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언어 사용 순위 - segye eon-eo sayong sun-wi

현재 세계 약 74억 명의 인구가 약 7,000개 가까이 되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7,000개의 언어 중에서 세계 각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는 영어입니다. 영어는 국제 언어이기 때문에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경우에는 제2 외국어로 거의 모든 국가에서 필수로 배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와 모국어는 별개일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도 영어를 유창하게 사용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영어가 모국어인 한국인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세계 언어 사용 순위 - segye eon-eo sayong sun-wi
모국어로-가장-많이-사용하는-언어

세계에서 모국어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 TOP 10

1위 중국어 

중국어의 사용 인구는 전 세계에서 9억 5500만 명 정도이며, 중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중국 표준어인 북경어(만다린)만 모국어로 포함된 수치이며, 홍콩, 중국 남부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광동어는 별개의 언어로 제외된 수치입니다. 광동어 등의 중국 지역 언어까지 중국어 모국어에 포함한다면 14억 명 정도 되며, 중국 지역 언어를 모두 제외해도 전 세계에서 압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국어 1위입니다.  

2위 스페인어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전 세계에 약 4억 명으로 전 세계 인구에 6% 가까이 됩니다. 스페인뿐만 아니라 과거의 스페인 식민지였던 멕시코,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페루, 베네수엘라, 칠레 등 다수의 남미 국가에서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3위 영어

영어롤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3억 6000만 명 정도로 전 세계 인구에 약 5.5% 정도 됩니다. 국제 언어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 치고는 모국어 사용 비율은 중국어와 스페인어에 비해 낮은 반면에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들의 힘이 강하기에 국제 언어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에는 세계 각국에서 이민 와서 정착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인구수 또한 많기 때문에 실제 영어권 국가들의 거주하는 인구수의 합보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수가 더 적습니다. 

4위 힌디어

힌디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3억 1000만 명 정도로 인도와 피지에서 모국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중국 다음으로 인구 대국인 인도의 인구는 13억이 넘지만 인도에는 벵골어, 펀자브어, 타밀어 등 지역 언어들이 많기 때문에 힌디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지만 인구수 대비해서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비교적 적은 편입니다. 

5위 아랍어 

아랍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2억 9500만 명 정도로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모로코,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랍어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로 이슬람교 국가들과 밀접하게 연관된 언어입니다. 

6위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2억 1500만 명 정도로 브라질, 포르투갈, 마카오, 앙골라, 모잠비크 등에서 모국어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브라질의 인구가 약 2억 1000만 명인 것을 감안하면 포르투갈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대다수의 국민은 브라질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으로 보입니다.

7위 벵골어

벵골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2억 500만 명 정도로 방글라데시와 인도 일부 지역에서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도에서는 공용어로 사용하는 힌디어 다음으로 벵골어를 많이 사용하며, 방글라데시 인구 또한 약 1억 6000만 명이 넘기 때문에 벵골어의 모국어 사용 인구 또한 전 세계적에서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8위 러시아어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1억 5500만 명 정도로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1991년에 해체된 구소련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어권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미국, 캐나다, 호주, 이스라엘에서도 일부 계층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9위 일본어

일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1억 2500만 명 정도로 일본에서 모국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위에 언급된 언어 중에서는 힌디어 정도만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하나의 국가에서만 압도적으로 사용되는 모국어이며, 힌디어의 경우에는 인도에서도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과반수가 안 되는 반면에 일본어는 일본 인구의 거의 대부분이 일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0위 펀자브어

펀자브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약 1억 명 정도입니다. 인도에 펀자브 주와 파키스탄의 펀자브 주가 있는데 주로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파키스탄 인구의 약 40%가 펀자브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반면에 인구 인구의 약 2.8%가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기에 펀자브어는 인도보다는 파키스탄에서 더 보편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7위 한국어

한국어는 베트남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와 비슷하며, 전 세계에서 7600만 명 정도가 모국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어는 대한민국과 북한 그리고 북한과 접경 지역인 중국 동북 3성에서도 일부 모국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관련 글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알아보기

영어권 사람들이 배우기 가장 어려운 언어 Top 5

외국어를 배우려면 어떤 언어를 공부해야 할까? 라는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사실 4~5개의 언어를 여유있게 구사하는 사람들도 꽤 있다고 하지만, 어렸을 때부터 외국어를 접해보지 못한 평범한 사람들이 갑자기 여러 개의 언어를 익히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외국어 공부를 처음 시작할 때 어떤 언어를 익히면 앞으로 가장 유용하게 사용할까 고민하는 사람들이 참으로 많은대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를 검색하면 어떤 언어를 배우는 것이 좋을 지 결정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세계 언어 사용 순위를 알아보았습니다. 일단, 제 1언어, 모국어로 사용하는 순위입니다.

1 위 : 표준 중국어(만다린 등) 9.2 억명

2 위 : 스패인어(남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4.6 억명

3 위 : 영어 : 3.7 억명

4 위 : 힌디어(인도에서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 3.4억명

5 위 : 뱅골어(인도 동부 뱅골주와 방글라데시 주변에서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 2.3억명

6 위 : 포르투갈어(브라질에서 사용빈도가 높습니다) : 2.3 억명

7 위 : 러시아어 : 1.5 억명

8 위 : 일본어 : 1.3 억명

9 위 : 남부 중국어(중국어 남부 방언 광둥어, 객가어 등) : 0.8억명

10 위 : 마라티어(인도 중앙부에서 사용하는 언어) : 0.8 억명

참고로 한국어는 약 15위 정도인 듯 합니다.

그러나, 이게 전부가 아닐 것입니다. 국제회의를 가면 중국어보다는 영어를 훨씬 많이 사용합니다. 물론, 중국인들도 국제회의를 가면 영어를 사용하며, 중국에서도 영어를 잘 할지 모르는 사람은 국제회의에 보내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 1화자 + 제 2화자를 합친 언어 순위를 다시 살펴봐야 되겠습니다. 이 경우 순위가 많이 바뀝니다.

1 위 : 영어 : 12.7 억명

2 위 : 표준중국어 : 11.2억명

3 위 : 힌디어(거의 인도에서는 영어와 함께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되는 듯 합니다.) : 6.4억명

4 위 : 스패인어 : 5.4 억명

5 위 : 프랑스어(예전 프랑스 식민지에서 공용어로 많이 쓴다고 하네요) : 2.8 억명

6 위 : 표준아랍어(이슬람교 국가들의 대부분에서 구사한다고 합니다) : 2.7 억명

7 위 : 뱅골어 : 2.7 억명

8 위 : 러시아어(구 소련국가들에서 공용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 2.6 억명

9 위 : 포르투갈어(브라질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 2.5 억명

10 위 : 인도네시아어 : 2.0 억명

참고로 한국어는 제 2언어로 사용하는 순위까지 합산하면 22위로 밀려납니다. 제 2외국어로 사용하는 순위까지 보면 우리나라에서 제 2 외국어로 공부하는 상당수의 언어가 보이네요... 또 특이한 게, 언어들 중 서로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한 언어들도 많다고 하는대요.

세계 언어 사용 순위 - segye eon-eo sayong sun-wi
출처 : carladaly.blogspot.com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 인도네시아어-말레이시아어, 터키어-아제르바이잔어, 덴마크어-스웨덴어-노르웨이어, 보스니아어-크로아티아어-세르비아어 등이 있다고 합니다. 물론 이 나라 사람들에게 서로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십니까? 라고 물어본다면 절대 아니라고 할 사람들이 많다고 하네요.

이와 같이 비슷한 언어들에는 각 민족들의 슬픈 역사가 드러나기도 합니다. 인도네시아어의 경우 네덜란드 지배에 있던 인도네시아의 지식인들이 20세기 초 말레이반도 주변의 방언을 표준어로 삼자는 운동을 일으켜서 독립 후 표준어가 된 경우라고 합니다.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는 중세 후기부터 갈라지기 시작해서 서로 다른 언어가 되었는대요, 아직도 서로 얘기를 하면 상당부분 의사소통이 된다고 합니다.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는 이슬람교, 카톨릭교, 동방정교회의 종교에 따라 민족이 나뉜 경우인대요, 근대까지 각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던 발칸반도의 슬픈 역사를 보여주는 듯 하네요. 그리고, 20세기 초에 터키의 케말 아타튀르크와 이란의 레자샤가 각각 터키어와 아제르바이잔어로 통역없이 회담을 한 일은 역사적으로 매우 유명한 일화이기도 합니다.

언어에 대해 알아보다 보니 우리나라도 남북한의 분단이 고착화되면 남북한의 의사소통이 어려워지면서 다른 민족으로 생각하게 될까봐 두려운 생각이 듭니다. 하루 빨리 우리나라가 통일이 되어서 우리민족의 잠재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때가 왔으면 합니다.

(참고로 언어 순위 등의 자료는 wikipedia를 참조하였습니다.)