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윈도우 10에서 분명 시스템 종료를 눌렀는데도, 마치 최대 절전 모드처럼 종료되지 않는 경우

현재 내 PC가 그런 상황이다. 컴퓨터 작동 시간을 보면 일주일 전에 켜서 지금까지 작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분명 방금 컴퓨터를 켰는데도 말이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해결 방법은 빠른 시작 기능을 끄면 된다.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전원 옵션 으로 들어간 다음

왼쪽의 전원 단추 작동 설정 버튼을 누른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하단 종료 설정 부분에 빠른 시작 켜기 부분이 체크되어 있는데, 잠겨있어서 수정할 수 없다.

우선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버튼을 누른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그런 후 아래와 같이 설정을 풀어주면 된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위 설정을 일일이 마우스 클릭해서 찾아가기 힘들다면 아래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해 해결할 수도 있다.

REG ADD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Power" /V HiberbootEnabled /T REG_DWORD /D 0 /F

윈도우10의 빠른 시작 기능을 끄는 방법입니다.

빠른 시작은 윈도우10에 생긴 옵션으로 부팅을 빠르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컴퓨터 사용 환경이 빠른 시작이 가능한 경우 기본값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윈도우10의 빠른 시작은 최대 절전모드처럼 시스템을 종료할 때 정보를 저장한 후 다음 부팅 시 저장한 정보를 불러와서 부팅 속도를 단축시키는 기술입니다.

최대 절전 모드와 다른점은 사용중인 작업 내용을 제외한 하드웨어 정보와 부팅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 저장합니다.

빠른 시작을 사용해서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윈도우 기본값이 권장인 만큼 그냥 사용해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능을 꺼주는게 좋습니다.

특히 SSD에 윈도우 설치하고 사용한다면 빠른 시작 기능을 꺼도 부팅 속도는 얼마 걸리지 않습니다.

빠른 시작을 사용하면 부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일부 하드웨어와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해서 윈도우 부팅 과정이 불안정해지거나 메인보드가 빠른 시작 기능을 잘 지원 못해서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WOL 기능과 충돌이 나서 WOL이 정상 동작을 안 하거나 원하지 않는 신호에 부팅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무조건 끄고 사용을 하는 편입니다.

※ 윈도우10 빠른 시작 끄기

Windows 설정 -> 시스템으로 이동합니다.

전원 및 절전 탭의 관련 설정 아래 있는 추가 전원 설정을 클릭합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전원 옵션 설정창 입니다.

오른쪽에 전원 단추 작동 설정을 클릭합니다.

종료 설정에 빠른 시작 켜기 옵션이 보이지만 수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나옵니다.

위에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빠른 시작 켜기(권장)에 체크를 해제한 후 변경 내용 저장을 하면 설정 완료 입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켜기 비활성화(끄기) 방법 왜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해당 옵션은 켜야하나요 꺼야하나요?

본인의 컴퓨터에 문제가 없으면 켜두는게 좋으며 그렇지 않는다면 꺼야 하겠죠?

▶ 바른시작 켜기를 켜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나요?

다수의 컴퓨터에서 문제가 발생하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작업은 윈도우10 2004 버전에서 확인하였습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윈도우10 빠른시작 켜기 비활성화(끄기) 방법

맥북을 사용하지 않는 일반 컴퓨터(노트북)에서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을 확률은 100명 가운데 100명 전부 다일정도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영향력은 막강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불법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말 그대로 개인이기에 터치를 하지 않을 뿐 기업에서마저 불법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간 날벼락이 떨어지기에 기업에서는 100% 정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도우는 시리즈가 올라가며 많은 버그들이 해결되었는데 이번 글에서 이야기하는 내용은 아직까지 100% 해결이 불가능한 부분으로서 상황에 따라 꺼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일부 메인보드와의 호환이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다보니 완전한 해결은 불가능하며 상황을 보시고 필요여하에 따라 체크 및 체크해제를 선택해보시기 바랍니다.

- 윈도우10 빠른시작 켜기를 활성화/비활성화 하려면?

일단 본인의 컴퓨터에 해당 옵션이 있는지부터 확인해야 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제어판의 전원옵션으로 이동하여 전원단추 작동설정으로 가보면 기본설정은 이러한 상태일 수 있으며 빠른시작 켜기 옵션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옵션을 누르면 선택이 불가능한 종료 설정이 선택 가능하게 되지만 빠른시작 켜기 옵션은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일부 컴퓨터에서 해당 옵션을 체크해제하지 않을 경우 윈도우 종료가 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해당 옵션을 켜기 위해서는 cmd 창 또는 powershell 오픈 후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powercfg -hibernate on

최대 절전모드를 활성화하는 옵션인데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지 않으면 빠른시작 켜기는 나타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켜야 하는 옵션이기도 합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그리고 다시 돌아가보면 빠른 시작 켜기 옵션이 나타나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끄기 - windou10 ppaleunsijag kkeugi


해당 옵션을 본인 상황에 맞게 체크 또는 체크해제 해준 뒤 최대절전모드 역시 노트북이 아닌 컴퓨터라면 체크해제하고 나면 상황에 따라 컴퓨터가 꺼지지 않던 것이 꺼지게 됩니다.

윈도우10 빠른시작 켜기 비활성화(끄기) 방법 왜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컴퓨터가 잘 꺼지는 사람들은 굳이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