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별별소리] UV/VIS 분광광도계에서 흡광도가 마이너스인 이유?//////////?????

pH에 따른 균수를 자외선/가시광선 광도계로 측정했습니다

블랭크는 pH 7의 균 접종 안된 멸균 배지였구요
여러개의 시료가 pH만 다르고 균액은 똑같이 들어있던 배지 였습니다. 모두 일정시간 배양을 했고 기기측정을 했습니다

균운 대장균이었고, 기기 내부로 빛이 샐 염려는 없다고 봅니다. 블랭크 흡광도는 0.000 이었는데 시료중 pH 11에서 흡광도가 -0.0008이 나왔습니다.

혹시 기기가 두종류인가요?

1. 블랭크의 고유한 흡광도 값이 존재하는데 (예를들어0.0001) 이것을 기기에서 0.0001 로 나타내고, 시료의 흡광도에서 이 블랭크의 흡광도를 빼주어야 실제 흡광도 값인 기기

2. 블랭크의 고유한 흡광도 값이 존재하는데 (예를들어 0.0001) 이것을 기기에서 0점으로 조절한 후 시료에 흡광도를 블랭크의 0점에 맞추어서 기기에서 나타내고, 그 기기에서 나타낸 데이터 자체가 실제 흡광도인 기기

이렇게 기기가 두종류인가요?? 저번 기기분석 실험에서 1번과 2번 경우를 둘다 본것 같아서요

우리조뿐만이아니라 5개 조중 4개조가 그 pH에서 흡광도가 마이너스입니다. 서로 같은 시료도 아닌데도요 흡광도가 마이너스인 이유가뭐죠?ㅠㅠㅠㅠ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구체적인 것은 모르겠으나 개인적으로는 3가지로 생각 됩니다.
1. 흡광도가 아니고 투과도로 결과를 보신 것은 아닌지요?
2. 블랭크는 pH 7 하나로만 하는 것보다 pH 별로 해야하지 않을까요? 가령 pH 11 멸균배지 자체가 pH 7 배지와 똑같은 흡광도 내지 투과도를 갖는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요?
3. +/-0.0008이란 값 자체는 너무도 작은 값이라 실험적 오차에 해당하는 것은 아닐까요?

댓글리플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제가 사용한 기기는 흡광도 와 투과율 모두 보여줍니다 ㅠㅠ
그리고 그 실험적 오차라는 것이 어떻게 흡광도를 음수 값으로 보여줄수가 있죠? 흡광도가 음수라는 것은 투과율이 100%를 넘어간다는 뜻인데 그렇다면 기기가 쏴준빛보다 검출된 빛이 더 많다는 건가요 ㅠㅠㅠ
그리고 글쎄 님의 의견은 멸균 pH11의 배지와 멸균pH7 배지의 흡광도 차이가 날 수도 있다는 말씀이시죠?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실험적 오차는 +/- 모두 가능합니다만, 글쓴 분이 말씀하신 기기적 사양으로 미뤄 짐작컨데, 매우 고성능의 기기이므로 기기에 의한 오차는 아닌듯 합니다. 그리고 경험 상 세포가 성장하면 OD는 (+)로 나타납니다. 결과가 잘 나온 조는 어떻게 했었는지 비교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 궁금증입니다만, 0.0008의 차이가 있다고 해서 성장했네 아니네를 판단하기에는 너무 작은 값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제가 예전에 했을 때는 소수점 4자리째 값으로 판별하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하나 궁금증이 있는데 모든 pH에서 (-) 값이 나왔는지요?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지나가는  (2015-05-18 17:34)

4

화학실험과 생물실험 경험상 농도가 상당히 낮으면 -값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시료의 양이 충분하다면 dilution시 다양한 농도를 이용하거나, 혹은 시료를 농축시켜서 다시 측정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기기의 종류에 따라 blank를 잡고 자동 보정하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blank의 값을 나타내어서 개인이 계산해야하는 기계가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이 영점을 잡고 그 값을 흡광도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계 메뉴얼을 잘 보시면 대부분 reference나 blank라고 하는 부분이 있답니다.)

댓글리플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현재 측정하는 값이 reference와 상대적 비교값이라 음수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샘플과 샘플용기 사이의 굴절률이 다를 경우 경계면에서 반사가 나타나는데 (Fresnel reflection) 굴절률의 차이가 클수록 반사손실이 심해집니다. 따라서 위분 말씀대로 측정오차일수도 있지만, 샘플간의 굴절률이 달라 반사손실이 줄어들어서 생긴 현상일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리플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

이슈 글타래 보기

 

코로나19 학술토론

 

여성과기인 지원정책 찬반

 

공정한 연구과제 심사·평가

UV 흡광도 마이너스 - UV heubgwangdo maineos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