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원래는 NAS로

헤놀로지(XPenology)를

설치하고 싶었으나...

집에서 먼지만 쌓여가는

라즈베리 파이를

사용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에

OMV5를 설치하여

사용하려고 합니다.

준비물

라즈베리 파이에

NAS를 설치하기 위한

준비물입니다.

제가 사용한 구성이기도 합니다.

1. Raspberry Pi 4
- 없으신 분들은 바로 아래 구매 링크를 두었습니다.

2. Micro SD card 4GB
   - HDD를 따로 연결할 예정이라 많은 용량이 필요 없습니다.

3. SDcard Reader
   - Micro SD card에 OS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 없으신 분들은 바로 아래 구매 링크를 두었습니다.

4. Raspberry Pi OS Lite(구 Raspbian)
   - 필요한 Tool만 그때그떄 맞춰 설치하기 위해 Lite로 설치합니다.
   - 구하는 방법은 아래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5. balenaEtcher
   - Micro SD card에 OS를 설치하는 Tool 입니다.
   - 구하는 방법은 아래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6. SSH 접속 프로그램
   - 저는 보통

Xshell을 사용하지만(국산, Netsarang)
   - 여기서는 최근에 본 MobaXterm 을 사용해봄

7. 3A 이상의 USB 충전기
   - NAS를 위해 추가 드라이버 연결하고
   - SSH, VNC 등을 하려면 3A 이상 추천
   - 전 4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Raspberry Pi 4 구매 링크입니다.

- https://coupa.ng/bNGcFU

[정품]라즈베리파이4 8GB+방열판(Rassbeery Pi 4 Moedl B)v1.2

COUPANG

www.coupang.com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아래는 Micro SD card 리더기 구매 링크입니다.

USB 3.0 과 C type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속도도 빠르고 아무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oupa.ng/bNF6Uj

코시 타입C OTG USB3.0 PC겸용 카드리더기

COUPANG

www.coupang.com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아래는 3A USB 충전기 구매 링크입니다.

저는 4A를 구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https://coupa.ng/bNGGje

[추천]YS+카카오 QC3.0 고속충전기 - 어피치+W7C5C4A[품절임박]

COUPANG

www.coupang.com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라즈베리파이 OS 다운로드 링크입니다.

- www.raspberrypi.org/software/operating-systems/

Operating system images – Raspberry Pi

The Raspberry Pi is a tiny and affordable computer that you can use to learn programming through fun, practical projects. Join the global Raspberry Pi community.

www.raspberrypi.org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필요한 툴만 설치해서 사용하기 위해

제일 가벼운 Lite 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Raspberry Pi OS Lite 다운로드

balenaEtcher 다운로드

SD card에 OS를 설치하기 위한

balenaEtcher Tool을 다운로드 합니다.

balenaEtcher Tool 다운로드 링크입니다.

- http://www.balena.io/etcher/

balena - The complete IoT fleet management platform

Infrastructure and tools to develop, deploy, and manage connected devices at scale. Your first ten devices are always free.

www.balena.io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바로 중간에 보입니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balenaEtcher 다운로드

SD card에 Raspberry Pi OS 설치

이제 Raspberry Pi OS를 SD card에 설치합니다.

설치 과정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D card를 PC에 연결

2. 다운받은 balenaEtcher 실행

3. 다운받은 Rasperry Pi OS 선택

4. 연결한 SD card 선택

5. Flash!

SD card를 리더기에 연결하여 PC에 연결한 후,

다운받은 balenaEtcher를 실행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balenaEtcher 실행

Flash from file 클릭 후 다운받은 Raspberry Pi OS Lite를 선택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Flash from file -> Raspberry Pi OS Lite 선택

Select target 클릭 후 연결한 SD card를 선택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Select target -> SD card 선택

Flash!를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설치 중이다. 조금... 오래 걸린다.

설치는 끝.

이제 원격 설정을 해야한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Flash Complete!

SSH 설정

모니터가 있다면

바로 연결해서 설정하면 되지만..

모니터가 없는 관계로

원격 접속 설정을 해줘야 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1. SD card와 PC 연결 해제 후 재연결

2. boot(D:) 드라이버 선택

3. ssh 파일 생성(빈파일)

SD card를 PC에서 빼낸 후,

다시 연결하면 boot(D:) 드라이버가 생성된다.

boot(D:) 드라이버 최상단

ssh 파일(빈 파일)을 생성한다.

ssh 파일만 있으면

Raspberry Pi 부팅 시

자동으로 ssh eanble이 설정된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boot (D:) -> ssh 파일 생성

설치 끝! 접속 확인

이제 SD card를 PC에서 빼내고

Raspberry Pi에 넣고 전원을 연결하면

자동으로 부팅된다.

DHCP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IP를 받게되며,

IP는 본인 집의 공유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Raspberry Pi IP 확인

확인된 IP로 접속하면

ID와 Password를 물어보는 데

기본 IP / Password는 

pi / raspberry 이다.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ID: pi / Password: raspberry

설치 끝!

라즈베리 파이 Xpenology 설치 - lajeubeli pai Xpenology seolchi
설치 끝!

무선 네트워크 연결

위에서 boot (D:) 드라이브에 ssh 파일 생성 시

wpa_supplicant.conf 파일을 추가로 생성

파일 내용은 다음과 같다.

ctrl_interface=DIR=/var/run/wpa_supplicant GROUP=netdev
update_config=1
network={
    ssid="네트워크이름"
    psk="네트워크비번"
}

다만...NAS를 위해서라면

그냥 유선 연결을 추천한다.

여러 추가 설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무선보다 유선이 당연히 빠르기 때문....

그리고 쿠팡 구매 링크 때문에 문구 추가...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