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바이오 ETF - haeoe baio ETF

FnGuide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 할 수 없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의 오류, 누락에 대하여 FnGuide 또는FnGuide에 자료를 제공하는 회사에서는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FnGuide에 있으며 사전 허가없이 이를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데이터 베이스화 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FnGuide 헬스케어 지수는 MKF 500 내 종목 중 의료 섹터에 포함된 종목을 기초 유니버스로 하여 재무 및 경영 건전성 기준을 만족하는 종목을 투자 대상으로 선별하여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한 지수입니다.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TOP10 구성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표순위보유종목비중(%)1셀트리온9.742셀트리온헬스케어9.743삼성바이오로직스9.604HLB8.235유한양행7.366한미약품5.177SK바이오팜5.128SK바이오사이언스4.589셀트리온제약2.8810에스디바이오센서2.82

업종별 비중: 순위, 업종, 비중(%) 표순위업종비중(%)1의료100.00

분배금 지급현황

· 최근 3년의 분배금 지급 현황을 공지해 드립니다.

분배금 지급현황 : 분배금 기준일, 분배금 실지급일, 주당분배금(원) 표분배금 기준일분배금 실지급일주당분배금(원)2019-04-302019-05-02102020-04-292020-05-06462021-04-302021-05-04712022-04-292022-05-0360

수익률 표는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운용성과 :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표구분최근 1개월최근 3개월최근 6개월최근 1년최근 3년연초이후상장이후기준가격
(NAV)0.27-1.320.97-23.3823.68-22.377.97툴팁 열기기초지수0.20-1.480.82-23.6423.59-22.418.86툴팁 열기초과성과0.070.150.150.260.080.03-0.89

일별 수익률 : 일자, 시장가격(원)(종가, 등락률(%)), 기준가격(원)(종가, 등락률(%)) 표일자툴팁 열기 시장가격(원)기준가격(원)종가등락률(%)종가등락률(%)2022.12.1410,9851.618상승10,843.411.631상승2022.12.1310,8101.312상승10,669.33-0.468하락2022.12.1210,670-10,719.58-2022.12.0910,6701.474상승10,540.750.460상승2022.12.0810,5150.622상승10,492.39-0.052하락2022.12.0710,450-0.333하락10,497.93-0.213하락2022.12.0610,485-0.142하락10,520.360.172상승2022.12.0510,500-0.047하락10,502.24-2022.12.0210,505-1.407하락10,677.720.823상승2022.12.0110,6550.661상승10,590.480.289상승2022.11.3010,5850.570상승10,559.871.590상승2022.11.2910,5251.201상승10,394.5-2.026하락2022.11.2810,400-1.886하락10,609.51-2022.11.2510,600-1.257하락10,742.260.860상승2022.11.2410,7351.082상승10,650.630.242상승2022.11.2310,620-10,624.84-0.497하락2022.11.2210,620-0.234하락10,677.99-1.902하락2022.11.2110,645-2.249하락10,885.04-2022.11.1810,890-0.411하락10,944.61-0.416하락2022.11.1710,935-0.500하락10,990.36-2.108하락

구성종목(PDF) 현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주)/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표번호종목명종목코드주식수㈜
/ 액면(원)보유비중(%)평가금액(원)1셀트리온KR70682700082949.7453,508,0002셀트리온헬스케어KR70919900028049.7453,466,0003삼성바이오로직스KR7207940008639.652,731,0004HLBKR70283000021,3788.2345,198,4005유한양행KR70001000086777.3640,416,9006한미약품KR7128940004975.1728,372,5007SK바이오팜KR73260300043625.1228,091,2008SK바이오사이언스KR73024400032824.5825,154,4009셀트리온제약KR70687600082312.8815,800,40010에스디바이오센서KR71373100094822.8215,472,20011씨젠KR70965300014832.4813,644,75012한미사이언스KR70089300003552.2912,602,50013에스티팜KR72376900031332.1511,810,40014녹십자KR7006280002731.8610,220,00015바이오니아KR70645500072951.8610,221,75016신풍제약KR70191700004401.8310,076,00017대웅제약KR7069620003601.739,480,00018메디톡스KR7086900008651.578,619,00019일동제약KR72494200012151.568,589,25020삼천당제약KR70002500011801.568,550,00021원화예금KRD0100100017,732,4141.417,732,41422차바이오텍KR70856600095281.47,708,80023HK이노엔KR71959400021931.397,652,45024덴티움KR7145720009871.387,603,80025한올바이오파마KR70094200014691.377,527,45026휴마시스KR72054700083921.337,330,40027제이시스메디칼KR72874100056601.035,669,40028루트로닉KR70853700052761.035,671,80029파마리서치KR7214450009801.015,528,00030지씨셀KR71445100051050.975,344,50031영진약품KR70035200041,1940.834,584,96032보령KR70038500053920.84,410,00033클래시스KR72141500052290.784,305,20034유나이티드제약KR70332700001190.563,070,20035국전약품KR73077500002540.341,864,36036한국파마KR7032300006450.21,109,250

투자 유의사항-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신뢰할 만한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완전함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투자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해외의 증권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인 경우 투자대상국가의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변동성으로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가입하시기전에 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 및 계약권유문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우리는 헬스케어의 중요성과 의약품 및 백신 개발에 있어 바이오제약 회사의 역할을 깨닫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헬스케어 및 바이오제약 섹터는 지난 2년 동안 어마어마하게 성장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관련 제재 조치가 완화되고 증시에서는 매도세가 나타나면서, 2022년 들어 관련 기업들의 상황은 완전히 변했다.

하지만 헬스케어 및 바이오테크놀로지 관련 기업들의 하락은 다수의 탄탄한 종목 그리고 그런 종목을 보유한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해 더 나은 진입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남은 2022년 동안 관심을 가져볼 만한 ETF 2종목을 소개한다.

1. Invesco S&P 500 Equal Weight Health Care ETF

  • 현재 가격: $280.86
  • 52주 가격 범위: $267.79 - $322.92
  • 배당수익률: 0.65%
  • 운용보수율: 연 0.40%

최근 미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미국은 고령사회에 접어들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2030년에는 미국 내 만 65세 이상 인구가 만 5세 이하 인구보다 많아질 것이다. 미국 헬스케어 시스템은 다차원적 노인 인구의 복잡성에 대해 준비되어 있지 않다.”

헬스케어 관련 지출은 미국 GDP 중 20%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인들의 니즈가 변하고 또 증가하면서 헬스케어주 역시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바이오 ETF - haeoe baio ETF

RYH 펀드는 현재 66개 종목을 보유하고, 순자산 8억 9,002만 달러 중 14% 가까이 차지한다. 2006년 11월에 거래를 시작했다.

보유 기업 중 25% 이상이 헬스케어 장비 및 용품 섹터에 해당된다. 그다음으로는 헬스케어 업체 및 서비스(24.6%), 바이오테크(생명공학) 도구 및 서비스(18.2%), 제약(15.4%), 바이오테크(13.1%) 순이다.

RYH 펀드는 5월 12일에 52주 저점을 기록했고 올해 들어서는 12.3% 하락했다. 후행 주가수익 비율 및 주가순자산비율은 각각 16.75배, 4.26배다.

필자는 동일비중 ETF로서 RYH 펀드가 제공하는 다양성을 선호한다. 관심 있는 독자들은 현재 RYH 펀드 가격 수준에서 장기적 가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 First Trust NYSE Arca Biotechnology Index Fund

  • 현재 가격: $136.53
  • 52주 가격 범위: $124.43 - $176.64
  • 배당수익률: 1.67%
  • 운용보수율: 연 0.55%

학계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바이오테크(생명공학) 업계는 미국 보건 시스템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미국 경제에 대한 혁신의 원동력이었다. 미국 내에서 단연코 가장 연구집약적(research-intensive)인 업계다.”

현재 미국 바이오테크 업계 규모는 1,400억 달러 정도다.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최근 바이오테크 관련 주식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바이오테크에 대한 “투자자 심리가 강화”되었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투자자들 중 “66%는 바이오테크 섹터가 2022년에 전반적 시장수익률을 상회할 것으로 생각”했고 “58%는 바이오테크 섹터에 대한 투자 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