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 우리말 색이름 - sun ulimal saeg-ileum

우리가 몰랐던 순우리말 ‘색깔 이름’

순 우리말 색이름 - sun ulimal saeg-ileum

순우리말 빛깔이름은 본디 ‘검다’, ‘희다’, ‘붉다’, ‘푸르다’, ‘누르다’다섯 가지이다.

이 말들에서 각각 ‘까맣다, 하얗다, 빨갛다, 파랗다, 노랗다’란 말들이 생겨나 쓰이고 있다. 

‘오색찬란하다’고 할 때의 오색이 바로 검정, 하양, 빨강, 파랑, 노랑이다.

여기에 ‘색’이란 말을 붙이면, 빨강은 빨간색, 노랑은 노란색, 파랑은 파란색들과 같이 된다.

그러니까, ‘색’을 떼고 말하면 ‘빨강’이 되고, ‘색’을 붙여서 말하면 ‘빨간’으로 쓰는 것이다.

빨강과 빨간색, 노랑과 노란색, 파랑과 파란색 같은 말이다.

무지개 빛깔 가운데 우리 토박이말은 ‘빨강’, ‘노랑’, ‘파랑’세 가지뿐이다.

이 세 가지 빛깔을 모든 색의 근원이 되는 ‘삼색’이라고 한다.

나머지 빛깔 중에 ‘주황’, ‘초록’, ‘남색’은 한자말이고, 마지막에 있는 ‘보라’는 몽골에서 들어온 말이라고 한다.

우리말 곳곳에는 몽골어의 흔적이 남아 있다.

몽골 풍습 가운데, 매를 길들여서 사냥을 하는 매사냥이 있었는데, 매사냥에 쓰이던 매가 바로 송골매와 보라매이다.

‘매’는 우리말이지만, ‘송골’과 ‘보라’는 몽골에서 들어온 말이라고 한다. 보라매의 앞가슴에 난 털 빛깔을 보라매의 빛깔, 곧 ‘보라색’이라고 불러왔다는 것이다.

우리말은 빛깔을 감정과 느낌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감각어가 아주 발달되어 있다.

빨강을 나타내는 말이 영어에서는 ‘Red’ 하나 정도라고 생각해 볼 때, 우리말에서는 그냥 ‘빨갛다’가 아니라 ‘붉다, 검붉다, 뻘겋다, 새빨갛다, 발그레하다, 불그스름하다, 불그죽죽하다’등 갖가지 표현이 가능하다.

노랑과 파랑, 하양, 검정들과 같은 빛깔도 모두 마찬가지이다.

- 출처 : [한글문화연대 누리집]에서

순 우리말 색이름 - sun ulimal saeg-ileum
그림_픽사베이

색깔과 관련된 다양한 순우리말

◎ 빛깔

물체가 빛을 받을 때 드러나는 고유한 색.

‘빛깔’과 ‘색깔(色+깔)’은 모두 널리 쓰이므로 둘 다 표준어로 삼는다.

같은 뜻으로 ‘빛갈’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 이것은 버린다.

◎ 물빛

물의 빛깔과 같은 연한 파란빛.

◎ 반물빛

검은빛을 띤 짙은 남빛.

◎ 하늘빛

맑은 하늘의 빛깔과 같은 연한 파란빛.

◎ 노을빛

노을이 질 때 생기는 불그스름한 빛.

◎ 발간빛

밝고 엷은 붉은빛.

◎ 쪽빛

짙은 푸른빛.

◎ 먹빛

먹물의 빛깔과 같은 검은빛.

순 우리말 색이름 - sun ulimal saeg-ileum
그림_픽사베이

◎ 흙빛

흙의 빛깔과 같은 빛.

또는 푸른빛을 약간 띤 검은빛.

흔히 어둡고 경직된 표정이나 얼굴빛을 비유적으로 이른다.

◎ 제빛

물체가 지니고 있는 본래의 빛깔.

◎ 풀빛

풀의 빛깔과 같은 진한 연둣빛.

◎ 가만빛

밝고 엷은 검은빛.

◎ 가림빛

다른 동물의 공격을 피하고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른 동물의 눈에 띄지 아니하도록

주위와 비슷하게 되어 있는

몸의 색깔. 즉 보호색을 말한다.

◎ 울긋불긋하다

짙고 옅은 여러 가지 빛깔들이

야단스럽게 한데 뒤섞여 있는 상태이다.

◎ 알로록달로록

여러 가지 밝은 빛깔의 점이나

줄 등이 조금 성기고 고르지 않게

무늬를 이룬 모양.

◎ 알록달록

‘알로록달로록’의 준말.

여러 가지 밝은 빛깔의 얼룩이나

줄무늬 따위가 고르지 않게

무늬를 이룬 모양을 나타내는 말.

큰말 표현으로 ‘얼룩덜룩’이 있다.

순 우리말 색이름 - sun ulimal saeg-ileum

색깔을 나타내는 우리말 표현

‘순우리말 색이름’ 모음

빨강 계열 

감빛

잘 익은 감의 빛깔과 같은 붉은빛.

• 거먕빛=거먕

아주 짙게 검붉은 빛.

• 노을빛=놀빛

노을이 질 때 생기는 불그스름한 빛.

• 딸깃빛

딸기의 빛깔과 같이 붉거나 연한 붉은빛.

• 발간빛

밝고 엷은 붉은빛.

• 발그스레하다

조금 발갛다.

• 복숭앗빛

복숭아의 빛깔과 같은 연한 분홍빛.

• 붉은빛

사람의 입술이나 피의 빛깔과 같이 짙고 선명한 빛.

• 빨간빛

피나 익은 고추와 같이 밝고 짙은 붉은빛.

• 살굿빛

살구의 빛깔과 같이 연한 노란빛을 띤 분홍빛.

• 선짓빛

선지의 색과 같이 진한 붉은빛.

• 옻빛

옻의 빛깔과 같이 검붉은 빛.

• 핏빛

피의 빛깔과 같이 새빨간 빛.

노랑 계열

• 개나릿빛

개나리의 빛깔과 같은 노란빛.

• 꽈릿빛

잘 익은 꽈리의 빛깔과 같이 노란빛을 띤 주황빛.

• 노란빛

병아리나 개나리꽃의 빛깔과 같이 매우 밝고 선명한 빛.

• 노른빛

노른자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한 빛.

• 노른잣빛

노른자의 빛깔과 같은 진한 노란빛.

• 누런빛

익은 벼의 빛깔과 같이 다소 어둡고 탁한 빛.

• 누른빛

황금이나 놋쇠의 빛깔과 같이 다소 밝고 탁한 빛.

• 달걀빛

계란의 빛깔과 같이 흐린 노란빛을 띤 주황빛.

• 달빛

달에서 비쳐 오는 빛.

• 모싯빛

모시의 빛깔과 같이 엷은 노란빛.

순 우리말 색이름 - sun ulimal saeg-ileum

파랑 계열

• 물빛

물의 빛깔과 같은 연한 파란빛.

• 바닷빛

바닷물의 빛깔과 같이 녹색을 약간 띤 파란빛.

• 반물빛=반물

검은빛을 띤 짙은 남빛.

• 쇳빛

검푸르죽죽한 빛.

• 얼음빛

얼음의 빛깔과 같이 파랗고 반투명한 빛.

• 쪽빛

짙은 푸른빛.

• 파란빛=파랑빛

맑은 가을 하늘과 같이 밝고 선명한 푸른빛.

• 푸르스름하다

조금 푸르다.

• 푸른빛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풀의 빛깔과 같이 맑고 선명한 빛.

• 하늘빛

맑은 하늘의 빛깔과 같은 연한 파란빛.

초록 계열

• 갈맷빛

짙은 초록빛.

• 수박빛

수박 껍질의 빛깔과 같이 짙은 초록빛.

• 풀빛

풀의 빛깔과 같은 진한 연둣빛.

갈색 계열

• 갈빛

검은색을 띤 주황 빛깔.

• 대춧빛

잘 익은 대추 열매처럼 빨간 갈색빛.

• 밤빛

여문 밤의 겉껍데기 빛깔과 같이 검은빛을 띤 갈색빛.

• 약댓빛

낙타의 털과 같이 밝고 연한 갈색.

• 구릿빛

구리의 빛깔과 같이 붉은빛을 많이 띤 갈색빛.

순 우리말 색이름 - sun ulimal saeg-ileum

보라 계열

• 가짓빛 

잘 익은 가지의 빛깔과 같이 남빛을 띤 보랏빛.

• 보랏빛

파랑과 빨강의 중간 빛.

• 붉은보라

붉은빛을 띤 보라.

하양 계열

• 눈빛

눈의 빛깔과 같은 흰빛.

• 무명빛

무명의 색깔처럼 하얀 빛.

• 젖빛

젖의 빛깔과 같이 불투명한 흰빛.

• 하얀빛

깨끗한 눈이나 밀가루와 같이 밝고 선명한 흰빛.

• 허연빛

다소 탁하고 흐릿하게 흰빛

• 흰빛

눈이나 우유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한 빛

검정 계열

• 가만빛

밝고 엷은 검은 빛.

• 가무끄름하다

조금 어둡게 가무스름하다.

• 감은빛

석탄의 빛깔과 같이 다소 밝고 짙은 빛.

• 거먼빛

어둡고 엷은 검은빛.

• 검부잿빛

검불이 타고 난 뒤 남은 재의 빛깔과 같이 흰빛을 띤 검은빛.

• 검은빛

숯이나 먹의 빛깔과 같이 어둡고 짙은 빛.

• 까만빛

불빛이 전혀 없는 밤하늘과 같이 밝고 짙은 검은빛.

• 꺼먼빛

어둡고 짙은 검은빛.

• 납빛

납의 빛깔과 같이 푸르스름한 회색빛. 두려움이나 공포에 질린 얼굴색이나 병색이 짙은 얼굴색을 비유적으로 이른다.

• 먹빛

먹물의 빛깔과 같은 검은 빛.

• 잿빛

재의 빛깔과 같이 흰빛을 띤 검은빛.

• 쥣빛

쥐의 털빛과 같은 어두운 회색빛.

• 흙빛

1. 흙의 빛깔과 같은 빛.

2. 푸른빛을 약간 띤 검은빛. 흔히 어둡고 경직된 표정이나 얼굴빛을 비유적으로 이른다.

순 우리말 색이름 - sun ulimal saeg-il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