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 지난 소화제 - yutong-gihan jinan sohwaje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약을 약국에서 판매할 때에는 정해진 기간 안에 소진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판매된 약이 언제 생산되었는지는 약국에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일 정확한 방법은 약 구매시, 약국에 요청해서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따로 적어두는 것입니다.

제약회사들은 약의 유통기한을 생산일로부터 보통 2~3년 이내로 정합니다.

하지만 이 기간은 밀폐된 용기에 서늘하고 건조한 그야말로 약 보관에 최적화된 곳이라는 전제 조건 하에서의 시간입니다.

만약을 위해서라도 집안에 개봉 후 오랫동안 방치해둔 약이 있다면 당장 처분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길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은 모두 약국에 갖다 버리고, 냄새 또는 맛이 이상한 경우에는 절대로 복용하면 안 됩니다.

병원이나 약국에서 조제된 약은 그 때 바로 먹는 게 원칙입니다.

아무리 냉장 보관을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세균 또는 진균이 번식할 수 있습니다.

냉장 보관은 일시적으로 음식을 보관하기 위한 도구이지, 영구적으로 보관하거나 무균화 시설이 아닙니다.

저녁먹은게 소화가 안되는거같아 찾아보니 사용기한이

한달정도지났는데 먹어도 되나요?

그리고 다른약들도 확인해보니 연고류같은것들이

사용기한이 조금씩 다지난것들인데 바로버려야겠죠?

아님 사용가능한가요?

유통기한 지난 소화제 - yutong-gihan jinan sohwaje
유통기한 지난 소화제 - yutong-gihan jinan sohwaje

총 16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사용기한이 지난 의약품은 폐기하셔야합니다.

기한이 지나면 약효가 떨어집니다. 그리고 변질이 되거나 오염이 되었을수 있으니 복용하지말고 버려야합니다.

버리실때는 모아서 약국에 가져다 주면 의약품폐기물로 안전하게 버립니다. 그냥 버리면 환경오염됩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제품은 약물의 반감기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여 원래 얻고자 하는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변질의 우려가 있기에 복용 및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감사합니다.^^

    2021. 05. 17. 23:39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사용기한이

      한달정도지난 소화제는 드셔도 크게 문제가 생기진 않습니다.하지만 약효가 거의 나타니지 않습니다.

      유효기간이 지나면 약성분이 분해가 되어서 약효가 없어지게 됩니다.

      연고류도 마찬가지로 유효기간이 지나면 약효가 없어져서 효과가 없습니다.

      2021. 05. 18. 20:26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가능하면 안드시는 게 좋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나면 약의 변질의 위험이 있기 때문인데요.

        약의 효과가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고, 보증할만한 효과가 안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약의 변질이 우려가 되니 버리시는게 가장 바람직해보입니다.

        2021. 05. 17. 21:10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 영양제 등은 폐기하시는 게 좋습니다

          약국이나 보건소에 가시면 가능합니다

          유통기한이란 건 약효의 90%를 최소한 내도록

          보장하는 기간인데요 이 기간을 넘기게 되면

          아무래도 효능효과를 덜 볼 수 있겠죠?

          유통기한이 지나기 전에도 변질되거나 착색되고 오염되면

          약을 폐기하셔야 하므로 웬만해서 새로 구입하시거나

          처방약이라면 새로 처방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2021. 05. 19. 18:29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민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화제 뿐만 아니라 연고제의 경우 유통기한 혹은 사용기한이 지났을 경우, 약국 혹은 보건소에 설치된 폐의약품 전용수거함에 버려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효능은 점점 줄고 부작용은 점점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2021. 05. 19. 16:58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선익 의사 /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건강보조식품이나 시중에서 구입한 약의 유통기한이 지날시, 일부 성분이 변질이 되며 부작용이 나 독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겠지만 효과가 떨어질수도 있지요.
              유통기한이 지난 약품은 아파트내 약물전용 폐기함이나 약국에 갖다 주시면 폐기가 가능합니다.
              유통기한 잘 확인하시며 약물 복용하시고,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2021. 05. 19. 16:35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은 폐기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의 경우 품질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근처 보건소 또는 약국으로 방문하셔서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1. 05. 19. 10:25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영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효기간은 사실 약효가 유지되는 기간이라서

                  기간이 지난것은 효과가 조금 떨어진다고 보시면 되고요.

                  사실 보관상태에 따라 변질되는 경우도 있어서

                  유효기간이 지난것은 먹지않는것이 좋습니다.

                  연고류는 개봉후 6개월청도 사용 가능한거라

                  적혀진 기간이 지났다면 6개월보다 훨씬 지났을것같아

                  폐기 권합니다.

                  2021. 05. 19. 07:18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라면 어떠한 약이라도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약품 폐기 수거함에 버리거나 가까운 약국 방문 후 폐기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약은 일반 식품처럼 유통기한이 있으며 보관방법에 따라 유통기한이 훨씬 짧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은 체내 섭취시 부작용 및 후유증 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복용시 주의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2021. 05. 18. 23:32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효기한이 지난 약의 경우 성분이 변질돼 충분한 효과를 보기 어렵고, 변질된 성분에 의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폐기약은 낱알 형태로 모아 근처약국이나 보건소에 방문하여 폐기요청 하시면 됩니다.

                      -정말 급한 상황이 아니라면 드시지 않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2021. 05. 18. 23:28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관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유통기한이 지나셨다면 약을 복용하지마시고 폐기하시는게 좋습니다.

                        약의 유통기한은 약이 제대로 효능을 낼 수 있는 기간을 정한 것이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하신다면 제대로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뿐더러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봉하신 약인 경우 공기 중의 산소와 수분에 노출되어 유통기한보다 빨리 변질됐으니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2021. 05. 18. 21:32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폐기하시는 게 좋습니다

                          약의 유통기한은 해당 약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90% 될때의 시점을 말하며 이후에는 유효성분 함량을

                          보장해주지 못할 뿐 아니라 변질되었을 경우에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그때는 보건소나 근처 약국에 가셔서

                          약이나 영양제를 폐의약품함에 넣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건강을 위해 약과 영양제를 먹는 만큼

                          새롭게 본인에게 맞는 것을 찾아 구입하시는 게 현명하십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

                          2021. 05. 18. 20:40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나면 개봉을 하지 않은 새 제품이라도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보관상황이나 위생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연고크림개봉 후 6개월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약이 알루미늄으로 각각 포장되어 있는 압박포장(PTP)의 경우 표기된 유통기한 만큼 사용할 수 있고,

                            약포지에 들어 있는 약의 경우 6개월 정도가 유효할 수 있지만, 보관상황이나 위생상태에 따라 더 짧을 수는 있습니다.

                            2021. 05. 18. 14:48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윤유정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약의 유효기간이 정해져있는 이유는 약의 품질 보증의 의미이기도 하지만 그 기간까지 약효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약이 변질 될 위험이 있을 뿐만아니라 약을 먹고도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약은 꼭 유효기간 안에 복용하시는데 중요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약들은 약국에 가져가서 폐기를 요청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2021. 05. 18. 13:21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전인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의 경우 효능이나 안정성 면에서 어떠한 부작용이 생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약이 아까우시더라도 폐의약품으로 처리하는 것을 권합니다.

                                이상 질문에 대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1. 05. 17. 20:59

                                신고사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