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 자동차 보험료 - handal jadongcha boheomlyo

‘어려운’씨는 최근 자동차 한 대를 더 구입했다. 기존에 가입해 있는 보험회사에 연락하여 보험에 자동차를 넣고 융자회사 인포메이션도 알려 주는 등 모든 절차를 꼼꼼하게 처리했다. 그리고는 보험료가 종전에 비해 얼마나 올라가는가를 물어 보니 종전 6개월 600달러에서 6개월 1200달러로 올라간다고 한다. 대강만 짐작해도 한달 보험료가 100달러에서 200달러로 올라가겠구나 생각했다.

그리고 몇 주 후 월 페이먼트 고지서를 받았는데 열어보니 거의 300달러를 내라는 것이 아닌가. 깜짝놀라, 보험회사에 6개월 보험료가 1200달러라고 했었는데 실제론 1800달러가 아니냐고 따져 물으니, 보험회사직원이 전번에 알려준대로 1200달러가 맞다고 한다. 그리고는 이번에 300달러 가까운 금액의 고지서가 나온 이유를 뭐라뭐라 직원이 설명하는데 ‘어려운’씨에게는 도무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왜일까?

보험이 가입되어 있는 도중에 보험의 내용을 바꿀 때 왕왕 보험회사와 고객간에 오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즉, 자동차를 추가하거나 빼거나, 혹은 운전자를 넣거나 빼거나, 혹은 주소를 바꾸거나 등등 여러가지 이유로 보험의 내용이 변경되어 가격이 달라지면서 의문과 오해가 생기는 것이다. 특히, 매달 보험료를 납부하는 경우에 보험료 계산이 간단치 않아 혼동을 몰고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소 도움이 될 것이다. ‘어려운’씨는 기존의 자동차 보험이 1월 1일 시작해서 7월1일 끝나며 매월 보험료를 나누어 납부하고 있다고 하자. 매월1일까지 그달치의 보험료를 내게 되어 있다. ‘어려운’씨는 5월 1일 전에 5월달치 100달러를 내고 5월2일에 새차를 사서 보험에 추가했다. 6개월 보험료는 위의 예화와 같이 600달러에서 1200달러로 올라갔다. 그리고 6월1일까지 내야하는 보험료 고지서를 5월 중에 받게 된다.

여기서 헷갈리게 되는 원인은 서로간의 입장차이에서 발생한다. ‘어려운’씨는 올라간 보험료 한달치가 200달러라고만 생각한다. 반면에 보험회사는 ‘어려운’씨가 추가한 새자동차의 5월달 보험료 100달러에다가 6월달 한달치 보험료 200달러를 포함한 것이다. 그리하여 300달러의 보험료고지서를 받게끔 되어있다. ‘어려운’씨가 5월2일 자동차를 추가할 때 추가된 보험료를 5월달에 납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무시했기 때문에 오해가 발생한 것이다.

6개월 보험료를 한꺼번에 내지 않고 여러번에 걸쳐 나누어 내는 것은 보험회사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하나의 특별 혜택이다. 보험계약기간에 맞추어 6개월치 혹은 1년치를 한꺼번에 내는 것이 정상이라는 말이다. 그리고, 보험료는 항상 미리 내는 것이다. 매월 내는 보험료도 마찬가지이다. ‘어려운’씨의 경우처럼 5월1일까지 내야 하는 보험료는 5월1일부터 6월1일까지의 한달치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데 5월달치 보험료를 낸 이후 5월 중에 생긴 보험료 변경은 6월1일까지 내야하는 고지서에 추가되어 나타난다.

항상 보험료가 제대로 계산되어 나에게 부과되었는가 잘 따져 보아야 하겠지만 무조건 보험회사가 계산상 틀렸을 거라고만 미리 단정하여 자기 생각만 옳다고 믿고 따지다 보면 이해의 실마리가 쉽게 풀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문의: 770-234-4800

If you are preparing for your next auto insurance due to the maturity of auto insurance, we recommend that you obtain a quote from various insurance companies.

However, it is very cumbersome to access and check multiple insurance company sites one by one.

Therefore, more and more people are using auto insurance premium comparison estimate sites for this purpose.

For each insurance company, compare various insurance products and car insurance prices, complicated and difficult insurance terms, subscription terms, and insurance details through an application.

After installing the car insurance comparison estimate application, we will provide the insurance information you need to know in real time by simply entering information.

Back to list

어떻게 다들 차유지하시는 거죠 ㄷㄷ

한달에 300~400 통장에 찍고 있습니다. 근데 차를 살 엄두가 나질 않아요. 독립해서 살고 있어서 그런것 같기도 하고... 자동차 할부한다 해도 취득세 무슨 세금 기름값 정비비 무지 많이 들어갈거 같은데... 혹시 월 얼마정도 나가시는건가요?

6698

그러게요 궁금하네요 ㅎㅎ

2470

국산 2011년식 2000cc 경유 SUV를 타고 있습니다. 1년에 평균 2만km를 운행하는데(출퇴근 및 이리저리...) 차량 구매는 현금완납이라 할부는 따로 없구, 2만키로/년 주행이면 평균정도 될거에요. 기름값이 1년에 200만원정도에 자동차세,보험료,차량수리비,세차비 등등해서 1년에 200만원정도 되네요. 올해는 타이어교체 주기가 걸려서 한 60만원이 더 들어갔고, 자동차세가 1년에 45만원정도에, 보험료가 1년에 35만원정도(장기 무사고 자차포함,본인/배우자 한정, 35세이상) 됩니다. 그럼 차량유지비는 총 400만원/년 정도가 되겠죠? 차량 감가상각은 빼고 말이죠.. 지난 가계부를 이리저리 뒤져보니 그러네요... ㅎㅎ 여기에 만약 사고라도 냈다면 사고 유무에 따라 보험료가 크게 차이가 날테고, 선수금 일부에 2400 할부/24개월로 구매했다면 1200만/년이 추가되겠죠...

3273

저는 아반떼타는데요 (2010년 구입) 차값은 일시불로 샀어요. 취등록세해서 총 비용은 이천정도 들었던 것 같습니다. 보험은 100만원으로 시작해서 지금은 50만원정도 내고요 자동차세가 매년 2~30만원 정도 나오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보험+자동차세+경정비비해서 매달 10만원씩 미리 적립해 두고 있어요. 출퇴근은 회사 통근버스로 해서 주행거리가 얼마 안되어서 (한 2~300 km 되는듯) 월 주유비로는 많이타면 18만원, 적게타면 12만원 정도 들어요. 보통 이정도 들고요 정비비는 엔진오일은 일년에 한두번 5만원정도에 가는데요. 타이어 갈거나 노후부품 교체 주기가 오면 좀 큰돈이 들어갈때도 있습니다. (아직 저는 타이어만 한번 갈았네요 ㅎㅎ)

2382

저도 차 사면 유지비 때문에.... 차 살 엄두가 안나요 ㅠㅠ

1165

전. 경차라... 취등록세 없었구 세금 1년 8만원, 50%톨비할인, 60%공영주차장할인, 연비는 13~15평균나와줘서 월 18만원 기름값에 쏘다니고 있어요. 차산지 아직 4년 안되서 딱히 정비도 없어 나름 유지하고 있어요 ㅎ 중형차로 바꾸고싶긴해도 저런 혜택을 생각하면 쉽지 않네요...

2274

편안함과 추억에 도움이 되고자 몇천만원 투자하는 것 같아요 ㅜㅜ 사실 저도 렌트면 충분한데 마이카 가 뭐라고. 그리고 에누리(http://www.enuri.com/car/Index.jsp?stp=4) 가시면 신차에 대해서 연비를 기준으로 몇년간 몇 km 타면 기름값 포함해서 금액을 알려줘요.

1634

저는 휘발유 수동 스파크인데요 (2014.12 취득) 무옵션 일시불로 작년말 차값+수수료+계약금 해서 900만원 정도에 샀어요. 보험은 60만원선이구요. 자동차세는 작년도 일할계산해서 8210원, 올해는 1월에 연선납할인으로 93130원 나오니 연간 9만원정도 되겠네요. 한번에 20리터씩 주유하는데 경차사랑카드로 리터당250원씩 공제받아 25000원 정도 듭니다. 필요할 때만 사용하기에 월평균 63000원 정도 들어가는 것 같아요. 대략 연간 80만원 주유비 등으로 들어간다고 하고 올해 1년차이니까 연간유지비 994만원, 내년부터는 537만원으로 정도로 나오네요. 감가상각비 300만원 포함시키면 내년부터 687만원 정도 되고요. 계산해 보니까 10년차에는 취득가액포함 감가포함 연간 201만원 비용이 나오네요.

1132

저희집두 신랑이 총각 때부터 타오던 중고 소형차를 팔고 중형차(소나타)로 신혼 때 바꿨는데요. 당시에 무지무지 싸웠어요.ㅋㅋ 조금이라도 작은차(=싼차) 사려는 저와 중형차는 타고싶다는 신랑.. 그래서 열심히 계산기 두드려보고 올현금 일시불+현대카드 30만원 선결제만 이용하여 구매했구요. 자동차 유지비를 위해 신랑 용돈을 줄였고(-_-v) 기름값은 거의 신랑용돈에서...(물론 가끔 출장비 나오는 걸로 충당하는 것 같습니다) 기타 보험, 자동차세는 매년 연차비용 나오는걸로 해결합니다. 결론은 차는 돈먹는 하마라는 거 그래도 편리하고 편안하다는 거 미혼이시면 비추에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