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셋탑박스 리모컨을 TV와 연동하여 통합 리모컨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이 글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동영상만 봐도 쉽게 이해가 될 겁니다.

그리고 동영상을 봐도 이해가 잘 안되는 분들은 글을 보고 나서 따라 하면 됩니다.

TV 수리를 하다 보면 TV와 함께 리모컨 2개를 들고 오는 분들이 가끔 있습니다. 하나는 TV 리모컨, 다른 하나는 셋탑박스 리모컨, 이렇게 두 개를 말이죠.

셋탑박스 리모컨은 만능 리모컨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TV와 연동하여 통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말을 하면, 대부분은 그 사실이 이미 잘 알고 있더군요. 하지만 설정 방법이 어려울까 봐 그냥 2개로 사용하는 것이죠. 이런 집이 은근히 많습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셋탑박스 리모컨의 상단부분입니다.

리모컨 버튼 구성은 IPTV 회사나 셋탑박스 모델에 따라서 버튼의 위치나 표기된 글자가 약간 다를 수는 있지만, 전체적인 구성은 대부분 비슷하기 때문에 다른 셋탑박스 리모컨으로 설명을 하더라도 이해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겁니다.

그런데 위의 사진을 잘 보면 음량 조절 버튼인 +와 - 버튼이 위쪽에도 있고, 아래쪽에도 있습니다.

위쪽에 있는 것은 TV 음량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으니 TV 조정 버튼이고, 아래쪽에 큼지막한 음량 버튼은 셋탑박스 음량 조절 버튼입니다. 저렇게 두 가지가 다 있다는 것은 이 리모컨 하나만으로도 TV와 셋탑박스 둘 다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셋탑박스 리모컨은 학습형 리모컨 (주파수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주파수를 계속 변경하면서 TV 수신 주파수를 찾을 수 있는 리모컨)이기 때문에, TV 제조사나 모델에 상관없이 수신 주파수를 다 잡을 수 있으니 굳이 리모컨 2개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회사가 다르기는 합니다만 둘 다 셋탑박스 리모컨입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뒤쪽을 보면 설정 방법이 표기된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흰색 리모컨 역시 마찬가지죠. 여기에 적힌 그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그런데 만약에 저런 스티커가 뒤쪽에 없다면, 배터리 커버를 열어보길 바랍니다. 그 안쪽에 스티커가 붙어 있는 모델들도 있거든요.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지금은 회사 자체가 사라진 스피드 테크놀로지 TIVA TV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기존의 리모컨이 망가지거나 분실되면 동일한 TV 리모컨을 구할 방법이 없는데, 기존 리모컨이 없더라도 셋탑에 연동시키면 불편함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왼쪽의 리모컨은 이 TV와 연결되어 있는 셋탑박스 리모컨이고, 오른쪽은 TV 리모컨입니다. (참고로 TIVA는 LG 계열 리모컨으로도 조정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모델들의 주파수가 LG와 거의 똑같거든요.)

현재 주파수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서 검은색 리모컨으로는 TV의 전원을 켤 수 없는 상태입니다. 물론, TV의 볼륨 조절이나 외부 입력 모드 변경 같은 것도 할 수 없습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셋탑박스 리모컨 뒤쪽에 표시되어 있는 통합 설정 방법입니다.

아래의 리모컨 사진과 함께 보면 이해하는데 더 쉬울 겁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1. TV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셋탑박스 리모컨 전원(1번)과 외부 입력 버튼 (2번)을 동시에 누른 상태로 3초 정도 기다립니다.

2. 리모컨 위쪽의 램프(3번)가 켜지게 되면, 버튼에서 손을 뗍니다.

3. 이제 셋탑 박스 채널 버튼을 한 번씩 눌러주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위쪽 버튼 (4번)이나 아래쪽 버튼 둘 중에 아무거나 눌러도 상관없습니다.

위쪽 버튼을 누르면 현재 설정된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로 한 단계씩 변경을 하면서 검색을 하는 것이고, 밑에 버튼을 누르면 반대로 한 단계씩 낮춰가면서 주파수를 찾아가는데, 결국 한 바퀴를 돌기 때문에, 둘 중에 어떤 것으로 진행해도 결국에는 잡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버튼을 한 번씩 눌러주라고 되어 있는데, 그렇게 하면 손가락이 정말 아플 겁니다.

그러니 밑에 있는 동영상에서 설정하는 모습처럼 그냥 꾹 누르고 있으면 주파수 변경이 계속 이뤄지니까, TV가 꺼질 때까지 꾹 누른 상태에서 기다려주면 됩니다. 참고로 주파수가 한 단계씩 변경될 때마다 그에 맞춰서 램프가 깜빡입니다.

4. TV의 전원이 꺼지면 OK 버튼(5번)을 눌러주면 설정 완료입니다. 모델에 따라서는 OK가 아니라 확인으로 표시되어 있기도 합니다.

글로 설명하는 것보다 이렇게 직접 보니까 시간도 얼마 안 걸리고 바로 설정이 끝나죠?

그런데 TV의 주파수와 셋탑박스 리모컨에 현재 설정된 주파수가 큰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를 한 단계씩 변경하면서 찾아야 되는 이 과정이 꽤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저렇게 채널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스마트폰을 하거나 다른 일을 하고 있으면 됩니다. 굳이 TV 쪽을 바라보지 않더라도 TV가 꺼지게 되면 소리까지 같이 사라지므로, 그 순간에 즉시 손을 떼면 됩니다. (꺼진 이후에도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주파수가 다른 걸로 바뀔 테니까요.)

이제 OK 버튼을 누르면 끝납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연동이 된 이후에는 TV의 전원을 통합 관리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TV 자체의 볼륨 조절도 가능해졌습니다.

셋톱박스 리모컨 호환 - sestobbagseu limokeon hohwan

물론, 셋탑박스 볼륨 조절도 가능하죠. 원래부터 셋탑 리모컨이었으니까요.

그리고 사진으로는 안 나왔습니다만 외부 입력 버튼을 누르면 TV의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으니 꼭 필요한 기능은 다 연동이 된 셈입니다. 그러니 이제부터는 TV 리모컨은 다른 곳에 잘 보관해두고, 셋탑박스 리모컨 하나만 사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