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마블 인피니티워2 캡쳐

마블의 가장 인기 캐릭터였지만 마지막에 장렬하게 죽음을 맞이한 영웅 아이언맨. 그는 MCU의 시작을 알린 영웅이었고 1부의 끝을 알린 영웅으로 많은 이들에게 큰 감동을 줬습니다.

하지만 사실 아이언맨이 죽은 이유는 다른 곳에 있다고 합니다. 토니는 왜 끝내 죽을 수 밖에 없었을까요?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출처: 어벤져스 앤드게임 캡쳐

그것은 바로 MCU의 흥행과 비례하게 올라가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막대한 출연료 때문이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ㅋㅋㅋㅋ 토니가 죽지 않았으면 마블이 먼저 죽지 않았을까요?

이를 본 누리꾼들은 "근데 이제 나이가 너무 드셨어 ㅋㅋ 더 하시면 아이언 할아버지임" "마블 유니버스의 시작인데 저 정도는 줘야지"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유머] 해외논평) " 토니 스타크 " 사망 이후 한계를 드러는 MCU 유니버스 영화 [103]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1155562)
자석 유게이 힛갤의 검 추천의 달인

활동내역 작성글 쪽지 마이피 타임라인

출석일수 : 2247일 | LV.273

Exp.15%

추천 180 | 조회 37241 | 비추력 24400

일시 2021.08.10 (18:18:50)

IP : 115.22.***.***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본 영화' 의 메인주인공중 한명인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이하 토니 스타크역의 아이언맨은 10년의 대장정이었던

'인피니티 사가'의 종지부를 찍으며 MCU 세계관에서 사망처리가 되었다

그후 그의 제자격인 톰 홀랜드 이하 피터 파커역의 스파이더맨의 두번째 솔로무비 를 끝으로

MCU는 완전 막을 내렸다고 봐야한다.

본 시리즈의 메인악역이었던 타노스를 저지하기위해 희생한 토니 스타크를 끝으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는 캐릭터의 죽음으로 더이상 영화를 만들지않고있으며 팬들의 실망감만 더욱 커졌을뿐이다

하지만 본 시리즈의 메인 주인공은 토니 스타크뿐 아니라 캡틴 아메리카역의 스티브 로져스 또한 은퇴하였으며

두명의 메인캐릭터가 사라진셈이다. 하지만 이런 'MCU'의 특징은 수많은 히어로들의 솔로무비를 제작하는것인데 이 또한 맥이 끊긴상태라고 봐야한다.

이것이 마블 시네마틱유니버스의 한계였을까?

그저 아이언맨 토니스타크와 캡틴아메리카 스티브 로져스 라는 캐릭터가 살아있어야 움직이는것인가?

두 캐릭터의 사망으로인해 영화를 제작하지않는것은 과연 어떻게된 심리인가..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그에 비해 DC 확장 유니버스는 2021년 잭 스나이더감독의 이름을달고 '스나이더 컷' 이라는 제목의

'저스티스 리그' 가 새로 개봉 했다

많은 팬들이 아쉬워한 부분을 채워줄것이란 큰 기대와 희망을 가지고있으며

특히 본작의 메인 주인공인 '슈퍼맨' 의 추가컷들과 새로운 액션에 많은 중점을 두고있다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클라크 켄트, 데일리플래닛  사회부 기자()

 

  • 스크랩
  • |
  • URL 복사

  • |
  • |
  • |
  • |
  •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 |
  • |
  • [DA:할리우드] 마블 토니스타크 사망 재확인 “아이언맨 부활無”

    마블 측이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의 사망을 재차 언급했다.

    현지시간으로 11월 13일 해외 매체 코믹북닷컴에 따르면, 마블 스튜디오 측은 아이언맨을 비롯해 '어벤져스' 시리즈에서 죽음을 맞은 캐릭터를 다시 복귀시킬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빅토리아 알론소 부사장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에서 타노스를 물리치기 위해 희생한 아이언맨(토니 스타크) 캐릭터를 되살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아이언맨을 연기한 배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역시 지난 9월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해 "아이언맨으로 마블 영화에 복귀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2008년 영화 '아이언 맨'을 시작으로 2019년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이르기까지 10년이 넘는 시간 여러 편의 마블 영화에 출연하며 시리즈를 이끌어왔다.
    동아닷컴 전효진 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아이언맨
    Iron Man
    《아이언맨》 등장인물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아이언맨

    첫 등장테일스 오브 서스펜스 #39 (1963년 3월)
    창작자스탠 리
    배우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정보
    다른 이름토니 스타크(앤서니 애드워드 스타크)
    종족인간
    성별남자
    국적
    토니 스타크 사망 - toni seutakeu samang
    미국
    사망일2023년
    소속 그룹S.H.I.E.L.D.

    스타크 인더스트리
    스타크 레질리언트
    어벤저스
    뉴 어벤저스
    마이티 어벤저스
    가디언즈 오브 더 갤럭시
    포스 워크스
    일루미나티

    썬더볼츠 (마블 코믹스)
    직업히어로,사업가(구)
    부모하워드 스타크 (아버지)
    마리아 스타크 (어머니)
    배우자페퍼 포츠[1]
    자녀모건 스타크
    중요타인나타샤 로마노프
    워머신(로드 중령) [스파이더맨]
    능력 및 특기첨단 무기

    아이언맨(영어: Iron Man)은 미국 만화인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슈퍼히어로이다. 스탠 리, 래리 리에버가 줄거리를 담당하고 돈 헤크와 잭 커비가 그림을 맡았다. 아이언맨은 1963년 3월 서스펜스 이야기 39호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소개[편집]

    부유한 사업계의 거물이자 바람둥이, 기발한 공학자, 천재인 앤서니 에드워드 스타크(영어: Anthony Edward Stark)는 대량살상무기를 실험하던 중 테러단체가 공격을 해 폭탄의 파편이 가슴에 박혀서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그는 자신의 목숨을 살릴 수 있는 원자로 수트를 입고 테러리스트들의 본거지에서 탈출에 성공했다. 이후 스타크는 그의 회사인 스타크 인더스트리에서 디자인한 무기와 다른 기술적 장치들을 수트에 장착했다. 그는 아이언맨으로서 세계를 보호하기 위해 수트와 그 이후 개량 버전들을 사용했다. 그러나 그는 처음에 진짜 자신의 정체를 숨겼다. 초기에 스탠 리는 아이언맨을 냉전과 관련시켜 만들었고, 미국의 기술과 사업의 역할을 공산주의와의 싸움에 이용하는 것을 표현했다.[2] 아이언맨의 이후 이미지는 재탄생되어 냉전의 주제를 벗어나 테러리즘과 회사범죄를 다루기 시작했다.[2]

    초기에 아이언맨은 스탠 리에게 냉전의 주제, 특히 공산주의와의 싸움에서 미국의 기술과 산업의 역할을 탐구하는 매개체였다. 그러나 이후 아이언맨은 냉전의 모티브에서 당시의 현대사안으로 옮겨졌다.[3]

    캐릭터 출판 기간 중 대부분의 시간, 아이언맨은 어벤저스의 창립 회원이었고, 그의 만화책 시리즈에서 여러 생을 살기도 했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이 캐릭터를 맡았다. 2008년 아이언맨을 시작으로, 그는 인크레더블 헐크에서 카메오를 맡았으며, 이후 2편의 아이언맨 영화인 아이언맨 2와 아이언맨 3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이후 어벤져스,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스파이더맨: 홈커밍,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에서도 이 역할을 맡았다.

    아이언맨은 IGN의 2011년 "100대 만화 영웅들"에서 12위를 차지했으며,[4] 2012년 "어벤져스 50명" 중 3위를 차지했다.[5]

    아머[편집]

    같이 보기[편집]

    • 워 머신
    • 어벤저스
    • 아이언맨의 아머

    각주[편집]

    1. DeFalco, Tom (2006). Marvel Encyclopedia. London: Dorling Kindersly Limited. 191.
    2. ↑ 가 나 Lee, Mike (2013년 4월 30일). “Little-known sci-fi fact: Stan Lee thought Marvel’s readers would HATE Iron Man (at first)”. Blastr. 2015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In the years following his debut, Iron Man fought against the tyranny of communism, corporate crime, terrorism and alcoholism as a “second-tier” Marvel hero, despite always being a popular character amongst readers.
    3. Lee, Mike (2013년 4월 30일). “Little-known sci-fi fact: Stan Lee thought Marvel’s readers would HATE Iron Man (at first)” (영어). 2019년 3월 22일에 확인함.
    4. “Iron Man – Top 100 Comic Book Heroes”. IGN. 2011. 2014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10, 2014에 확인함.
    5. “The Top 50 Avengers”. IGN. 2012년 4월 30일. 2015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아이언맨 - Comic Book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