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프로틴 여드름 - sigmulseong peulotin yeodeuleum

우리는 흔히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하는 것은 언제나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명제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릴 수 있습니다.

최근들어 저녁이 있는 삶을 위해서 운동을 하는 분들이 많아졌는데요.

저 역시도 운동을 매우 좋아합니다.

스키, 마라톤을 특별히 애정하고 있고, 두가지 운동을 기본 운동을 삼고 있습니다. 봄 가을에는 마라톤을 하고, 여드름에는 수영을 자주 하고 있습니다. 겨울에는 스키를 타구요.

일반적으로 여러 분들이 좋아하시는 운동인 헬스와 같은 실내 운동을 저는 별로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피트니스 센터에 가서 실내에서 런닝머신을 달리거나 근력운동을 하면 웬지 답답하고 재미도 없거든요.

식물성 프로틴 여드름 - sigmulseong peulotin yeodeuleum

오늘은 단백질보충제와 여드름, 모낭염, 지루성여드름과의 관계를 살펴볼까 합니다.

단백질 보충제를 먹었더니 여드름, 모낭염, 지루성여드름이 심해졌어요?

단백질 보충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그 성분도 각양각색입니다.

하지만 단백질 보충제 중 여드름, 모낭염, 지루성여드름 등 피부의 염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피트니스 선수와 같이 근육을 전문적으로 키워야하는 분들 중 갑자기 여드름이나 피부염이 난다고 하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요. 이런 경우는 둘 중에 하나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1, 닭가슴살과 같은 음식을 한 가지를 집중적으로 먹어서 그런 경우가 첫 번째이구요.

2, 단백질 보충제를 먹으면서 운동하는 경우가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입니다.

오늘은 단백질 보충제가 왜 문제가 되는지 살펴볼 겁니다.

단백질 보충제의 종류

- 유청분리단백(우유단백질)이 주성분인 보충제

- 소고기에서 분리한 단백질로 만든 우육분리단백 기반의 보충제

- 계란에서 분리한 난분리단백질 보충제

- 대두분리 단백과 쌀단백질의 식물성단백질 보충제

단백질보충제, 단백질 파우더의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단백질 보충제는 콩, 곡물에서 추출한 식물성, 달걀이나 소에서 추출한 동물성으로 구분합니다.

유장 단백질이라고도 불리는 웨이 프로틴은 유청에서 분리된 단백질의 혼합물로 치즈 제조 과정에서 분리되는 우유의 단백질 카제인과 유장중 하나에 해당합니다. 웨이 단백질은 체내 흡수율이 높고 근육 강화 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켜서 전문 운동선수들이 선호하는 것입니다.

웨이 프로틴은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웨이 프로틴과 동일하게 우유에서 추출되는 것으로 웨이 프로틴보다는 소화흡수가 느립니다. 카제인 프로틴의 경우 근육 단백질 분해 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는 제품으로 상대적으로 웨이 프로틴보다 고가입니다.

- 미셀라: 가장 인기 있는 형태로 천천히 소화됨

- 카제인 가수 분해: 소화가 잘되고 빠르게 흡수됨

달걀 흰자에서 추출한 단백질에 해당합니다. 유당불내증이 있어서 웨이 프로틴이나 카제인 프로틴을 섭취하기 힘든 경우에 선호됩니다.

유당불내증이 있거나 비건인 경우 식물성 프로틴을 찾게 되는데요. 콩을 베이스로 만들어진 프로틴입니다.

단백질 보충제의 기타 부작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통풍

단백질을 과다 섭취할 경우 단백질 대사솨정에서 요산이 과량 분비되어 통풍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골다공증

과량의 단백질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칼슘이 배출되어 골다공증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3, 신장과 간 독성

단백질을 대사하면서 발생한 질소노폐물이 간과 신장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건 이론적인 내용들이고 실제로 이런 어머어마한 부작용이 흔한 것은 아닙니다.

정상적인 제품을 복용할 경우에 정기검진을 받으면서 복용하시면 심각한 부작용은 없습니다. 다만 간독성은 좀 관리를 해야 하구요.

오늘 살펴볼 주제는 단백질 보충제와 여드름, 피부염의 관계입니다.

식물성 프로틴 여드름 - sigmulseong peulotin yeodeuleum

우유에서 추출한 단백질 보충제(웨이 프로틴, 카제인 프로틴)는 여드름 악화인자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유청단백이 IGF-1(인슐린성장인자)의 생성을 증가시켜 피지선의 활성도를 올리기 때문입니다.

여드름이 없는 피부의 경우 유청분리단백이 들어간 보충제를 드셔도 무방한 경우가 많으나 염증성 피부질환이 있거나, 화농성 여드름이 있는 경우에는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건 마치 여드름이 있는 환자분들이 아라키돈산이 많이 함유된 돼지고기나 닭고기를 드셨을 때 염증이 더욱 더 많이 유발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피부염과 아라키돈산에 대한 부분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로 가시면 됩니다. 요약하면 아라키돈산이 많은 돼지고기, 닭고기를 섭취하면 여드름, 피부염이 심해진다는 내용입니다. >

여드름이 있는 환자분들이 유청 단백질보충제를 섭취할 경우 여드름이 더욱 심하게 악화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죠.

그 기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백질보충제가 여드름,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원리>

단백질보충제 섭취 => 혈중 IGF-1 농도증가 => 피지선 성장 촉진 및 피지분비량 증가 => 여드름 증가, 피부염 증가

식물성 프로틴 여드름 - sigmulseong peulotin yeodeuleum

좀 어려운 이야기일 수 있는데요. 간략히 설명을 드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로 인슐린 유사성장인자에 해당합니다.

즉, IGF-1은 분자 모양이 인슐린과 유사하게 생긴 성장인자로 세포의 증식과 성장을 촉진하고 사멸을 억제에 관여해 유소년기의 성장에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는데요. IGF-1의 생성은 성장호르몬의 영향을 받습니다.

즉, 뇌하수체 전엽에서 성장호르몬이 나오면 간에서 UGF-1을 만들어 성장하게 됩니다. 고당질 식이를 할 때처럼 고단백식이를 유지할 때 IGF-1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요.

IGF-1이 피지선에 작용하면 피지선의 성장을 촉진해 피지 분비량을 늘리게 됩니다. 특히 카제인 프로틴을 섭취할 때 IGF-1의 더 많이 분비되게 됩니다.

그로 인해서 여드름이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식물성 프로틴 여드름 - sigmulseong peulotin yeodeuleum

단백질 보충제 의해서 발생하는 여드름, 모낭염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먹기 시작한 한달 이내에 여드름, 발진이 발생하거나

2, 단백질 보충제를 먹을 경우 남성보다 여성이 더 심하게 발생하거나

3, 가슴과 등에 더 많이 발생하는 특징을 보이거나

위의 증상을 보일 경우 단백질보충제를 줄이거나 해야 여드름, 피부염이 덜 생깁니다.

아니면 웨이 프로틴에서 다른 프로틴으로 바꿔서 섭취해보시길 권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