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지구는 움직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지구가 공전·자전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고 있지만, 그 움직임을 느낄 수 없습니다. 우주에서 지구의 자전을 바라보면 어떤 모습일까요?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지난 2015년 NASA에서는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면 어떻게 보일 것인가, 그 이미지를 공개한 바 있는데요. 아래 영상을 한 번 감상해보시죠.
 

지난 2015년 7월 20일, NASA는 국립해양대기청(NOAA)의 DSCOVR 위성의 항공우주국 EPIC 카메라에 포착된 지구의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태양이 비추는 쪽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세상에 처음 소개한 건데요. 이 카메라는 현재 지구에서 약 1백만 마일(160,9344km) 떨어진 지점인 라그랑주 점(Lagrange Point) 1의 궤도에서 지구를 1년 간 기록했습니다.

참고로 라그랑주 점(Lagrange Point)은 우주 공간에서 케플러 운동을 하는 두 천체가 있을 때 그 주위에서 중력이 0이 되는 5개의 점을 말하는데요. 지구와 달을 예로 들면 각각 지구와 달로부터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이 지구와 달 사이에 정지해 있을 수 있는 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L1 지점은 물체의 궤도 주기가 지구의 궤도 주기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라그랑주 점(Lagrange Point) 1의 궤도에서 지구를 촬영하고 있는 DSCOVR 위성. 출처: NOAA

EPIC 카메라는 2시간 마다 새로운 사진을 찍는데요.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름과 기후시스템의 움직임, 사막, 숲, 바다의 푸른 빛 등을 포착합니다. EPIC은 과학자들이 지구의 대기, 구름의 높이, 식물의 특성, 지구의 자외선 반사율 등을 통해 지구 대기의 오존과 에어로졸 수치를 감시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NASA와 NOAA 그리고 미국 공군의 협력으로 이뤄지는 심우주기상관측위성인 DSCOVR의 일차적 목표는 태양풍의 모니터링 기능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NOAA의 날씨 경보 및 예측의 정확성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는 얼마나 빠르게 회전하고 있는 걸까요? 

지구 자전 속도면 '서울-부산 단 11분만에 주파'

지구의 자전은 일정합니다. 단, 그 속력은 지구의 어떤 위치에서 측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NASA에 따르면, 적도 부근에서 지구의 원주는 대략 40,070km이라고 합니다. 하루의 길이를 24시간이라고 가정하고, 원주를 하루 길이로 나눠봅시다.

속도(빠르기) = (나중위치-처음위치) ÷ 걸린 시간 

속도 =  40,070km ÷ 24 = 1,670 km/h

즉,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는 약 1,670km/h가 됩니다. 이는 KTX 열차의 최고속도인 305km/h보다 약 5.5배 빠른 속도인데요. 서울에서 부산까지 직선거리가 325km라고 할 때 지구의 자전 속도로 이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면 325km ÷ 1670km/h= 0.194h가 되는데요.

분 단위로 고치게 되면 약 11분 만에 서울-부산 거리를 주파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유튜브에서도 '이웃집과학자' 구독 꾸욱~ 

하지만, 다른 위도에서 측정한다면 지구는 이것보다 느리게 움직일 겁니다. 위도 45도까지 이동할 경우 이 지점에서의 속도는 코사인 함수를 이용해 속도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Cos 45°의 값은 0.707이므로 이곳에서의 회전속력은 0.707×1,670km= 1,180km/h가 될 것입니다. 이 속력은 위도가 높아질수록, 더 느려질 것입니다. 이 속도로 서울-부산을 주파하려면 약 16분이 소요되겠네요. 어쨌든 KTX에 비하면 매우 빠른 속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음속제트기 보다 44배 빨라

그렇다면 지구는 태양 주위를 얼마나 빠르게 공전하고 있을까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속도는 약 107,000km/h라고 하는데요. 코넬대학교에 따르면 다음의 공식에 따라 쉽게 계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먼저 첫 번째로, 지구가 얼마나 멀리까지 이동하는지 알아내야 합니다. 지구는 태양 궤도를 돌기 위해 약 365일이 걸립니다. 궤도는 타원형이긴 하지만, 수학적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원이라고 가정합시다.

따라서 지구의 궤도는 원의 원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와 태양 간의 거리는 국제천문연맹에서 정의한 천문단위에 따르면 149,597,870km입니다. 이는 반경(r)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원의 원주 구하는 공식은 2×π×r입니다. 따라서 1년 동안 지구는 2×π×149,597,870km= 9억4천만km를 여행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태양계 천체의 공전궤도. 출처: NASA

속도는 시간에 따른 이동거리 계산이죠. 9억 4천만km/365.25일을 계산하고, 이를 24시간으로 나눠 시간당 km로 계산하게 되면, 지구의 공전 속도는 약 107,226 km/h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마하 2의 속도를 내는 초음속기를 시속으로 계산하면 약 2,400Km/h라고 합니다. 지구의 공전속도는 마하2의 속도를 내는 초음속기보다 무려 44배나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지구가 돈다~ 출처: NASA

영상을 본 후 실제 지구의 자전과 공전 속도를 알아보니 어떠셨나요? 속도를 막상 구해보니 영상이 오히려 느려보이진 않으셨는지요?

우주적 거리를 지구적 거리로 바꾼 다른 영상도 궁금하다면, 아래 영상을 감상해보세요.

저작권자 © 이웃집과학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지구에서 보는 달 모양이 음력 한달 주기로 바뀌는 건 달이 지구 주위를 한바퀴 돌 때도 태양 방향은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올 추석에는 ‘진짜 보름달’이 뜨지 않았다더니, 이번에는 달이 지구 주위를 도는 게 아니라니 이건 또 무슨 뚱딴지같은 소리냐고요?

▶[Da clip]보름달, 다 똑같은 건 아니다

사실 이 제목은 거짓말입니다. 달은 지구 주위를 도는 게 맞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말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달이 지구를 도는 궤도 자체가 조금씩 시대 반대 방향으로 변하다가 8.85년이 지나야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위키피디아 공용

그런데 제목을 왜 그렇게 지었냐고요? 그건 달이 지구를 도는 동안 지구도 태양 둘레를 돌기 때문이죠. 그러니까 지구 관점에서 보면 달이 지구 둘레를 도는 게 맞지만, 태양 관점에서 보면 달은 지구 둘레를 돌지 않습니다.

일단 ‘잡학사전의 본좌’라 할 수 있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이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볼까요?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하늘색 선이 실제로 달이 지구 주위를 움직이는 경로입니다. 태양을 도는 지구에 ‘타고 있는’ 우리가 볼 때는 달이 지구 주위를 도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지구가 태양을 도는 공전궤도 안팎으로 S라인을 그리면서 달이 따라오는 모양새입니다.

애니메이션으로 설명해 드리자면 지구가 까만 점선을 따라 움직일 때 달은 빨간 선 모양으로 움직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여기서 퀴즈. 그러면 태양을 중심으로 달이 공전하는 궤도를 그리면 아래 그림 중에서 어떤 모양으로 나타날까요?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바로 위 애니메이션이 힌트였습니다.
④가 정답입니다. 좁게 보면 S라인을 그리면서 안팎을 오가는 것 같지만 태양계로 범위를 넓혀 보면 원형에 가까운 모양새를 띄게 됩니다. 또 여러분이 이해하기 편하실 것 같아 S라인을 과장해 그리기도 했습니다. 보름 동안 실제 지구와 달이 태양 둘레를 보는 경로를 그려보면 이렇게 나타납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이제 또 여러분께 거짓말한 걸 사죄할 때가 됐습니다. 달이 지구하고 거의 비슷한 궤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게 거짓말은 아닙니다. 태양이 가만히 멈춰있는 것처럼 설명한 게 거짓말입니다.

태양도 우리 은하계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합니다. 자연스레 태양계에 속한 천체들도 태양을 따라 움직이겠죠? 우리는 보통 태양계를 볼 때 태양을 중심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지만 실제 태양은 아래 그림 같은 각도로 움직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www.scienceminusdetails.com 캡처

그러면 태양계는 어떻게 따라 움직일까요? 아래 애니메이션이 정답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태양이 돌면서 공전하는 게 아닙니다. 태양 공전 궤도(노란선)를 중심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것처럼 만든 애니메이션입니다. 각 색깔 선은 행성별 이동경로. www.rhysy.net 캡처

멋있죠?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우리 은하는 또 대우주를 중심으로….

요컨대 세상에 괜히 ‘우주적인 기적’이라는 표현이 있는 게 아닙니다. 그런 우주적인 기적이 쌓이고 쌓여 이번 추석을 함께 보낸 그 분(들)과 만나게 된 겁니다.

그러니 혹시 추석에 보름달을 보고 소원을 빌지 못하셨다면 아래 보름달 사진을 보시면서 그 분(들) 안녕을 기원해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겁니다.

지구가 태양을 언제 한바퀴 도나요
황규인 기자

물론 여러분이 이 글을 읽게 되신 것도 어떤 의미에서는 ‘우주적인 인연’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소중한 인연 맺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들 평안하시고, 남은 연휴도 행복하게 보내세요. 앞으로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이 우주적인 인연을 계속 이어가고 싶으시다면 페이스북 fb.com/bigkini에서 저를 찾아주시면 됩니다.

황규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