도 아편과 마약의 그림자는 한국 사회에 여전히 드리워져 있었다. 일본의 조선 강점기의 아편마약 확산에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관련이 깊었던 반면 해방 직후와 1960년대 군사정부 시기의 마약정책은 중국 귀환 동포와의 관련성이 주목된다. 해방 직후 만주ㆍ화북으로부터 많은 한인들이 귀환하였는데 이들 한인 가운데 일부 중국에서 아편마약을 밀매하거나 중독에 걸린 사람들이 있었다. 한편 1960년대 군사정부의 마약정책 수립 과정에서도 해방 이후 만주로부터 귀환한 인물들의 역할이 있었다고 보여진다. 군사정부의 핵심 인사 가운데 ‘만주국’에서 군에 복무했거나 관리를 지낸 ‘만주 인맥’들이 주요 직책에 포진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마약정책 역시 ‘만주국’에서 시행된 정책과 유사한 점들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군사정부 시기까지의 마약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일본 식민지의 유산과 해방 후의 정국혼란, 한국전쟁과 반공주의, 그리고 국가통제라는 측면과 연계하여 연구된 측면이 많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해방 이후 중국으로부터 귀환한 한인들과 관련하여 해방 이후 한국의 마약문제와 마약정책에 주목하였다. 일본의 조선 강점 이후 만주와 화북의 도시로 이주했던 많은 한인들은 아편과 마약 밀매에 관여하였다. 이들 중국 이주 한인들은 낯선 타국에서 정업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었고, 이들 한인은 ‘일본 신민’으로 치외법권의 특혜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밀매 등 부정업의 유혹에 쉽게 빠지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일본 패전 직전까지 화북과 만주에서 아편마약과 관련이 있었던 이주 한인들의 다수가 중국인과 국민정부의 한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송환정책에 따라 본국으로 귀국하게 되었다. 이들의 귀환은 해방 직후 한국 사회에 마약문제라는 사회불안 요소의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960년대 군사정부의 마약정책과 1930년대 ‘만주국’의 마약정책과의 유사성을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사실 시공간적으로 볼 때 남한의 군사정부와 ‘만주국’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을 찾기는 어렵다. 하지만 가상적 또는 주적을 맞대고 있는 ‘만주국’과 남한의 유사한 환경, 1960년대 남한에 수립된 군사정부와 ‘만주 인맥’과의 관련성, 경제개발 계획의 유사성과 노동력 확보에 대한 인식 등을 통해 당시 군사정부의 정책들이 ‘만주국’의 정책들과 흡사한 점들이 많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한 가운데 군사정부의 마약정책에서도 공산간첩의 마약 재원 차단, 경제개발 계획과 연계한 노동력 보호, 계몽과 치료 등에 ‘만주국’ 시대 아편마약 정책의 잔영이 떠오른다고 하겠다. 요컨대 해방 이후 한국 사회에 드리워진 마약문제의 심각성은 일본 식민지배의 영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지역 한인의 귀환과도 관련이 있었다. 해방 직후의 경우는 중국 화북과 만주로부터 귀환한 한인 아편마약 관련 종사자 또는 중독자의 영향이 있었다. 비록 시론적인 측면이 있어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1960년대 군사정부 시기에도 해방 후 만주로부터 귀환한 ‘만주 인맥’의 영향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마약정책에서도 ‘만주국’의 그림자가 일정정도 드리워졌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해방 이후 한국 사회에 잔존했던 유산은 일제 식민지의 유산뿐만 아니라 중국 등 해외 귀환 동포 역시 한국 사회와 한국정부의 정책 수립 초기 단계에 일정 정도 영향을 미쳤다고 하겠다.

The problem of opium and drugs eas not something that can simply be solved by liberation from the colonies. Under the Japanese colony, many Koreans in Joseon were already exposed to opium and drugs. And right after liberation, the shadow of opium and drugs still fell on Korean society. So far, studies on drug problems from liberation to the 1960s of the military government were heavily studied in connection with some specific problems like the aspect of heritage of Japanese colony, political chaos after colonial liberation, Korean War, anti-Communism.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Koreans who returned from China after liberation. We will look at how they are related to drug problems and drug policies. The seriousness of the drug problem hanging on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was not only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also to Koreans returning from China. Right after liberation were the effects of korean drug workers and addicts who returned from Manchuria and Huabei(화북). This paper has an introductory character.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But even during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1960s, we can not help but notice the influence of the 'manchurian network' who returned from Manchuria after liber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shadow of Manchukuo also worked to a certain extent on drug policy. The legacy, which remained in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was having some influence in the early stages of Korean society and the government's policy making. That included not only the legacy of the colonies, but also the compatriots back home.

7

1945년 9월부터 1947년 2월까지 주한미군사령부와 미군정의 수뇌들이 실행한 여러 움직인 가운데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이 교육원조 활동이었다. 정치고문과 남한 각 분야 한인 전문가들이 마련한 교육원조안에는 다수의 학생과 기술자들을 미국에, 미국인 전문가들을 한국에 파견한다는 내용이 들어가 있었다. 교육원조의 1차적인 목적은 일본의 한국 지배로 무너진 교육재건에 있었다. 하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향후 한국을 미국에 우호적인 국가로 만드는데 필요한 친미인사를 양성함에 있었다. 주한미육군사령부와 미군정 수뇌들은 1946년 3월 조선교육사절단을 미국에 파견했다. 사절단원은 고황경, 구영숙, 김훈, 나기호, 문장욱, 장리욱이었다. 이들은 7월말까지 미국 전역에 산재해 있는 교육기관을 방문하고, 다수의 ‘입학허가증’과 장학금을 받아왔다. 사절단이 확보한 장학금으로 학생들을 미국에 파견할 수 없었다. 미 연방정부 1947년도 회계연도에는 관련 예산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미군정은 「미 연방 상, 하원합동 결의안」을 통해서 예산을 확보하고자 했지만, 이 또한 전쟁부와 국무부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한편, 전쟁부도 교육원조안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기존 정책변경을 시도했다. 이는 대통령 트루만의 지시에 따른 것이었다. 전쟁부 민사국은 「미 해외점령지 재건을 위한 행정, 구호 및 민주주의 체제구축을 위한 재교육 지원에 관한 법」을 만들었다. 법안의 목적은 남한 교육원조에 필요한 예산 집행 권한을 대통령에게 위임하는 것에 있었다. 하지만 국무부의 반대로 의회에 제출하지도 못했다. 조선교육사절단이 거둔 성과는 즉각적인 결실을 맺지는 못했지만, 1947년 이후 미군정의 도미유학생 파견 작업에 적지 않은 밑거름이 되었다.

The ruling spirit of the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USAFIK) and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had been placed too much value on Education Aid. Political Advisor and Korean Educationalist was designated Educational Aid Idea from September, 1945 to January, 1946. This Plan had included American techspertise dispatch to Korea and Korean techspertise, students to U.S.A. The firs objective of Educational Aid Idea was reposed collapsed educational rehabilitation. However, ultimate goal was brought pro-America. The brain of USAFIK and USAMGIK has dispatched Korean Education Commission in March, 1946. The Mission consisted of Koh Whang Kyung, Koo Byrons, Kim Hoon Loincoln, Lah Ki Ho, Moon Chang Wook, Chang Lee Wook. They educational institute and U.S. government agency all over the America, derived considerable number ‘university matriculation permission’. Korean students had no dispatched U.S.A. through procurable scholarship. The fiscal year in 1947 of U.S. Government was included funds for Korean students. The Political Advisor of USAFIK and USAMGIK had proposed Congress Resolution regarding United States aims and purpose in Korea. The Secretary of War and Secretary of State was disagreed this Bill. The Department of War, meanwhile, was attempted to change existing policies through President Harry Truman’s demand. The Civil Affairs Division of War Department had drafted An Act Providing for Government, Relief, Rehabilitation, Reorientation and Reeducation in Occupied Areas in Foreign Countries(Enabling Legislation). Its objective was delegated budgeting authority to the president for South Korea’s educational rehabilitation. The effort of Korean Education Commission could not come prompt fruition, but could be a good stepping stone to dispatch Korean students to American since 1947.

8

본고는 제4공화국 시기 유신헌법 제35조에 의해 창설된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박정희 정권은 1970년대 동서간의 냉전체제가 완화되어가는 가운데 ‘통일에 대비한 강력한 통치제제의 구축’을 목적으로 유신헌법을 선포한다. 유신헌법 선포 이후 대통령 선거는 국민에 의한 직선제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에 의한 간선제로 바뀌었으며, 제도적으로 삼권분립의 원칙은 무력화되었고, 대통령 1인 독재체제와 종신 대통령제가 가능해졌다.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은 제4공화국 시기 유일하게 국민의 직선에 의해 선출되었다. 이들은 무보수 명예직으로 회의출석수당과 여비만 지급받았다. 그러나 정부에서는 유명 인사들에게 대의원 출마를 권유하였고, 지역의 유지들은 자신들의 재력을 바탕으로 대의원에 진출하고자 하였다.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에 당선된 자들에게는 통일정책심의권, 헌법개정확정권, 대통령 선임권 및 일부 국회의원 선임권 등의 권한이 주어진다. 통일정책심의권은 통일주체국민회의 설치의 목적인 통일문제에 관한 중요정책을 결정하거나 변경함에 있어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의 심의를 거쳐야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단 한건이라도 의미있는 통일정책은 나오지 않았다. 대통령 선임권 및 일부 국회의원 선임권은 통일주체국민회의가 선거인단의 구실을 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대의원을 통한 선거의 목적은 박정희 정권의 체제 유지였으며, 대의원들은 박정희 대통령을 위한 거수기 집단으로, 대통령의 영구집권을 보장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1972년 12월 15일 초대 대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하지만 대다수의 국민들은 유신의 뜻을 알지 못한 채 투표에 참여하였고, 박정희 정권은 조직적으로 선거에 개입하였다. 대의원들 역시 무관심한 유권자들의 마음을 돌리려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였다. 박정희 정권은 1대 대의원 선거에 대해서 “선거사상 처음 철저한 공영제로 실시되었다”고 주장하였으나, 대의원 선거 역시 이전 선거와 같이 불법과 부정이 만연하였다. 2대 대의원 선거는 1978년 5월 18일 실시되었다. 제2대 대의원 선거의 입후보자들의 열기는 1대 대의원 선거보다 뜨거웠다. 1973년 9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직접선거였기에 젊은 유권자의 참여도 늘어나 1대 선거보다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대의원으로 선출된 자들은 후보자로 등록할 때부터 정치적인 성향이 중요하게 반영되었기 때문에 유신체제나 박정희 후보를 찬양 또는 지지하는 자여야 했다. 대의원들은 4공화국 내에서 새로운 지배권력의 형성을 의미하였으며, 박정희 정부는 이들은 조직화하고자 하였다. 도시에서는 기업인들이 농촌에서는 전직 공무원을 비롯한 새마을 지도자, 협동조합장 등이 당선된 것을 통해 박정희 정권의 의도를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미 많은 수의 대의원들은 제4공화국 이전부터 체제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정국의 안정화를 위해 박정희 정권에서 설치한 여러 단체의 지도자들이었다. 농촌의 대의원들은 각종 조합의 임원으로, 도시의 대의원들은 사업자단체의 임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들은 대의원을 역임하면서, 각종 관변단체, 사회직능단체, 연고집단을 통한 간접적인 사회적 동원에 활용되었다. 그들의 親정부적인 성격은 제1공화국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정부 수립 이후 임명직 및 선출직으로 운영되던 면장, 동장, 이장, 시ㆍ읍ㆍ면의원들을 역임하였던 많은 이들이 대의원에 출마하였고, 당선되었기 때문이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하고, 통일주체국민회의도 제5공화국 헌법에 따라 폐지된다. 그러나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은 제5공화국 대통령선거인단 선거의 선거인으로 참여하였고, 평화통일자문회의의 의원의 자격을 얻었다. 이러한 연관성을 통해 대의원들이 권위주의 정부에 의한 정치ㆍ사회적 동원의 주체로 활동하였으며, 우리 사회 내 보수세력 형성에 영향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position and duties of representatives of the National Conference for Unification, established under Article 35 of the Yushin constitution during the Fourth Republic. Park Jung-Hee regime claimed that the republic had to make an effort to achieve peaceful unification in the atmosphere of relaxation of the cold war, and declared the Yushin constitution in 1972, i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strong government for unification. After the constitution, the presidential election changed from direct system to indirect system – election was done by representatives of the National Conference for Unification. Institutionally, separation of legal,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owers was incapacitated, dictatorship and president-for-life system became possible. Representatives of the National Conference for Unification was directly elected by people in the Fourth republic. They were nonpayment honorary post, and were given only conference pay and travel expenses. However, government recommended important figures to come forward as representative, local leaders went into representatives based on their finance. For those who were elected as representative, they were given the right to deliberate unification policy, right of confirmation of constitution, the right to appoint president and som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right to deliberate unification policy means that in order to decide or change important policy about unification issue, it needed to be under consideration of representatives for it wa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conference. However, no meaningful unification policy was discussed or came out through the National Conference for Unification. The right to appoint president and som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means that representatives of conferences only worked as electoral colleges. The purpose of election through them was maintaining Park Jung-hee regime, and representatives were only to guarantee the permanent seizure of power, as playing role of yes men. Elected candidates as the first and second representatives had to be people who support or praise Park Jung-hee regime for their inclination of politics was reflected importantly when they were registered as candidates. Also, they had to be “highly moral person who has a job”, for that, businessmen were elected in cities, when in rural places, many people – from former government employee to Saemaeul leader and some association leaders – were elected. Their appearance meant formation of new ruling power within the Fourth republic, and the regime tried to organized them. However, those who became representatives were already leaders of other organizations which were founded under the regime that wanted confirm their legitimacy of power and stabilization of political situation before the Fourth republic. Representatives of rural places worked as board members of many association while those of cities worked as executive of business organizations. As they served as representatives, they were used in indirect social mobilization of various interest groups, social functional groups, and relative associations. Their pro-government nature traces back to the First republic. Many who were served as town chiefs of myuns, dongs, villages, and assemblymen of cities, eup, myun after foundation of government ran for representatives and were elected. President Park Hung-hee died in October 26th 1979, the National Conference for Unification was abolish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Fifth republic. However, representatives participated as voters of the electoral college of the Fifth republic, and obtained qualification as legislative members of National Unification Advisory Council. Through this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representatives had worked as main part of political and social mobilization, done by authoritarianism government, and affected conservative forces within our society.

연구노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구매 불가 논문

    선택하신 파일을 압축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다운로드 불가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