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 - sobyeon-eseo naemsaega naneun iyu

[김소형의 힐링타임] 뿌연 소변은 육류 과다 섭취가 원인?

소변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 - sobyeon-eseo naemsaega naneun iyu
소변의 색이나 냄새 등의 변화를 잘 살피면 내 몸의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 미리 체크해볼 수 있습니다. ⓒ베이비뉴스

화장실에서 대변의 상태를 살피는 것이 우리 몸의 건강을 간단히 체크해볼 수 있는 방법인 것처럼 소변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루에도 여러 번 보게 되는 소변이 평소와 같은지, 다르다면 어떤 부분이 다른지 관심을 갖고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건강의 변화나 상태를 대략적으로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보통 하루에 5~7번 정도 소변을 봅니다. 개인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하루 1~2번 정도밖에 소변을 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신장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이런 경우 신장 기능이 약해진 상태이며 신부전의 위험도 생길 수 있으므로 신장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많이 소변을 보는 것 역시 건강의 이상 신호일 수 있습니다. 갈증이 심하고 물 섭취량이 많으며 하루에 10회 이상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호르몬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체크해봐야 합니다.

건강한 소변은 색이 맑고 투명합니다. 특별히 몸에 이상이 없더라도 음식이나 물의 섭취에 따라 소변 색은 자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변 색이 진한 상태라면 현재 수분 섭취가 부족한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반대로 소변 색이 옅어져 있다면 물을 많이 섭취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변 색이 약간씩 짙어졌다가 옅어졌다가 하는 것은 정상 범위로 볼 수 있지만 지나치게 바뀐다면 이는 건강상의 문제로 볼 수도 있습니다.

색이 뿌옇고 불투명해 보인다면 이는 소변에 단백질 성분이 많이 섞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육류를 많이 먹은 날 이런 소변을 볼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소변이 탁해졌다가 다시 돌아온다면 크게 문제가 없지만 이런 소변이 오래 지속이 된다면 세균 감염, 염증 질환 등이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여성들의 경우 방광염이나 신우신염이 있는 경우 소변이 불투명해질 수 있으며 부인과 질환의 경우에도 자주 뿌연 소변을 보게 됩니다.

방광염인 경우에는 소변이 불투명해지는 것과 더불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소변을 볼 때 통증이 느껴지는 증상이 동반됩니다. 신우신염은 방광염과 비슷한 증상들이 동반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옆구리가 아프고 열이 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붉은 소변은 소변에 피가 섞인 상태인 혈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붉은색에 가깝다면 방광, 요도, 전립선의 출혈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검붉은 색에 가깝다면 신장, 신우, 요관 등의 출혈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진한 갈색을 띠는 소변을 본다면 보통 간 기능이 나빠진 경우가 많습니다. 담도 폐색이나 간 손상으로 황달이 발생하면 빌리루빈 색소가 소변으로 녹아 나오기 때문에 갈색을 띠게 됩니다.

거품이 나는 소변도 종종 볼 수 있는데 일시적인 상태라면 보통 단백질 성분이 소변으로 빠져나오기 때문입니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강도 높은 운동을 했거나 육류를 많이 먹었을 경우, 고열이 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소변에 거품이 낀다면 신장 기능을 점검해봐야 합니다.

냄새가 심한 소변을 보기도 하는데 물을 적게 마시거나 강한 향을 지닌 음식을 먹을 경우에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톡 쏘는 듯한 강한 소변 냄새가 나는 경우에는 방광이나 요도의 염증 때문일 수 있습니다. 소변에서 단 과일향이 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당뇨나 무리한 다이어트로 케톤이 소변으로 빠져나왔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소변의 색이나 냄새 등의 변화를 잘 살피면 내 몸의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 미리 체크해볼 수 있습니다.

*칼럼니스트 김소형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원 한의학 박사로 서울 강남 가로수길의 김소형한의원에서 환자를 만나고 있다. 치료뿐만 아니라 전공인 본초학, 약재 연구를 바탕으로 한방을 보다 넓고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컨텐츠를 만들고 있다. 저서로는 「꿀피부 시크릿」 「데톡스 다이어트」 「CEO 건강보감」 「김소형의 경락 마사지 30분」 「김소형의 귀족피부 만들기」 「자연주의 한의학」 「아토피 아가 애기똥풀 엄마」 등이 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베이비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베이비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

베이비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저작권자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색, 냄새 등...소변 자세히 보면 건강 상태 확인 가능
| 질환, 먹은 음식, 영양제 등에 따라 소변 상태 변화할 수 있어
| 이병욱 원장 "이유 없이 소변 상태 변했다면 검사받아야"

[내레이션 : 황수경 아나운서]

소변으로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는 사실, 아마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겁니다. 우리 혈액 속 노폐물과 수분은 콩팥에서 걸러지는데요. 그것이 방광 속에 고여 있다가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로 '소변'입니다. 몸속 장기를 거친 결과물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건강상태를 판단해볼 수 있는 것이죠.

우선, 소변 색이 너무 노랗다면 주의해야 합니다. 건강한 사람의 소변은 맑은 황갈색을 띠는데요. 성분과 농축 정도에 따라 색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짙은 노란색 소변은 체내 수분이 부족하다는 신호인데요. 수분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강도 높은 운동으로 탈수가 심할 때 소변이 농축되면서 평소보다 진한 색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 비타민 C를 많이 복용했을 때도 소변 색이 짙어질 수 있죠.

소변이 뿌옇지 않은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오줌이 뿌예진 건, 대부분 전날 먹었던 탄산음료와 맥주 그리고 치킨이나 고등어처럼 무기질이 많은 음식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보통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곧 선명한 소변 색으로 회복되는데요. 하지만 뿌연 오줌과 함께 배뇨 시 통증이나 냄새가 동반되거나 소변이 너무 자주 마렵다면 요로감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요로감염으로 염증세포와 백혈구가 분비되면, 소변 색이 혼탁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죠. 특히 요로감염은 여름철 수분 섭취가 충분하지 못했을 때 잘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 콩팥의 사구체나 세뇨관에 문제가 생겨도 소변이 뿌예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일시적인 경우들에서는 대개 하루 이틀 안에 본래의 색으로 돌아오는데요. 만약에 짙은 소변이나 뿌연 소변이 계속된다면, 질환을 의심하고 검사를 받아봐야 합니다.

다음으로, 소변에서 단 냄새가 나는 경우입니다. 이런 케이스라면 당뇨를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데요. 실제로 당뇨를 진단하는 중요한 근거 중 하나가, 소변에서 단 냄새가 나는가의 여부입니다. 그 밖에도 당뇨병성 케톤산증, 유전질환인 단풍시럽뇨병, 또 효모감염이나 탈수 등의 원인으로 단 냄새가 날 수 있고요. 일부 의약품이나 보조제, 특히 비타민 B6 영양제를 복용했을 때 소변 냄새가 바뀌곤 합니다. 다만, 이러한 요인들보다는 당뇨로 인한 사례가 대부분이라는 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소변에서 심한 악취가 난다면, 감염증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등의 요로감염이 악취를 일으키는데요. 특히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면서 속옷에 고름이 묻어 나온다면 요도염을 의심해봐야 하고요. 소변이 자주 마렵다거나, 따끔거리는 느낌과 잔뇨감이 있다면 방광염일 수 있습니다.

환자들이 가장 놀라는 건 붉은색이 섞인 소변이죠. 소변 색에 붉은색이 돈다면 붉은색 채소나 색소가 들어간 음식을 많이 먹지 않았는지 점검해봐야 합니다. 특히 최근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비트를 많이 섭취했을 때 소변이 붉어지는 사례도 있고요. 또 결핵약을 복용하기 시작하면서 소변이 붉어지기도 합니다. 횡문근 융해증으로 인한 근육 손상 역시 붉은 소변의 원인입니다. 주로 운동을 심하게 한 뒤에 이러한 증세가 나타날 수 있고요. 드문 사례이긴 하지만, 붉은색 오줌에 황달이 동반된다면 담도계 질환이나 간 질환을 의심해 볼 수도 있습니다.

병원에서 진행하는 소변 검사는 비교적 간단한 절차로 진행되고 비용 부담도 크지 않은 편입니다. 소변에 무언가 이상 증세가 나타났다면 방치하지 말고 빠르게 검사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칼럼 = 하이닥 의학기자 이병욱 원장 (내과 전문의)

<저작권©언론사 하이닥,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