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라리스 건설선 만들기 - seutellaliseu geonseolseon mandeulgi

스텔라리스! 초보! 완전 처음부터 배워보자!

2.2.1 로 갱신했습니다. 아래링크로 봐주세요.

http://blog.daum.net/savethestar/440

이건 1.XX 패치때 영상 입니다.

1. 종족선택 : 초보자는 종족을 만들기 힘드니. 일단 첫번째 기본인간종족으로 합니다.  - 미사일/워프함대

이전글의 행복한 사상/종특/정부를 만들어도 좋습니다. 물론 미사일/워프로 추천합니다.

행복한문명만들기

2. 완전 초보자라면 작은맵에서 진보한 AI 없이 컴퓨터와 1:1 로 하면서 일단 시스템을 배워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아니면 기본 셋팅된데로 600 사이즈 기본AI 숫자나 약간 줄여서 시작합시다.

3. 우주화면에 넘어가면 막막해집니다. 일단 정지상태에서 대기하면서..

*우측하단중에 왼쪽에 있는 체크부분을 체크해두세요. 문명5의 자원보이기 탭과 같은 기능입니다.

연구!

- 과학연구탭(F6)에서 사회학(생물학) 탭에선 개척선연구를 찍습니다.

- 나머지 2부위는 전투선무기>생산력(미네랄>에너지)에 도움되는 연구를 찍습니다.

과학선

우선 항성계에서 우주맵으로 넘어가서, 우측리스트에서 과학선을 좌클릭후에 모항성계에 우클릭->탐사 합니다.

- 그리고 항성계에 들어가서 보면, 과학선이 이곳저곳 가는것이 예약되 있습니다.

- 항성계내에서 쉬프트+우클릭으로 하나씩 예약 탐색할수도 있지만, 탐사지시는 우주맵에서 하면 편합니다.

개발선은 당장시킬 명령은 없습니다. 대기 상태

- 기타 F1의 정부정책이나 그런건 아직 모르실테니 패스.. 급한 것은 없으니 문제는 없습니다.

- 이 부분은 선택/하지만 하면 좋아요!

- 전투함대에 호위함(명칭변경->초계함)이 3척이 있습니다. 이 함대를 1대씩 3개함대로 분할합니다.

- 각 함대를 정찰함대라고 생각하고 주위 항성계에 나눠서 정찰을 보냅니다. - 스타1 초반정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과학선처럼 탐색은 안되지만, 식민화 시킬만한 행성이 있는지와

- 호전적인 우주생물체가 있는 곳이 있는지는 체크가 가능합니다. 

- 과학선은 호전생물시 무조건 후퇴지만, 초계함은 타성계로 워프워프하면서 강행정찰이 가능합니다.

- 이것은 후에 과학선이 탐사시간을 절약하게 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이 가능합니다.

- 물론 싸우지 말고 함대를 온존해서 어느 정도 정찰후에 모행성으로 복귀해야 합니다. - 해적이벤트를 위해서

- 강행정찰 워프포인트가 나쁘면 함대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 주의하세요.

- 그리고 사실 너무멀리가거나 너무 많은 제국. 특히 몰락제국과 초반조우는 피하는게 좋습니다.

- 솔직히 너무 먼 곳까지 과학선으로 탐색이 힘들기 때문에..

- 이것으로 우주함대의 명령은 끝!

행성관리

- 우측상단부쯤 행성을 클릭하거나, F2/행성탭- 행성 클릭

- 기본주는 미네랄자원(200)으로 행성계내에서 '지표면'개발탭에서 2군데 정도를 개발합니다. 

- 행성내 식량사정을 확인하면서, 초반에 부족한 미네랄위주로 개발합니다.

지도자관리

- 초반에 주는 영향력(100) 으로  지도자 2명을 살수 있습니다. F2-지도자탭

- 일단 기본 총독과 살수 있는 총독의 능력치를 비교해보고 월등히 차이난다면 총독을 바꿉니다.

- 총독을 바꾸기전에 과학자도 살펴봅시다. 연구하는 과학자3명(F6)과 과학선에 탄1명과 살수있는 과학자를 비교합니다.

- 탐색에 유리한 과학자를 과학선에, 연구에 유리한 과학자를 연구탭에 넣고

- 과학자1명을 사서 바꿔줍니다. 남는 과학자는 곧 새로운 과학선에 태울 것이므로 낭비가 아닙니다.

- 총독교체를 안했다면 과학자는 2명까지 교체가 가능합니다. 뭐가 나을지는 지도자 능력치를 보시면서 결정합니다.

- 특별히 교체할일이 없다면 안사도 되지만, 과학자는 어차피1명은 곧 사야합니다. 

- 여기까지 끝내고 시간을 돌립니다. 할게 많았군요.

3. 항성계내에 과학선이 탐색해서 자원(미네랄>에너지)이 있는 곳을 발견하면

- 개발선으로 우선 미네랄 위주로 개발합니다. 

- 에너지는 부족하지 않게 맞춰서 시간과 자원상태를 보면서 개발해 줍니다.

- 초반엔 미네랄을 많이 쓰고.. 부족합니다.

탐색속도 향상을 위해 채광스태이션 2개정도후엔, 우주항에서 추가 과학선을 제작해서 주위 항성계 탐속도를 높입니다.

- 모행성내 지표면개발과 / 항성계 개발을 계속합니다.

- 우주세력권내의 다른 항성계도 마찬가지로 과학선으로 우클릭탐색후에 개발선으로 개발해나갑니다.

4. 여러 외계함선/외계인과 접촉시 진행상황F5에서 보면 연구할 것인가가 나와있는데 일단 이 연구는 안합니다.

- 이 연구에는 사회학(생물학)점수가 필요하고, 그 연구력은 지금 개척선연구에 투입되 있습니다.

- 타 종족과의 접촉은 그 종족이 우리 종족을 연구해도 접촉이 성공됩니다. - 아니면 함선을 보내서 접촉?

- 아무튼 우리는 F6 연구에 집중!

5. 어느 정도 주위가 개발되가면서, 개척선 한대를 띄우고 첫 식민지를 건설할때/후에 쯤, 해적이벤트가 뜹니다.

- 해적이벤트는 주위 항성계 어딘가에 해적위성스태이션(120전투력)이 생기고, 

- 해적함대(111)이 아군 채광/연구스태이션을 공격해옵니다.

- 이에 맞춰서 아군함대를 집결해두고 기본75에서 함대업글+함대숫자 충원으로 160~200을 넘겨서 해적함대를 처리후

- 재정비후 해적위성스태이션을 처리하면 됩니다.

- 가능하면 해적이벤트가 뜨기전에 미리 준비해두면 좋습니다만.. 항상 시간과 자원이 문제죠!

- 이것으로 초반부가 끝났습니다.

6. 이제 모이는 자원(미네랄/에너지)로 탐색된 식민화 가능 행성에 개척선을 뿌립니다.

- 일단 직할행성숫자내에서 해야 하므로 4~5개 행성을 식민화 계획을 세웁니다.

- 행성은 가이아행성(100)이 최고 좋고, 지표면이 넓을 수록 좋습니다.

- 다른 환경식민화가 뜨더라도 가능한 모행성과 같은 환경(80)의 행성에 모행성보다 가능하면 큰(16이상)의 곳에 개척선을 보냅니다.

- 행성마다 특수환경(+/-)이 있을 수 있으니 체크해서 특화행성을 할지 고려해봅시다.

- 초반에 지성이 없는 다른 생명체가 사는 행성은 피해야 할 듯 합니다. 관리가 안되더군요.

- 행성총독부는 인구가 5 10 15 순으로 총독부건물을 진화 가능합니다. - 이 건물이 테크업글중심건물입니다.

- 즉 15 미만의 행성으로의 확장은 신중히!

7. 이제 함대를 키워서 주위 적대적인 우주생물을 처리가능한 범위에서 처리/연구합니다.

- 중립인 우주해파리는 안 건드리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 함대력이 딸리거나 손해가 많이 날 곳은 건드리지 않습니다.

- 함대수용력은 식민화 행성에 우주정거장 숫자를 늘리고, 우주정거장을 업글하면 올라갑니다.

- 함대수용력을 높이고 함대력을 높여봅시다.

8. 여기서부터 꽤 시간이 걸리겠지만, 다른 우주제국(종족)과 전쟁은 보통 1K~2K 정도 함대가 필요합니다.

- 적도 1K 정도의 함대로 4XX 정도의 우주정거장이 있기 때문에 2K 이상으로 함대를 구성하면서, 타제국을 칠 타이밍을 고려해봅시다.

- 특히 아군과 같은 FTL을 가진 종족이면 속국화시켜두면, 이후 전쟁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9. 초반만나서 사이 좋은 국가엔 대사관을 보내고 관계를 향상시키고 우주맵을 교환합니다.

- 우주맵은 사이가 나쁜애들도 먼저 제안해오기도 합니다. 

- 우주맵교환은 받는 게 이득입니다.

- 사이가 좋은 애들과 미네랄이나 에너지교환, 전략자원으로 에너지나 미네랄을 받아오세요.

10. 단축키

기본적으로 F1~6 까지 단축키가 있습니다. 눌러보면서 참고하세요.

스타1 처럼, 컨트롤+숫자 키로  행성과 우주함대,개발선,과학선을 숫자 단축키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스텔라리스 팁과 공략, 기타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