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 주사 종류 - gan-yeom jusa jonglyu

A형간염이란?

간염 바이러스의 한 종류인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에 의해 발생하는 간염으로 주로 급성 간염의 형태로 나타난다.

1. 원인

A형 간염은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함으로써 전염된다.
특히 개인위생 관리가 좋지 못한 저개발 국가에서 많이 발병되지만, 최근에는 위생적인 환경에서 자란 20~30대에서도 발병률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다.
주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와 접촉한 경우에 감염되며,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A형 간염을 가지고 있는 모체가 출산하는 과정에서 태아에게 전염될 수 있고, 수혈을 통해서 또는 남성 동성애자 등에서 비경구적인 감염에 의해서도 올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감염자의 대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 등을 섭취하면서 경구를 통해 감염되며, 집단으로 발병하는 경우는 오염된 식수원이나 급식 등으로 인한 경우이다.

2. 증상

  • A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30일 정도의 잠복기 후에 피로감이나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발열, 우측 상복부의 통증 등 일차적인 전신증상이 나타난다.
  • 그 후 일주일 이내에 특징적인 황달 징후가 나타나는데, 검은색의 소변(콜라색 소변), 탈색된 대변 등의 증상과 전신이 가려운 증상이 여기에 해당된다.
  • 보통 황달이 발생하게 되면 이전에 나타났던 전신증상은 사라지게 되며, 황달 증상은 2주 정도 지속된다.
  • 최근 성인에서 나타나는 A형 간염의 증상은 심각한 경우가 많다.
  • 급성 A형 간염의 경우 85%는 3개월 이내에 임상적, 혈액학적으로 회복되며, 이후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과 달리 만성화되지 않고 대부분 완전히 회복된다.
    그러나 연령이 증가하거나, B형 간염, C형 간염 등의 만성 간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간염 증상이 급속도로 악화되어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3. 진단

전신증상이 나타난 후 일주일 이내에 황달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통해 A형 간염을 의심할 수 있고, A형 간염 항체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다.

4. 예방방법

A형 간염에는 예방 백신이 있다.
보통 한 번 접종한 후에 백신의 종류에 따라 6~12개월 후나 6~18개월 후 추가 접종을 함으로써 95% 이상의 간염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2세 이상의 어린이뿐만 아니라 아직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은 성인에게도 효과가 있다.
백신의 부작용은 발열이나 두통, 주사 부위의 발적 등 국소적으로 나타난다.

5. A형간염 백신접종

  • 접종대상자 : A형 간염 항체가 없는 모든 사람
  • 접종약제종류 : 박타프리필드시린지 - MSD
  • 접종횟수 : 1차 접종 - 접종 개시일 / 2차 접종 - 1차 접종 6 ~ 18개월 후

B�������� ��� AST(Ȥ�� SGOT)�� ALT(Ȥ�� SGPT) : ���� �������� ������ ��û ȿ��ġ�� 5-45 U/I �� ��������ε� ������ �ΰԵǸ� ��ġ�� �ö󰩴ϴ�. �׷��� ȿ��ġ�� ��°� ������ ���� ������ �� ��������� �ʽ��ϴ�. HBs Ag (ANTIGEN) : ������ ������ ������ ��������� B�� ���� ���̷����� ǥ���׿�. �޼� �����̳� ���������ڿ��� �߰ߵǸ� �̰��� ������Ű�� ���� ���� ���� �ƴմϴ�. �������� ����, �Һ�, Ÿ��, ������ ��Ÿ ü�׿��� �߰ߵ˴ϴ�.HBe Ag (ANTIGEN) : ���װ˻�� �缺�� ������ ���̷����� ��� �����ϰ� �ִٴ� �ǹ��̸� ������ HBs Ag�� ���� �缺���� ���ɴϴ�. �̷��� �����ڴ� �������� ���� ��Ӵϰ� �Ż��Ƴ� ������ �ű�� �����ϴ�.Anti HBs (ANTIBODY) : HBs Ag�� ���� ��ü�μ� ������ �ӽ������� ��Ÿ�� �� ����� �����Ͽ� ��� �缺���� ��Ÿ���ϴ�. �缺�̸� B�� ������ ���� ���׷��� ����ٴ� �ǹ��Դϴ�.

Ȥ�� �������� �θ���� �������� �ǰ����¸� �ľ��Ͽ� �и��� ���۵DZ� ���� �ǻ糪 ��ȣ�翡�� �̸� �˷� �ּž��մϴ�. HBs Ag, ABe Ag�� �缺���� AST/ ALT�� ��ûȿ��ġ�� ����������� �˾Ƶμž� �մϴ�. (HBe Ag�� �缺�̸� ���������� ���ɼ��� �������� AST �� ALT �� ����������� ���� �����ڴ� �밳 ��������ȯ�� �Դϴ�.)

�˷��ֽ� ������ �Ż��ƽǿ��� ����ġ�Ḧ �ϴµ� �����ϰ� �������ϴ�. �� ��� 12�ð��̳��� (������ �� ����) HBIG (B�� ���� �鿪�۷κҸ�) �� B�� ��������� �ֻ��ϰ� �˴ϴ�.

���������� ���İ�δ�
1. HBs Ag�� �缺�� ����� ����� ������ �и��� �Ż��ư� �����ϰų�
2. �ӽ����̳� �и��� �������̷����� �¹��� ���� �ű�ų�
3. ����� ��ӴϿ� ����� ������ ���� �ű�⵵ �ϴµ�

1 ���� ���� �߿��ؼ� ����ġ�Ḧ ������ �� ���� �ؾ� �մϴ�. �����Ż��ƴ� ������ ���·� �ִ� ��찡 ������ ��Ȥ ���� ���������̳� ġ������ �޼� ���ݼ� ������ ����Ű�⵵ �մϴ�. B�� ������ ������ ���� ���� ���輺�� ���� ���� ������ �˷��� �ֽ��ϴ�.

���� ����� ��� ���Ŀ� 1��6������ 3ȸ ������ �ϸ� ���̷��� �˻�� ���� �Ŀ� �ϵ��� �ϰ� �ֽ��ϴ�.(�밳�� 6���� ���Ŀ� ����) 3ȸ �������������� ö���� �� �� ���� 7-9�� ���̿� ���װ˻縦 �Ͽ� ������ü(Anti HBs) �� ������� Ȯ���Ͻʽÿ�. ��ü�� ���� ���� Ȯ�εǸ� 5�⸶�� �߰������� �ϸ� �ǰ�, �׿��� ����Ǹ� 6����-1�⸶�� ����� �˻縦 �Ͽ� ���������� ���� ���θ� Ȯ���ϰ�, ���ʿ��� �߰� ���� ������ ���� �ʰ� �˴ϴ�.

■ 예방접종(Vaccination)이란?

우리 몸에 항원을 투여하여 항체를 생기게 함으로써 감염병에 대한 방어능력을 갖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질병예방 수단입니다.

1.인플루엔자(독감) 백신

대상:모든 성인

방법: 매년 1회 접종 (9월~12월)

2. 폐렴구균 백신

대상:

- 65세 이상 : 13가 단밸결합 백신 또는 23가 다당류 백신

- 암, 만성질환자(당뇨병, 심장/폐/간/신장 질환자), 알코올 중독, 흡연, 면역저하자

방법: 시기에 상관없이 1회 접종(일부 2회 혹은 재접종)

3. 대상포진 백신

대상:

- 접종대상연령: 60세 이상

- 접종허가연령:50세 이상

방법: 1회 접종, 생백신

4.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백신

대상: 최근 10년 이내 접종하지 않은 성인, 임신부

방법: 기본접종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총 3회 접종, 기본접종 후 최근 10년 이내 추가접종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총 1회 접종

5. 인유두종바이러스백신 (자궁경부암, 항문암 등 예방)

대상: 남녀 만 9~26세

방법: 2~3회 접종

6. A형 간염 백신

대상: A형 간염에 대한 항체가 없는 성인 (특히 만성 간질환자, 아시아/아프리카/남미 여행자, 의료기관 종사자, 혈우병환자)

방법: 총 2회 접종 (첫 접종 후 6~12개월 후 2차 접종)

7. B형 간염 백신

대상: B형 간염 항체가 없는 경우 (특히 HBV 만성 감염자의 가족,혈액투석이나 수혈을 자주 받는 경우,의료기관 종사자)

방법: 총 3회 접종 (첫 접종 후 1개월, 6개월 후 접종)

8.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백신

대상: 백신을 접종받은 적이 없으면서 걸린 적이 없거나 항체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특히 임신 전 가임기 여성, 개발도상국 여행자)

방법: 적어도 1회 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