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교향곡 9번 4악장 특징 - betoben gyohyang-gog 9beon 4agjang teugjing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 "Choral"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은 환희와 인류애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4악장에서 독일의 시인 실러의 시에 곡을 붙인 합창이 나오는 까닭에 ‘합창’이란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작품은 작곡가 베토벤이 완성해낸 마지막 교향곡이자 오랜 세월에 걸쳐 작곡된 역작이기도 하다. 베토벤이 ‘합창’ 교향곡을 완성해낸 것은 그의 나이 53세 때인 1824년 2월의 일이지만 이 교향곡은 이미 1812년경부터 구상되었고, 실러의 ‘환희에 붙여’ 송가에 곡을 붙이려 생각한 것은 그가 고향 본을 떠나 빈으로 가기 이전부터였으니 베토벤은 교향곡 제9번을 30년 이상이나 구상하고 있었던 셈이다.

1824년 5월 7일, 빈의 케른트너토르 극장에서 [합창 교향곡]이 초연되었을 때,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이 변화무쌍한 교향곡에 청중들은 놀라움과 경외감을 느꼈다. 그러나 정작 베토벤은 자신이 만들어낸 이 위대한 교향곡이 초연되는 그 순간 단지 참관자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었다. 그날 음악회의 실질적인 지휘자는 미하일 움라우프(Michael Umlauf, 1781~1842)였고 악장을 맡은 바이올리니스트인 이그나츠 슈판치히(Ignaz Schuppanzigh, 1776~1830)도 지휘자로서 오케스트라를 이끌었다. 베토벤은 지휘자 옆에 자리를 잡고 악보를 보면서 연주가 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중요한 부분에서 지시를 내리기도 했으나 불행히도 음악 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었다. 당시 합창단의 소프라노 파트에서 노래한 그레브너 부인은 베토벤의 모습을 이렇게 회상했다.

“그는 연주에 맞추어 악보를 읽어가는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 한 악장이 이미 끝났는데도 페이지를 계속 넘기곤 했다. 공연 때 한 악장이 끝날 때마다 한 남자가 그에게 다가가서 어깨를 건드리고 청중석 쪽을 가리켰다. 박수 치는 손 모습과 손수건이 휘날리는 광경을 보고 그는 머리를 숙였고, 그러면 더욱 큰 함성이 일었다.”

교향곡의 역사에 비추어볼 때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전통의 틀을 벗어나 있다. 교향곡에 사람의 목소리를 도입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2, 3악장의 템포를 바꿔 2악장을 빠른 스케르초로, 3악장을 느리고 가요적인 악장으로 설정했다는 점도 특이하다. 또한 피날레 악장이 전통적인 음악 형식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 역시 베토벤 이전의 교향곡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다.

우주의 문이 열리는 듯한 1악장의 신비스러운 도입부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은 일일이 열거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수많은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가장 우리의 흥미를 끄는 것은 제1악장의 신비스러운 도입부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 교향곡의 첫 도입부를 듣는 순간, 베토벤 교향곡이라면 으레 크고 웅장하게 시작되리라는 우리의 추측은 여지없이 무너져버린다. 언제 시작되었는지도 모를 정도로 들릴 듯 말 듯한 호른의 지속음과 현악기의 살랑거리는 트레몰로가 슬그머니 교향곡의 시작을 알린다.

다이내믹은 피아니시모(pp). 10여 마디가 지나도록 들리는 음이라고는 단지 A와 E음 뿐이다. 이 텅 빈 완전 5도를 채워줄 중간 음마저 빠져있어서 대체 이 음악이 장조인지 단조인지조차 감이 안 온다.

이처럼 애매모호한 도입부는 베토벤 이전의 교향곡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파격적인 것이다. 형이상학적인 이론가들은 이 도입부를 가리켜 아무 것도 없는 혼돈 속에서 서서히 우주가 생성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이 부분은 또한 어둠 속에서 서서히 해가 떠오르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훗날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안톤 브루크너는 거의 모든 그의 교향곡에 이러한 개시 방법을 도입해서 ‘브루크너의 모든 교향곡은 베토벤 교향곡 9번이다’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신비로운 1악장의 도입부가 지나면 d단조의 주제가 단호한 어조로 등장한다. 쓸데없는 수사나 장식 없이 전 오케스트라가 큰 소리로 단순 명쾌한 주제를 연주하는 순간 압도적인 숭고함이 뿜어 나온다. 그러나 1악장의 마지막 부분에 이르면 바순과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베이스가 D에서 A로 반음계적으로 하행했다가 다시 D로 되돌아오는 선율을 반복해서 연주하며 어둡고 무시무시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확신에 찬 어조를 다시금 비탄의 정서를 자아내며 1악장을 마무리한다

2악장에서 비극은 익살극으로 얼굴을 바꾼다

태초의 혼돈과 우주의 생성으로 시작해 비탄으로 끝난 1악장은, 이런 심각한 슬픔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한 활기찬 2악장으로 이어진다. 베토벤 연구가 솔로몬이 이 악장에서 비극은 갑자기 익살극으로 바뀐다고 말했듯이, 2악장의 기괴한 음악은 1악장의 고뇌를 한 순간에 하찮은 농담으로 전락시킨다. 그 농담은 유쾌하다기보다는 냉소적이며 지극히 악마적인 것이다. 여기서 팀파니는 2악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는 희극 배우로 활약한다. 보통 방식대로 완전 5도로 조율되지 않고 옥타브 음정으로 조율된 팀파니는 갑자기 큰 소리로 끼어들며 우리에게 섬뜩한 농담을 건넨다. 2악장의 열광적인 무곡이 끝나면 사랑으로 넘치는 3악장 아다지오가 뒤따른다. 음악학자 조세프 커먼은 베토벤의 후기 기악곡에 ‘인간의 목소리’(voice)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는데, 베토벤 [합창 교향곡]의 아다지오야말로 그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이 아다지오는 순수 기악곡이지만 여기에는 마치 성악곡과 같은 유려한 멜로디가 흐르며 천상의 분위기를 전해준다.

4악장 ‘환희의 송가’를 통해 모든 인간은 하나가 된다!

4악장이 시작되면 오케스트라의 서주를 지나 베이스 독창자가 일어나 “오, 벗이여! 이런 곡조는 아니오! 더 즐겁고 환희에 찬 곡조를 노래합시다!”라 말한다. 그러면 지극히 단순하지만 강한 설득력을 지닌 환희의 선율이 시작된다. 그 뒤를 이어 터키풍의 행진곡과 느리고 장중한 음악, 환희의 멜로디를 기반으로 한 변주, 소나타와 협주곡 형식 등이 합쳐지면서 거대한 음악적 통일이 성취된다. ‘모든 인간은 한 형제’라는 환희의 송가를 통해 청중은 모두 하나가 된다.

기악을 마치 성악처럼 다루는 방식은 4악장에서 더욱 돋보인다. 9마디 상박부터 시작되는 첼로의 기악 레치타티보는 그 대표적인 예로, 이 멜로디는 후에 나타날 ‘오, 친구여’로 시작되는 베이스의 레치타티보에 해당된다. 4악장은 기악곡을 성악곡처럼 쓴 곡일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람의 목소리가 들어간 성악곡이기도 하다. 베토벤의 시대에는 교향곡에 성악을 사용하는 예가 거의 없었다. 그것은 너무나 혁명적인 시도여서 당시의 몇몇 평론가들은 교향곡에 사람의 목소리를 넣은 것은 큰 실수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그러나 베토벤은 애초의 계획을 그대로 고수하여 그의 마지막 교향곡을 기악과 성악을 혼합한 장엄한 대서사시로 만들어 후대의 교향곡 작곡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 [Beethoven, Symphony No. 9 op. 125 ‘Choral’] (클래식 명곡 명연주, 최은규)

베토벤 교향곡 9번 4악장 특징 - betoben gyohyang-gog 9beon 4agjang teugjing
Berliner Philharmoniker · Claudio Abbado Beethoven: Symphony No.9

1. Allegro ma non troppo, un poco maestoso

2. Molto vivace

3. Adagio molto e cantabile

4. Presto - Allegro assai

4. Presto - "O Freunde nicht diese Töne"

View : 1888 Download: 0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 4악장 감상지도 연구

Title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 4악장 감상지도 연구Other TitlesA Study on Instructing Appreciation of Beethoven Symphony No. 9 Part 4AuthorsIssue Date2008Department/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DegreeMaster Abstract본 논문은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 4악장 감상지도에 관한 연구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감상지도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효과적인 감상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활동영역은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영역이 고루 제시되어있다. 그 중에서도 감상학습은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활동이며 특별한 기술 없이도 음악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감상학습은 학생들의 음악적 감수성과 이해력을 길러 줄 수 있는 음악의 가장 기초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기 중에서도 중학교 시기는 신체적, 지적 발달과 더불어 정신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감상을 통한 다양한 음악적인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적 감수성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음악 시수의 부족으로 감상학습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이 적을 뿐 아니라 감상학습 자료 또한 부족하다. 그리고 감상이라는 것은 그 속성상 정신적, 심미적, 내적 활동이며 정확히 가르치거나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감상학습은 소홀하게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감상교육의 중요성과 다양한 감상지도이론 및 방법을 살펴본 후, 리히터의 감상교육방법을 적용한 감상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 4악장은 독창, 중창, 합창, 그리고 관현악으로 구성되는 대규모의 작품으로 악곡에 대한 형식과 음악적 구조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악기 편성, 그리고 가사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리히터의 감상 교육방법은 악곡과 음악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악기편성과 언어에 대한 이해를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 4악장의 감상지도를 위해서는 리히터의 감상교육방법을 적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리히터의 감상 교육방법의 단계에 따라 교향곡 제9번 <합창> 4악장의 작품 내용을 분석하고 감상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지도안 계발 후 5년 이상의 학교 현장에서 근무경력이 있는 현직교사 3명에게 인터뷰를 통하여 감상지도안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행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와 함께 지도안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감상지도안은 리히터의 음악 감상 교육방법을 잘 적용하였으며, 지도안의 구성과 내용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기에 적합하다는 의견이었다. 본 감상지도안은 리히터의 음악 감상 교육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분석적 감상방법의 방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하여 감상곡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학교현장에 새로운 감상지도이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한 단원에 대한 차시별 내용이 많아 지도안의 모든 내용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제시되었으므로 실제 학교 현장에 본 감상지도안을 적용할 경우, 감상지도안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적용한다든가, 교사 개인의 연구를 통하여 지도 내용이나 활동 부분에 있어서 학교 현장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instruction method for teachers to implement for students' effective appreciation of Beethoven Symphony No. 9 Part 4. The 7th Curriculum's activities in the subject of Music involve vocalization, instrumental music, musical creation, and appreciation. Among all, appreciation is the most preferred field of activity among students as it allows students to learn about music without special techniques. In this respect, appreciation is the most fundamental activity that can foster students' musical emotion and comprehension. However, schools do not allot enough times of music classes and lack resources for students to enjoy appreciation of music. As appreciation is a mental, emotional, and introverted activity and is difficult to teach or evaluate, appreciation activity is often overlooked. However, adolescence, especially in middle school, students actively grow physically, intellectually, and mentally,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oster their musical emotion by providing them with various musical experiences in this stage of development.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instructing appreciation and various theories and methods of instructing appreciation. Then, an effective method of instructing appreciation based on Richter's instruction method. Beethoven Symphony No. 9 Part 4 is a relatively long piece and involves solo, ensemble, chorus, and orchestr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mprehend its formality, composition of instruments, and lyrics. As Richter's instruction method involves comprehension of compositional structure, instruments, and language, it is appropriate to use his method to instruct appreciation of Beethoven Symphony No. 9 Part 4. Therefore, I analyzed the contents of Beethoven Symphony No. 9 Part 4 based on Richter's method and developed an instruction method. After developing the teaching strategics, I interviewed three in-service teachers with five years or longer experience in teaching in school to verify whether this teaching strategics can be applied to school education. I also identified this teaching strategic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This method of instruction sincerely applied Richter's method and has good contents and composition to apply to middle school students. This method applied Richter's instruction to help students analyze this piece of music, direct them to good understanding, and engage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for better comprehension of the pie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new method of instruction for school education. However, there was a concern that it might not be feasible for the actual school environment because it involves several hours to complete a chapter. To apply it to school education,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apply parts of the instruction or to convert the contents or activities to fit the school environment.FulltextShow the fulltextAppears in Collections: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RIS (EndNote)XLS (Excel)XML

합창교향곡은 어떤 곡인가요?

베토벤의 마지막 교향곡. 바로 9번 교향곡 합창이다. 이 의 특징 말 그대로 마지막 악장에 합창이 들어간다는 것과 전통적 교향곡 양식과 달리 2악장과 3악장의 빠르기를 완전히 바꾸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 전까지의 교향곡은 2악장 느린 빠르기이고 3악장 빠른 춤곡으로 구성됐다.

베토벤 몇곡?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작품은 1782년 열 두살 때의 초기 작품(《드레슬러의 행진곡 주제에 의한 아홉 개의 변주곡, WoO 63》)부터 1827년 빈에서 사망하기 직전의 마지막 작품까지 45년에 걸쳐 722편의 작품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