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종 기어 변속 - 1jong gieo byeonsog

1종보통 기어변속요령

이미지 없음

1종 기어 변속 - 1jong gieo byeonsog

1종보통 하시는 분들이 기어변속이 너무 어렵다고 하고 질문도 많아 정리해 봤습니다.
먼저 말씀 드릴것은 운전을 잘하는 방법에는 절대적인 방법이나 비법은 없습니다.
각자 자기 스타일이 있고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게 설명할수도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말씀드립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것이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 1종 기어 변속 - 1jong gieo byeonsog

우리가 흔히 운전 연습할 기아 봉고Ⅲ 계기판 입니다. 
RPM이 700~800을 가리키는 것으로 봐서 시동이 걸려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을 우리는 1000 RPM으로 읽습니다. 500 RPM이하로 떨어지면 모든 자동차는 시동이 꺼집니다. 출발할때 RPM의 움직임을 자세히 보면 클러치를 뗄때 RPM이 0 쪽으로 조금 떨어집니다.
결국 출발시 클러치를 너무 빨리 떼면 RPM 500 이하로 뚝~~떨어지면서 엔진에 과부하가 걸려 시동은 꺼지는 겁니다. 
이 때 내 가슴도 철렁 하겠죠?

클러치를 뗐을때 800에서 500으로 떨어진다라고 말씀 드릴 수 있겠는데요. 800-500=300
그러니까 2~300정도가 떨어질걸 예상해서 미리 RPM을 올려놓고 출발한다면 시동이 꺼지지 않는다라는 단순한 결론을 얻습니다. 수동차가 출발시 엔진음이 붕~~하고 나는 것은 이런 이치 때문입니다.

그래서 출발시 엑셀을 살포시(이게 중요합니다^^) 밟아서 약1000~1200정도 RPM 올려놓고 클러치를 출발하는 시점까지만 떼는것입니다. (이것을 "반클러치"라고 합니다)    중요한 것은 자동차가 출발을 하기 시작하면 반클러치에서 더 이상 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잠시 2초~3초간 반클러치 하다가 완전히 클러치에서 왼발을 떼야 한다는 겁니다. (이때 왼쪽 다리와 발이 움직이는 올바른 자세를 연습하는것도 중요하다 생각 됩니다만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할께요. 우리학원에 등록하시면 자세히 배울수 있겠죠^^)

2단으로 엑셀을 살포시 밟고 RPM을 1000~1200정도 올린 다음 반클러치로 출발합니다.
출발이되면 왼발은 발판으로 옮겨져 있겠구요. 엑셀은 더욱 밟아서 RPM은 이제 2000 이상 까지 올라갑니다. 2500 이상은 비효율적이다라고 봅니다.
계속 엑셀을 밟으면 자동차는 3000 4000 5000 계속 엔진회전이 빨라지면서 속도를 내게 되겠죠.

RPM이 2000을 넘어서면서 점점 비효율적 운전이 됩니다. 기름먹는 하마가 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2000~2500사이에서는 더 큰 기어 3단으로 변속해야 됩니다. 
RPM 2000 이상되면 엑셀을 그만 밟음과 거의 동시에 좀 신속하게 클러치를 밟고 오른손으로 3단 변속합니다. 이때쯤에는 RPM 1200정도로 떨어지면서 속도는 더욱 빨라질겁니다.

더 속도를 내기 위해서 엑셀을 밟다가 또 2000RPM 이상이 되면 4단....
또  엑셀 밟다가 2000 이상이 되면 5단 ....6단.......
이런식입니다.

물론 평지가 아니고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는 기어변속이 조금 다르게 이루어져야 할때도 있습니다만...
속도를 줄이고 싶다면 브레이크만 걸어주면 됩니다. 이 때 RPM 떨어집니다.
RPM이 1000 가까이 떨어진다면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내리던지 아니면 브레이크를 더욱 걸어서 완전히 정지 시킬수도 있습니다.

만약 RPM이 1000 이하로 떨어졌는데도 클러치를 밟지 않고 브레이크만 밟으면 RPM500 이하로 뚝 떨어지면서 시동은 정지하게 됩니다.
요점은 RPM이 2000 이상이면 기어를 올리고 RPM이 1000이하면 기어를 내려라. 일단 이렇게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 1종 기어 변속 - 1jong gieo byeonsog

    참 쉽죠?

이해를 돕기 위해서 허접하나마 동영상으로 계기판의 움직임을 찰영해봤어요.

  • 1종 기어 변속 - 1jong gieo byeonsog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rpm 이런거 계산하면서 기어변속하기 머리 빠개진다, 못할거 같다 이런 사람들만 참고해

이 방법은

1종 보통 / 도로주행 / 1톤 트럭 / 오직 속도계만 보고 기어변속 한다 기준으로 말하는 것임

1. 00km ~ 20km는 2단으로 유지

20km ~ 40km는 3단으로 유지

40km ~ 60km는 4단으로 유지한다

도주시험은 제한속도가 60km 까지니까 5단은 쓸 일도 없고 신경쓸 필요도 없다

무조건 이건 공식이다, 이대로 실시한다 생각해라

@오랜만에 와서 봤는데 도로주행 제한속도가 70km인 시험장도 여러군데 있다고 합니다.

  도로주행 연습을 할 때는 제한속도가 몇 km인지 꼭 물어보고 연습합시다.

2. 속도를 감속할 때는 기어변속 할 일이 없다고 생각해라

감속할 때는 달리다 도로 중간에 정차하는 일이 있어도(물론 도로 중간에서 정차하는 경우가 생기면 비상등 반드시 켜야된다)

클러치랑 브레이크만 사용하지, 기어스틱 쓸 일이 없다

감속할 때(운전자의 속도가 보통 30km 이상일 때가 많음)는 앞 차와 200미터 간격을 둔 상태에서

브레이크로 먼저 속력을 줄이고 -> 속도가 30km 이하가 되면 클러치 꾹 밟고 -> 브레이크도 더 세게 밟으면서 천천히 정차

이런 순서를 밟게 되는데, 이어서 차가 멈추고 나면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은 상태에서 -> 기어를 중립에 넣고 -> 브레이크는 밟은 상태에서 -> 클러치에서 발을 뗀다

이 과정을 보면 알겠지만 감속 과정에서는 클러치와 브레이크만 사용하지 기어스틱을 사용하는 일은 없다

30km 이상에서 속도를 줄이기 시작할 때 먼저 브레이크를 밟으라는 이유는 타력주행 감점 때문이다

그리고 기어를 중립에 넣는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무조건 시동이 꺼진다 생각해라 시동 꺼지면 7점 감점이고 치명적이다

클러치에서 발을 떼는 이유는 정차하고 나서 클러치를 계속 밟고 있으면 감점이 지속적으로 들어온다

정차했다가 다시 출발할 때는

브레이크 밟은 상태에서 -> 클러치 꾹 밟고 -> 기어를 중립에서 2단으로 변속 -> 다시 클러치 살살 떼면서

-> 오른발을 브레이크에서 떼면서 엑셀 살짝 밟아주면 시동이 꺼지는 일 없이 출발이 가능하다

이 때 브레이크에서 오른발을 너무 빨리 팍 떼면 시동이 꺼지니까 자연스럽고 적당히 빠른 속도로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고 엑셀을 밟아야 시동이 안꺼짐

그런데 초보 입장에선 "자연스럽고 적당히 빠른 속도로 브레이크에서 발 떼고 엑셀을 밟아라" 이게 개소리로 들릴 확률이 큼

트럭 상태가 시발이거나 그러면 클러치 상태도 시발이라 나는 진짜 클러치에서 발 살살 뗐는데 트럭이 멋대로 시동 꺼지네? 이럴 확률이 높음

아니면 나도 모르게 클러치랑 브레이크를 동시에 떼는 나쁜 습관이 있어서 시동이 자주 꺼질 수도 있음

그러니까 도로주행 연습할 때 정차 상태에서 출발하는 연습을 하고 싶다고 강사에게 꼭 부탁해 보자

이렇게 해도 출발 시 시동꺼짐이 무섭다면 기능시험에서 출발할 때처럼 반클러치 출발을 하고 나서 차선을 확실히 잡고

클러치에서 발을 다 뗀 다음 엑셀을 살짝 밟아가면서 속도를 올려라

3. 2단에서 3단, 3단에서 4단 으로 변속하는 방법

일단 변속하기 전에 내 눈깔을 카멜레온 눈깔이라고 자기최면 거는 편이 좋다

속도계에 너무 신경쓰다보면 차선이탈이나 앞차에 들이박아서 사고가 나는 좆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재빨리 시선을 차선에서 속도계를 보고 속도를 확인한 다음, 앞을 보고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 버릇을 들여야 한다

아무튼 2단에서 출발했다면(도로주행에선 어지간한 일 없으면 1단에서 출발할 일이 없다)

엑셀을 살살 밟기 시작하면 속도계가 올라간다

주변의 안전을 확인한 다음 속도계를 보고 빨간 바늘이 20km 위로 올라가면 변속을 한다

이 때, 반드시 빨간 바늘이 20km 보다 위에 있을 때 고단으로 변속을 시도해야 한다

초보는 엑셀에 감각이 없기 때문에 20km 이상 밟으면 바늘이 21km ~ 25km사이에 있을 것이다 이럴 때 변속을 한다

그리고 변속하는 순간만은 브레이크를 밟지 않는다

주변 안전 확인 -> 속도계 확인 -> 브레이크를 밟지 말고 -> 클러치만 꾹 밟고 -> 3단으로 기어를 바꾸고 -> 클러치에서 발을 떼고 -> 계속 주행하되 20km 이상을 유지

만약 내가 실수로 엑셀을 너무 밟아서 내 차 속도가 30km이상이거나, 기어변속을 할 때 동작이 느리거나 또는 미숙하거나,

속도를 올린다는 행동 자체가 무섭거나, 앞 차와 차간거리가 너무 짧거나 등등

이런 문제가 있다면 변속하지 말고 속도를 줄였다가 다시 천천히 엑셀을 밟으면서 기어변속을 재시도해라

3단에서 4단으로 변속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빨간 바늘이 40km 이상에 있을 때 변속을 시도해야 한다

위에서 말햇듯이 주변의 안전을 확인한 다음 기어를 변속해라

감속할 때 기어변속 어떻게 해요? 라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는데 위에 쓴 것처럼 감속할 때는 기어변속도 안하고, 기어스틱도 안쓴다

그런데도 돌발상황같은거 있지 않냐? 있기는 있다

감속할 때 기어변속은 진짜 존나 운없는 경우만 한다

예를 들면 도로주행 연습이 아니고 "도로주행 시험일 때" (도주연습때는 대개 강사가 돌발상황을 컨트롤함)

멀리 빨간불이 보이고 앞에 다른 차가 정차해 있다

나는 이것을 확인하고 브레이크 밟고 속도 줄이고, 클러치 밟고 동시에 브레이크 밟아서 빨간 바늘이 20km 밑까지 왔다

서서히 내 차는 멈추고 있다

이제 앞 차와의 간격은 50m 미만이다

그런데 갑자기 파란불이 되면서 앞 차가 출발한다

이 때 나는 당황했다

아예 멈춰야 되나? 혹시 파란불인데 멈춰버리면 도로주행 방해로 감점되는거 아닌가?

발도 꼬이는 것 같고 속도도 감속중인데...

갑자기 차 엔진에서 털털털 소리가 난다

어, 나 당황했나 이러다가 클러치랑 브레이크에서 동시에 발을 뗄 거 같은데??

앗! 이러다간 시동 꺼지는데!!

이런 경우는 앞 차가 (1)출발해서 이미 멀리 가 있는 상태고 (2)주변에 다른 차가 없어서 안전하고 (3)차선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4)나의 능력이 되면

이악물고 빡집중해서 재빨리 기어를 3단이건 4단이건 2단으로 변속하고 클러치에서 발을 떼면서 엑셀을 살짝 밟고 계속 주행해야 된다

그래야 시동이 꺼지지 않고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무섭고 불가능하다면 속도를 줄여서 정차를 하고 다시 출발해야 한다

도로주행 시험은 70점 이상이면 합격이며 기능시험처럼 제한시간이 있는 것도 아니다

정차를 하는 도중에 시동이 꺼져서 벌점 먹고 교통방해로 또 벌점을 먹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운전면허 차량은 주변 차들이 배려를 많이 해 주는 편이다

내가 속도를 줄이면 다른 차들도 속도를 줄여준다

뒤에서 경적 울리는 차량이 있으면 개무시해라

이럴 때 정지선을 바로 앞에 두고 멈춘 게 아니고 도로 중간에서 정차를 하면 비상등을 꼭 켜주자

그리고 출발할 때는 비상등을 끄고 출발하자

4.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는 습관,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떼는 습관을 들이면 안된다!

이거 진짜 중요한 건데 기능시험에서는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아서 비상정지한 다음 비상등을 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이걸 도로주행에서 속도를 내고 있는데 이짓하면 핸들 조정이 안되서 차 뒤집어진다

정말 비상상황이라면 비상정지를 써야겠지만(운붕이가 안전벨트 잘 멘 상태에서 비상정지 쓰면 차가 뒤집어져도 반병신으로 끝나지 죽지는 않음)

그보다는 미리미리 브레이크로 속도를 줄인 다음 클러치를 꾹 밟고 브레이크로 속도를 감속하는 습관을 들이자

또한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떼지 말라는 것은 이러면 시동이 바로 꺼져버리기 때문이다

5. rpm 300 이상 유지하고 rpm 3000 을 넘지 말라는 규칙도 있다

이걸 어기면 감점당함

이 규칙의 뜻은 급출발이나 급정지 해서 보행자 찌부 만들지 말어라, 속도에 맞춰서 기어변속 잘 해라, 너무 느리게 가서 다른 차 방해하지 마라는 뜻이다

그런데 운붕이가 급출발 안하고, 급정지 안하고, 출발 잘 하면, 속도유지 잘 하면, 감속 잘 하고 정차도 잘 하면

이 규칙은 그냥 머리 속에서 없애라

괜히 신경만 쓰이고 속도계랑 엮여서 실수만 만든다

6. "자연스럽고 적당히 빠른 속도로 브레이크에서 발 떼고 엑셀을 밟아라" 는 독학연습 어케하는데 십새야?

내 경우는 쇼쌤의 면허교실에서 이 두가지 동영상을 보고 감을 좀 잡았다

첫번째는 클러치 밟고 떼는 요령

https://www.youtube.com/watch?v=SwOZ0viwcig

두번째는 채점기를 사용한 도로주행 교육인데 발 움직임도 잘 나오고 학원에선 귀찮아서 안가르쳐주고 넘기는 것들이 나온다

https://www.youtube.com/watch?v=QKktpkFa7jY

모든 운붕이들 합격 기원하면서 글을 마치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