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회사의 컴퓨터에서 DS718+에 접속이 되지 않아요. 하지만 외부에서는 접속이 되요.

  • 매우 특이한 상황입니다.
  • 어제까지 잘 사용하던 나스에 오늘부터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 운영체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맥, 윈도우 모두에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즉 smb, afp 모두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 또한 DSM(웹브라우져에서 5000번 포트로 접속)도 되지 않습니다.
  • 시놀로지 어시스턴트에서도 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 사무실의 모든 컴퓨터에서 인터넷(구글, 네이버, 다음 접속)이 잘 되고, 사무실의 네트워크 프린터로 인쇄도 됩니다.
  • 희한하게도 외부(다른 사무실의 컴퓨터)에서는 접속이 됩니다.

와이파이 용도로 사용하는 유무선공유기를 다시시작(전원을 껐다 켜기) 했습니다.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CPU램프가 깜박이지 않는 걸 보고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시놀로지 어시스턴트에서 나스가 발견되지 않습니다.
  • 어제와 오늘 사이에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변경된 사항(인터넷을 사용하는 장비를 추가하거나 랜케이블을 추가/제거 하는 등)이 있는지 물어보니 와이파이가 잘 안 된다고 합니다. 와이파이 용도로 사용하는 공유기는 아이피타임 A3004 제품입니다. 노트북에서 아이피타임 A3004의 SSID에 연결하려고 했지만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 그래서 공유기의 상태를 확인해 봤는데요. CPU램프가 깜박이지 않고 있습니다. 아이피타임 공유기는 제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는 CPU램프가 1초 간격으로 깜박거립니다.
  •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공유기와 나스에 접속이 되지 않는 증상은 상관이 없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혹시 하면서 공유기의 전원을 꺼 봤습니다. 그러자 그 즉시 나스 접속이 정상적으로 되었습니다. 나스 접속이 정상적으로 된 이후에는 공유기의 전원을 다시 켰습니다. 그 후 24시간이 지났는데요. 여전히 나스와 와이파이 접속이 모두 잘 되고 있습니다.
  • 만약 공유기가 또 작동을 멈추면(CPU램프가 깜박이지 않으면) 공유기를 교체(또는 제거)해야 하구요. 그렇지 않으면 공유기의 일시적인 오작동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 그러나 컴퓨터와 프린터의 통신, 컴퓨터와 게이트웨이(인터넷), 나스와 게이트웨이(인터넷)의 통신은 잘 되는데 컴퓨터와 나스와의 통신만 되지 않은 이유는 여전히 알 수 없습니다.

  • 와이파이 용도로 사용하는 A3004 공유기의 CPU램프가 깜박이지 않습니다.
  • A3004 공유기의 전원을 끈 후에는 시놀로지 어시스턴트에서 나스가 발견됩니다.
  • A3004 공유기의 전원을 다시 켜도 이제는 나스 접속과 와이파이 접속이 모두 잘 됩니다.

QuickConnect를 통해 Synology 장치에 액세스할 수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 Synology Inc.

자습서 및 FAQ 비디오 자습서 도움말 게시물 White Paper QuickConnect를 통해 Synology 장치에 액세스할 수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인터넷을 통해 QuickConnect로 Synology 장치에 액세스하는 데 문제가 있고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십시오."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 연결 또는 구성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Synology 장치가 인터넷에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인터넷 연결 문제를 해결하십시오. 다른 장치(예: PC)를 같은 네트워크 포트와 케이블...

www.synology.com

Synology NAS 를 운용하면서 황당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전 기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잘 쓰던 것을 이전하면서 100Mbps 로 변경(사정이 있었다) 했는데 갑자기 잘 되던 웹서버가 접근이 안되고 uPnP 라우터가 설정이 안된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포트 연결 테스트가 모두 오류가 나고 id.synology.me:5000 포트로 DSM 접근도 안되고 웹서버도 동작하지 않으니 NAS 가 무용지물이 되었다. 그러면서 포트포워딩 https, 방화벽 등등 설정을 건드리다 보니 다른 서비스들도 오동작하기 시작했다.

며칠을 이리저리 뒤져보던 중 해결책을 찾았다.

힌트는

https://blog.naver.com/saintbell/221086444876

여기에서 얻었다.

포트포워딩을 해주었지만 되지 않아서 DMZ 설정을 건드렸는데 그게 해결책이었다.

이전주소지에서는 DMZ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었는데 현 주소지에서는 공유기의 DMZ 설정에 Synology NAS IP 주소를 추가해 주어야 했다. 이런 일도 있는가 싶다.

KT 기술센터의 설명으로는 DMZ 설정은 해당 IP 주소로 모든 포트를 오픈한다고 한다.

포트 포워딩 설정은 특정 포트를 특정 IP 로 매핑하는 것이고

DMZ 는 모든 포트를 특정 IP 로 매핑한다는 뜻이다. 포트 포워딩 설정을 제외한 모든 포트가 되겠지?

기능의 개념이 잘 이해가 되지 않지만 일단은 그렇다는 것 같다.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이거 가지고 며칠을 소비했다니 믿겨지지 않는다.

그래도 해결했으니 다행이다. 흠냐...

이전에 올린 포스팅에 매우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기는 하나, 제목이 좀 달라서 못 찾아보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다시 간략히 정리해서 올려 보고자 합니다.

시놀로지 NAS를 사용하고자 하는 이유는 용량이 작은 노트북 등에서 개인용 서버를 통해 문서, 미디어 등 여러 파일들을 손쉽게 사용하고, 그 사용을 기존 윈도우 파일 탐색기 처럼 편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 주 목적일 것입니다.

외부 네트워크 환경 (카페, 외부 작업실 등 NAS가 접속되어 있는 서버와는 다른 외부 서버에서 인터넷 접속을 통해 NAS 사용)에서는 두말할 것도 없이 필요한데, 생각외로 내부 네트워크 환경 (집 안, 즉 NAS와 동일한 네크워크로 구성이 되어있는 환경)에서도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생각보다 요긴하게 쓰입니다.

매번 자료 엑세스를 위해 외장하드를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에 연결하기에는 너무 불편하니까요 ㅎㅎ

지금은 집안에서 NAS를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는 방법, 즉 내부 네트워크 사용 시에 어떻게 설정하는지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매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 올려놓았으니 참고부탁드려요. :)

mingki-thinkbox.tistory.com/11?category=916374

2. 시놀로지 NAS 내부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문제 해결 (feat. 유플러스 공유기, 포트 포워딩)

직전 포스팅에서 Super DMZ로 NAS의 MAC주소를 등록하니, NAS의 내부IP주소가 외부IP주소와 동일해 지면서 내부 네트워크 연결 시도 시 검색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 이유는 외부IP로 바

mingki-thinkbox.tistory.com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해당 방법으로 진행하면 아래와 같이 NAS 접속이 가능해 집니다.

1) 내부 네트워크

 -. DDNS / 내부 IP입력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2) 외부 네트워크

 -. DDNS

* DDNS는 일종의 도메인 주소와 같은 개념으로 IP주소가 아닌 www.tistory.com과  과 같은 address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입니다.

* 외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은 Webdav를 통해 접속 가능하며, 이는 다음번 포스팅을 통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NAS의 네트워크를 고정IP로 변경

 고정IP로 변경하는 이유는 포트포워딩을 통해 외부에서도 내부 NAS에 접속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 입니다. NAS는 내부 네트워크로 구성이 되어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열어주지 않으면 외부에서 접속을 할 수가 없습니다.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을 포트포워딩이라 하며, 특정한 포트를 열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NAS의 네트워크를 고정IP로 하여 매번 변하지 않도록 해줘야 합니다.

포트포워딩에 대한 쉬운 설명은 아래 포스팅 참고해 주세요 :)

mingki-thinkbox.tistory.com/10?category=916374

1. 시놀로지 NAS DDNS 외부접속 문제 해결 (feat. 유플러스 공유기, Super DMZ)

용량이 작은 노트북에 맨날 usb 외장하드 꽂아서 거추장 스럽게 다니기 싫어 NAS를 구입 했습니다. 시놀로지 DS220+제품 구입을 했습니다. 해당 모델 구매 사유와 구입기, 개봉기 등은 다음 포스팅

mingki-thinkbox.tistory.com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위 그림과 같이 "제어판 -> 네트워크 -> 편집 -> 수동 구성 이용"을 선택해 줍니다.

2. 고정 IP를 포트포워딩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고정 IP를 포트포워딩을 통해 열어줘야 합니다.

  1) 유플러스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들어갑니다. (192.168.219.1)

    -. 접속 비밀번호는 공유기 하단에 있습니다.

  2) 상단 메뉴바 -> 네트워크 설정- > NAT 설정을 들어갑니다.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3) 포트포워딩 클릭 -> 추가 -> 포트포워딩 정보 입력

    -. 서비스 포트 : 외부에서 접속할 때 사용하는 포트. 내부 포트와 동일한 포트로 설정하면 편합니다.

    -. 프로토콜 : TCP 선택해 주세요.

    -. 내부 IP 주소 : NAS 고정 IP 입력해 주세요.

    -. 내부 포트 : NAS의 특정 포트 입력

   DSM에서 포트를 바꿀 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DSM에서 기본으로 설정되어있는 포트는 5000번 입니다.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유플러스 공유기 포트 포워딩 설정 화면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시놀로지 NAS 포트 확인 방법

포트 확인 및 수정은 "제어판 -> 네트워크 -> DSM 설정 -> DSM포트"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NAS 관리도구 접속 포트는 5000, 5001번으로 설정이 되어있는데 해킹 시도 시 이런 기본 포트가 열려있는지 부터 확인 하고 시도를 하기 때문에 다른 포트로 변경을 하는 것이 해킹 침입시도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생각보다 NAS 침입 시도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하니 기본 포트 구성부터 바꾸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변경된 기본 포트를 포트포워딩 해 놓으면 해당 포트로 외부에서 DSM 접속이 가능해 집니다.

**핸드폰 시놀로지 앱인 DS video, DS file등에 접속 시 접속 주소 뒤에 변경된 포트번호를 붙여주세요

3.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윈도우 탐색기에서 내PC클릭하면 상단 메뉴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메뉴가 뜹니다.

클릭 후 폴더 주소를 입력하는데 \\서버이름\NAS 서버 안의 폴더이름 을 입력 해 주세요

 -. 서버이름 : DSM 제어판 -> 네트워크 -> 일반 -> 서버 이름에서 설정 및 변경, 확인 가능

 -. 폴더 이름 : DSM 제어판 -> 공유폴더 -> 생성한 폴더명 입력

마침 버튼을 누르면 "자격증명 기억"이 뜨는데 DSM 접속 시 사용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네트워크 구성이 되는 것이죠!

시 놀로지 네트워크 연결 안됨 - si nolloji neteuwokeu yeongyeol andoem

여기까지만 따라오시면 내부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이 가능하며, 내부/외부에서 DDNS 접속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