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생 논문 수준 - hagbusaeng nonmun sujun

기타 학부생의 졸업논문은 어느수준으로 써야하나요? 6

시디브레이커

학부생 논문 수준 - hagbusaeng nonmun sujun

8,739

2013-03-08 17:23:10 175.♡.16.7

논문의 논자도 모르는데요

논문을 어느 수준으로 어떻게 쓰는건가요?

당연히 전공과목 레포트 쓰는 수준은

아닐거고 말이죠

대략적으로 알려주세요ㅎㅎ

미리답변 감사합니다ㅎ

__withANN*

댓글 • [6] 을 클릭하면 간단한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닥둘기 닥둘기

IP 203.♡.117.229

13-03-08 2013-03-08 17:25:24 / 수정일: 2017-04-30 10:57:58

·

제가 다니던 학교의 경우
학부시절 했던 프로젝트 (수준있는...)의 보고서 3개 이상
양식에 맞게 다시 정리하고

프로젝트를 통해 소양을 어떻게 쌓았는지 개략적으로 분석해서 논문식으로 만들어 냈더니

통과했습니다.

김선규 김선규

IP 147.♡.34.68

13-03-08 2013-03-08 17:25:39 / 수정일: 2017-04-30 10:57:58

·

전공과목 레포트 수준 정도면 대부분 커버됩니다. 다만 형식을 논문형식에 맞춰야지요. 단순히 조사하고 요약하는 정도로는 부족하지요.
근데 학교마다 워낙에 다르니 가장 좋은 방법은 도서관 가서 선배분들의 졸업논문을 보는겁니다.

벨샤룬

학부생 논문 수준 - hagbusaeng nonmun sujun

IP 125.♡.178.199

13-03-08 2013-03-08 17:30:16 / 수정일: 2017-04-30 10:57:58

·

학교마다 좀 다르지만
그냥 형식좀 논문에 맞춰지고 좀 양많은 레포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그냥 긁어다 놓은 자료 요약 수준 레포트면 좀 그렇구요
주제나 결론 도출에서는 자기 생각을 써야 하긴 합니다.

그냥 대학 4년 동안 놀지않고 갈고닦은 레포트 실력이면
무난하게 통과 하실꺼에요

cuniverse cuniverse

IP 121.♡.21.24

13-03-08 2013-03-08 17:33:49 / 수정일: 2017-04-30 10:57:58

·

ENZYME ENZYME

IP 211.♡.194.83

13-03-08 2013-03-08 17:37:19 / 수정일: 2017-04-30 10:57:58

·

개인 경험으로 말씀드리자면, 논문 쓴것을 국제 학회 (소규모라도 OK)에 발표할 수 있으면 될 것 같습니다.

Afri Afri

IP 93.♡.60.36

13-03-08 2013-03-08 18:36:13 / 수정일: 2017-04-30 10:57:58

·

과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겠지만, 학부수준 지식정도로는 사실 제대로 된 논문쓰기 거의 불가능합니다.(혼자 독학으로 석사이상의 지식을 습득하지 않는 한...) 학부시절 논문은 그냥 논문 형식을 잘 지키고 주어진 테마에 대해 어느정도로 공부를 했다는것을 보이는정도면 될겁니다. 특히나 학부때 가나다라 쌩기초정도밖에 안배우는 순수학문들의 경우에는 교수가 실제 발표된 논문을 지정해주고 이 논문을 공부해서 자기언어로 다시 쓰라는식으로도 합니다.(당연히 논문이 해당 분야 박사/교수가 쓴거라 이쪽이 오히려 더 어려운 경우도 많고요.) 학부때 정식 논문수준을 요구한다면 제대로 졸업가능한 사람은 거의 없을거에요.

  • 커뮤니티 홈
  • 아무개랩

우선 저는 p학부 졸업해서 현재 s통합 1년차임을 밝힙니다. 학부 졸업평점 3.7x이고 SCI 1편 보유중입니다.

저는 연구참여나 졸프를 할 때도 그냥 졸업과정이니까~ 정도로 생각하고 임했어서 논문 관련 경험이 전혀 없는데 여기 글들 보면 많은 학부생분들이 (대부분 국내 논문이기는 하지만) 논문을 쓰셨더라구요.

저는 그런 걸 보면서 대단하고 저런 분들이 대학원을 가야된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분들 의견을 보면 그런 경험은 크게 중요하지 않고 학점이 제일 중요하다라고 말씀하시더라구요. 물론 학점도 중요합니다만, 연구원으로써 일찍이 논문에 관심이 있고 결과까지 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생각합니다.

그래서 고견을 여쭙고자 글 올려봅니다. 고학점 vs 논문경험,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둘 다 잘하는게 좋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3:7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학부생 논문 수준 - hagbusaeng nonmun sujun

댓글 10

  • Wallace Clement Sabine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0.11.26

    지나가다 궁금한건데 1저자이신가요?

  • 2020.11.26

    전 학점 vs 논문이 7:3이라고 보는데요...

  • 2020.11.26

    둘의 기여도를 단순비율로 나타내려면 각 팩터를 이용한 기여도가 선형적으로 반영되고, interaction이 없는 다행식으로 표현돼야할텐데... 그럴리가 없으므로 공허한 토론입니다. 각자 생각하는 함수의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뭐든 대충 맞는 범위가 있겠죠.

  • Albert Szent-Györgyi (작성자)

    2020.11.26

    Wallace Clement Sabine 네 당연히 1저자입니다.

    Voltaire 허허 네 그런 전범위적인것을 따져서 rating한 비율이 궁금했는데 고견 감사드립니다. 그런 대충 맞는 범위에 대해 여쭙고자 올린 글입니다.

  • Albrecht von Haller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0.11.26

    "여기 글들 보면 많은 학부생분들이 (대부분 국내 논문이기는 하지만) 논문을 쓰셨더라구요." 이 부분이 약간 이상한데 보통 논문이라고 하면 당연히 해외 저널이죠. 국내 저널중에 sci인 것도 별로 없고 있어도 IF가 최하위권이니까요.

  •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2020.11.26

    목적이 뭐냐에 따라 다른 것 같긴한데, 보편적으로 학점은 서류에서 필터링될 수준 (사견으로는 3.5/4.0 선?) 아니면 큰 하자 없다고 보고 연구실적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논쟁이 큰 의미 없는 이유는 보편적으로 연구실적이 좋은 사람들은 학점이 보통 좋습니다. 학점은 3.3 이런데 탑저널 있고 그런 경우가 엄청 적다는 거죠. 물론 학점이 연구성과와 비례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요.

  • Albert Szent-Györgyi (작성자)

    2020.11.26

    ㄴ 제 기준이 다소 낮을 수도 있겠네요. sci나 if기준 수준은 미미하라도 introduction부터 conclusion까지 자신만의 글을 썼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 Albert Szent-Györgyi (작성자)

    2020.11.26

    ㄴ네 저도 사실 이런 논쟁에 대해 큰 의미가 없는 것 알지만 위엣 글에 학점도 준수하신 분이 연구 성과도 있는데 그에 무조건 학점이다! 라는 댓글이 보였고 공감수도 높아서,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여쭌 것입니다.

  • George William Friedrich Hegel

    2020.11.26

    저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저도 컨택을하고 입학할때 느꼈는데 논문 경험을 교수님들이 실제로 높게 쳐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들어가서도 남들보다 빠르게 아웃풋을 낼수도 있고요.

  • Jean-Antoine Watteau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0.11.26

    저는 sci 1저자 논문 1개 = 학점 +0.4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원에서는 비교도 안되게 논문의 값어치가 크고요

학부생 논문 수준 - hagbusaeng nonmun su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